반응형

고사성어 58

동병상련/두영심태/두각/동취 고사성어의 뜻(의미)과 역사 유래일화

부정부패가 심한 사회에서는 돈으로 권력을 사는 행태가 만연하지요.  백성들은 도탄에 빠지고 나라는 점점 기울어 갑니다.   멸망했던 고대국가의 말기를 보면 항상 이런 상황을 도처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힘든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돕는 모습을 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쓸 수 있는 고사성어들 알아보겠습니다.  동병상련/ 두영심태/ 두각/ 동취1. 동병상련동병상련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同 病 相 憐 한가지 동병 병서로 상불쌍히 여길 련 동병상련의 한자 뜻은 "같은 한 가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불쌍히 여긴다"라는 뜻입니다.  즉 같은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위로하고 어려운일을 돕는다는 뜻이지요. 이는 현대 중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

역사이야기 2024.05.15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 고사성어의 의미(뜻)과 유래 일화 - 당나라 희종

중국 고대역사를 뒤돌아보면 용맹한 장수가 많았지요.  그 중 하후돈과 같이 한쪽 눈을 잃었어도 용맹한 무력을 뽐내는 장수가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당나라 시대 이극용같은 장수가 그러했지요.  그리고 고사성어 중에서는 지나친 욕심을 비난하고 반성하고자 하는 뜻의 성어가 꽤 많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와 관련된 고사성어인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에 대해 알아봅니다.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1. 독안룡독안룡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獨 眼 龍 홀로 독눈 안용 룡 독안룡을 한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애꾸눈의 용"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속뜻으로는 한 눈만 가지고 있으나 용맹한 무인을 뜻하지요.  애꾸눈의 장수라하면 단연 하후돈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하후돈은 전투에 나서 눈에 ..

역사이야기 2024.05.14

대기만성 대도무문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노자 도덕경

젊은 시절에는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다가 나이가 들어 경험이 쌓이면서 특출난 재능을 보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 역사속에서 보자면 고려의 강감찬이 그러하겠지요.  강감찬은 60이 넘어 처음으로 전장에 나섰고, 거란의 10만 정예병을 전멸시켜 고려를 구한 영웅이었습니다. 그리고 정치인, 역사속 인물들이 좌우명으로 많이 삼았던 사자성어가 있지요. 큰 뜻을 펼치기 위한 자신의 자세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대기만성과 대도무문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대기만성 대도무문1. 대기만성대기만성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大 器 晚 成 큰 대그릇 기늦을 만이룰 성 대기만성을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면 큰 그릇을 만들려면 오랜 시간이 걸린다라는 뜻입니다. 속 뜻은 사람이 큰 ..

역사이야기 2024.05.13

담소자약, 견리망의 역사 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감녕과 장자

담대한 사람은 어떤 위기에 닥쳐도 항상 의연하고 여유로운 모습을 보입니다. 위급해도 항상 긍정적으로 상황을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요.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익앞에서는 의리나 친분을 저버리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얄밉기도 하지만, 바라보고 있자면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번 post에서는 담소자약, 견리망의 사자성어의 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담소자약 견리망의1. 담소자약담소자약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談 笑 自 若 말씀 담웃음 소스스로 자같을 약 담소자약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태연하게 담소를 즐긴다"이며, 속뜻은 위험에 처했어도 의연하게 이를 대처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위급한 상황에서도 태연한 자세로 여유롭게..

역사이야기 2024.05.12

노우지독, 노익장, 논공행상의 한자어와 의미(뜻), 역사 유래 - 삼국지

부모님의 자식사랑은 그 어떤 말로도 온전히 표현할 수 없겠지요.  마치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듯 나이가 들어서도 자식을 애기와 같이 아껴주십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도 능력을 발휘하는 분들이 많지요.  이번 post에서는 위 내용의 고사성어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노우지독 노익장 논공행상1. 노우지독노우지독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老 牛 舐 犢 늙을 노소 우핥을 지송아지 독 노우지독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면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는다는 뜻이며, 속 뜻은 부모가 자녀를 매우 아끼고 사랑함을 비유한 사자성어이자 고사성어이지요. 모든 우리 부모님들은 자식에 대한 노우지독의 마음을 가지고 계십니다. 그래서 자식을 위해 목숨까지 버릴 각오를 할 정도로 매우 아끼시지요. 이런 부모님의 은혜를 잊지..

역사이야기 2024.05.10

내우외환, 노마식도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춘추시대

사람이 살다보면 여러가지 어려움을 직면할 수 있지요.  힘든일은 이따금 여러가지 복합적으로 오기도 합니다. 여기저기서의 어려움이 한꺼번에 닥치기도 하지요.  이럴때는 정말 골치가 아프고, 몸과 마음이 지치기 마련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지식보다는 경험이 많다면 슬기롭게 대처 할 수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내우외환 / 노마식도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니다.  내우외환 노마식도1. 내우외환 내우외환의 한자어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內 憂 外 患 안 내근심 우바깥 외근심 환 내우외환의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내부에서의 근심과 외부의 근심입니다". 안에 있는 걱정거리와 밖으로부터 오는 환란을 의미하지요. 개인으로 보자면 집안에서의 근심과 집밖에서의 사회적인 어려움,돈이나 인간관계, ..

역사이야기 2024.05.09

낭중지추, 남귤북지의 역사 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평원군

사람은 출신만으로 절대 판단할 수 없습니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났더라도 자라온 환경이 거칠거나 험하다면 그 사람의 앞길은 평탄치 않겠지요.  또한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도 좋은 환경 및 사람들과 교류한다면 충분히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숨어있어도 능력이 출중한 사람은 결국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와 같은 상황을 표현하는 고사성어, 사자성어인 낭중지추와 남귤북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낭중지추 남귤북지1. 낭중지추낭중지추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囊 中 之 錐 주머니 낭가운데 중갈 지송곳 추 낭중지추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주머니 속의 송곳을 뜻합니다. 주머니 속에 송곳을 넣고 다니면 언젠가는 옷을 찔러 튀어나오기 마련이지요. 아니면 살을 아프게..

역사이야기 2024.05.08

낙양지가귀와 남가일몽 한자구성과 뜻(의미), 역사 유래일화 - 베스트셀러

인생에서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 중 일부는 허무주의에 빠지기도 합니다.  또 일평생 큰 야망을 가지고 살다 마지막 순간에 이 모든 것이 의미없다고 후회하는 사람도 있죠.  이는 옛날 사람들도 마찬가지여서 이런 상황을 표현한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세간에 널리 알려진 책, 즉 베스트셀러를 표현한 고사성어도 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남가일몽과 낙양지가귀에 대해 알아봅니다.  남가일몽 낙양지가귀1. 남가일몽남가일몽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南 柯 一 夢 남녘 남가지 가한 일꿈 몽 남가일몽의 한자 그대로 뜻풀이 하자면 "남쪽 가지 아래의 한번의 꿈", "한낱 하루의 허망한 꿈", "한때의 부위영화"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인생의 부귀영화가 모두 한 번의 꿈과 같이 허무하다"로..

역사이야기 2024.05.07

금의환향, 금적금왕의 역사유래와 한자어 의미(뜻) - 안록산의 난

멋진 성공을 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면 그렇게 기분이 좋을수가 없겠지요. 과거시대에는 더더욱 그러했는데, 고향사람들의 존경과 환호를 한 몸에 받을 수 있었습니다.  입신양명이 중요했던 과거에는 이를 목표로 열심히 사는 인물들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전쟁에 있어 상대를 제압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었는데 그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상대의 우두머리, 왕을 곧바로 잡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북방민족의 방식이 그러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금의환향, 금적금왕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금의환향 금적금왕1. 금의환향금의환향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錦 衣 還 鄕 비단 금옷 의돌아올 환시골 향 금의환향을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면 "비단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온다"라는 뜻이며, 이것의 속 뜻은 타..

역사이야기 2024.05.06

근묵자흑, 근주자적, 금의야행의 한자 뜻(의미)와 유래 일화 - 환경의 중요성

사람이 성장하는데 있어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능력이라도 그 능력이 발휘될 수 없는 환경이라면 없으나마나한 것이 되겠지요.  환경이라 함은 주변의 사람, 분위기, 제도와 상황 모든 것이 포함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어느 조직이라도 자신을 PR하지 않으면 누구도 알아주지 않습니다. 실력과 더불어 자신을 어느정도 포장할 줄 아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이번 post에서는 근묵자흑, 근주자적, 금의야행에 대해 알아봅니다.  근묵자흑 근주자적 금의야행1. 근묵자흑, 근주자적근묵자흑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近 墨 者 黑 가까울 근먹 묵놈 자검을 흑 근묵자흑은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면, 먹을 가까이 하다보면 자기 자신도 검어진다는 뜻입니다.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

역사이야기 2024.05.05

권토중래와 궁여지책의 한자와 뜻(의미), 역사 유래일화 - 초패왕 항우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이를 감내하고 훗날을 위해 노력하는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눈앞의 어려움보다는 이를 미래의 지랫대로 삼아 끊임없이 노력하는 분들이지요.  한편 손해가 있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손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상황과 방법들이 있는데요. 이번 post는 이런 상황을 나타내는 권토중래와 궁여지책에 대해 알아봅니다.  권토중래 궁여지책1. 권토중래권토중래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捲 土 重 來 거둘/말 권흙 토거듭 중올 래 권토중래를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다시 돌아온다"라는 뜻입니다. 땅을 말아 다시오다라고도 풀이할 수 있지요. 전투에서 한 번 패했다고 하더라도 힘을 다시 길러 승리를 쟁취한다, 또는 어떤 일에 실패하더라도 다시 철저히 준비하여 성공을 ..

역사이야기 2024.05.05

군계일학, 구우일모, 구호탄랑의 뜻(의미)와 역사유래일화 - 유비와 여포

역사에서 보면 상대세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 또 다른 적을 끌어들이는 일이 많았습니다. 이이제이(오랑캐로 오랑캐를 잡는다)와도 일맥상통하는 계책이지요.   그리고 조직 안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이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가 있습니다.  한편 별거 아닌 사소한 일을 가리키는 단어도 존재하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위 3가지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고사성어) 구호탄랑, 군계일학, 구우일모에 대해 알아봅니다.  구호탄랑 군계일학 구우일모1. 구호탄랑구호탄랑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驅 虎 呑 狼 몰 구범 호삼킬 탄이리 랑 구호탄랑을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호랑이를 몰아 이리, 늑대를 잡는다는 뜻입니다. 나에게 위협이 되는 적을 내 손을 빌리지 않고 다른 세력을 이용하여 친다는 것이지요.  중국 역대 왕조..

역사이야기 2024.05.02

교주고슬과 구밀복검의 역사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장평대전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인간관계가 제일 힘들다고 합니다.  나와는 다른 생각, 생활방식을 가진 분들과 조직생활을 하다보면 정말 힘들때가 많지요.  그리고 상대방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어 곤혹스러울 때도 많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와 관련된 사자성어 2개에 대해 알아봅니다.  교주고슬 구밀복검1. 교주고슬교주고슬 사자성어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膠 柱 鼓 瑟 아교 교기둥 주북 고큰 거문고 슬 이 교주고슬은 춘추전국시대의 인물관련 일화에서 나온 성어입니다. 사마천의 "사기" 염파-인상여 열전에서 유래했지요. 줄여서 교슬이라고도 합니다. 한자어 그대로 뜻풀이하면 "기러기발을 아교로 붙이고 슬을 타다"입니다. 결론부터 예기하면 이 성어는 고지식하여 규칙에만 얽매이고 융통성이 전혀 없는 사람을..

역사이야기 2024.05.01

관포지교와 괄목상대의 역사 유래일화, 한자어 뜻과 의미 - 여몽

모든 것을 내어줄 수 있을 정도로 친한 친구가 있다면 그것만큼 행복한 일이 없겠지요.  이런 친구 하나만 있으면 삶이 외롭지 않고 풍족할 것입니다.  그리고 살다보면 못본 사이에 능력과 재능이 부쩍 향상된 사람들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 상황들을 나타내는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관포지교와 괄목상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포지교 괄목상대1. 관포지교관포지교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管 鮑 之 交 주관할 관절인물고기 포갈 지사귈교 관포지교는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사람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친구 사이의 깊고 좋은 우정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두 사람은 춘추시대 제나라의 정치가이며 제환공을 섬기던 신하였습니다.  한 평생 살아가면서 관포지교와..

역사이야기 2024.04.30

관장지용과 과하지욕의 유래 역사일화 및 뜻 - 관우와 장비

훗날의 영광을 위해 현재의 자신을 낮추거나 치욕을 감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나의 칼을 감추고 나중을 위해 힘을 숨겨 와신상담하는 인물들을 역사에서 많이 볼 수 있지요.  그리고 역사의 수 많은 용장,맹장이 있지만 우리에게 각인된 인물 둘이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 2개, 과하지욕과 관장지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과하지욕 관장지용1. 과하지욕과하지욕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胯 下 之 辱 사타구니 과아래 하어조사 지욕될 욕 사자성어 과하지욕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바지가랑이 밑을 기어들어가는 치욕을 뜻합니다.  자신만의 큰 뜻이 있는 인물은 쓸데없고 하찮은 일로 다른 사람들과 다투지 않는다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이지요.  그리고 사타구니 아래로 기어간 치..

역사이야기 2024.04.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