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내우외환, 노마식도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춘추시대

cky0214 2024. 5. 9. 10:29
반응형

사람이 살다보면 여러가지 어려움을 직면할 수 있지요.

 

힘든일은 이따금 여러가지 복합적으로 오기도 합니다. 여기저기서의 어려움이 한꺼번에 닥치기도 하지요.

 

내우외환

 

이럴때는 정말 골치가 아프고, 몸과 마음이 지치기 마련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지식보다는 경험이 많다면 슬기롭게 대처 할 수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내우외환 / 노마식도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니다.

 

 

내우외환 노마식도


1. 내우외환 

내우외환의 한자어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 내 근심 우 바깥 외 근심 환

 

내우외환의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내부에서의 근심과 외부의 근심입니다". 안에 있는 걱정거리와 밖으로부터 오는 환란을 의미하지요.

 

개인으로 보자면 집안에서의 근심과 집밖에서의 사회적인 어려움,돈이나 인간관계, 곤란한 상황을 겪고 있다면 이 사자성어를 사용할 수 있지요.

 

역사를 보자면 망해가는 국가는 꼭 내우외환, 즉 내부의 반란과 타국의 침략이 있었습니다.

 

내우외환

 

예를 들면, 명나라가 망할 때 청나라에 의해 멸망한 것이 아니고 내부의 이자성의 난에 의해 멸망했습니다. 뭐 난이 발생한 원인이 내부에만 있는 것은 아니었고 청나라의 침입으로 인해 백성들의 고생이 극에 달했기 때문이었지요.

 

청나라의 멸망과정도 보면 서구 열강의 침입도 있었지만, 동시에 내부적으로 정치가 썩고 여러 군벌들이 난립하는 과정에서 결국 멸망했습니다.

 

1.1 유래 일화

이 내우외환은 국어(國語),진어(晉語)편에 나오는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춘추시대 중엽, 여러 나라 중 막강한 두 나라인 초나라와 진()나라가 서로 대립하고 있을 때 진나라 사람 여공은 송나라와 동맹을 맺게 됩니다. 아군을 조금이라도 더 늘리려는 속셈이었지요. 하지만 몇 년 후 초나라 공왕이 정나라와 위나라를 공격하고, 이듬해에는 초나라와 진나라가 언릉에서 대치하게 됩니다.

 

춘추시대

 

진나라를 배신한 정나라를 정벌하려하자 초나라가 지원군을 보내 정나라를 돕게 하자 결국 두 나라는 직접 대치하게 되는 것이지요. 당시 진나라에는 사군 팔경이라는 뛰어난 인물들이 있었는데 중군장 난서, 중군좌 사섭, 상군장 극기, 상군좌 중항언, 하군장 한궐, 하군좌 지앵, 신군장 극주, 신군좌 극지입니다. 

 

이중 중군좌 사섭은 초나라와 싸우지 말것을 주장하지만 상군장 극기는 한 판 크게 붙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사섭은 제후가 반란을 일으키면 이것을 토벌하고 공격을 당하면 구원하여 나라는 이 때문에 혼란해집니다. 제후가 바로 혼란의 근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오직 성인군자만이 안으로부터의 근심, 밖으로부터의 재난도 충분히 견딜 수 있지만 성인이 아닌 우리들에게는 밖으로부터의 재난이 없어지면 반드시 안으로부터의 근심이 발생합니다"라고 말합니다.

 

 

외부 초나라의 위협이 약해지면 나라 내부의 근심이 커질 거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사섭의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초나라와 싸우게 되지요. 다행히 진나라의 대승으로 끝이 나게 되지만 사섭의 말대로 승리한 진나라 내부에서는 정치싸움이 시작되고, 군사력 역시 약화됩니다. 이로써 결국 BC403년 진나라는 3개의 나라로 쪼개지게 됩니다(조,위,한나라). 

 

내우외환은 위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2. 노마식도

노마식도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늙을 노 말 마 알 식 길 도

 

노마식도의 한자 그대로 뜻은 늙은 말이 길을 안다라는 뜻입니다. 노마지지, 노마지기, 노마지도 와 뜻이 같은 사자성어이지요.

 

이 성어는 겉뜻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이 어떤 사람이 경험이 많다면 일에 능숙하다는 뜻이고, 경험이 많은 사람을 일컫는 성어입니다. 또한 연장자 혹은 학식이 깊은 사람이 후진양성을 할 때, 가르칠 때 쓰는 성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노마식도

 

혹은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저마다의 장점과 장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고 똑똑한 사람도 경험에서 나오는 연륜을 못 이길 때가 많지요. 

 

2.1 유래 일화

이 노마식도는 한비자의 설림편에 나오는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중국 춘추시대 5패의 한사람, 제환공때의 일입니다. 어느 해 봄에 제환공은 명재상 관중과 대부 습붕을 데리고 고죽국을 정벌하러 나섰다가 돌오는 길에 길을 잃고 맙니다. 고죽국 각지의 저항도 거셌고, 길을 잃어 봄에 떠났지만 겨울이 되서야 철군을 하게 되었지요.

 

공격하는 와중에 적진에 너무 깊숙히 들어갔다가 철군하는 탓에 제나라 군사들은 길을 헤메고, 이상한 곳에서 빙빙 돌게 됩니다. 어딘지 모르고 헤메던 군사들이 혼란해지고 어지러워집니다. 

 

이때 관중이란 사람이 나와서 한 가지 제안을 하지요. 

 

그는 늙은 말의 슬기로움을 한 번 사용해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말합니다. 늙은 말들은 경험이 많아서 길도 잘 알기 때문에 자신들을 이끌어 줄 것이라는 것이지요. 그러면서 나이 든 말 몇 필을 골라서 풀어놓고 앞장서게 합니다. 역시나 였을까요 늙은 말들은 봄에 왔던 길 그대로 거꾸로 돌아가고 있었습니다. 

 

노마식도

 

결국 제나라 군사들은 무사히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지요.

 

이 일화를 두고 한비자는 설림편에서 이야기 하기를, 

 

"관중은 자신의 지식으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을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그러나 이를 수치스럽게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스스로 어리석음에서 옛 성현의 지혜를 따라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라고 적고 있습니다.

 

이 일화에서 나온 것이 노마식도 입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낭중지추, 남귤북지의 역사 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평원군

사람은 출신만으로 절대 판단할 수 없습니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났더라도 자라온 환경이 거칠거나 험하다면 그 사람의 앞길은 평탄치 않겠지요.  또한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도 좋은 환경

cky0214.tistory.com

 

낙양지가귀와 남가일몽 한자구성과 뜻(의미), 역사 유래일화 - 베스트셀러

인생에서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 중 일부는 허무주의에 빠지기도 합니다.  또 일평생 큰 야망을 가지고 살다 마지막 순간에 이 모든 것이 의미없다고 후회하는 사람도 있죠.  이는 옛날 사람들

cky0214.tistory.com

 

금의환향, 금적금왕의 역사유래와 한자어 의미(뜻) - 안록산의 난

멋진 성공을 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면 그렇게 기분이 좋을수가 없겠지요. 과거시대에는 더더욱 그러했는데, 고향사람들의 존경과 환호를 한 몸에 받을 수 있었습니다.  입신양명이 중요했던

cky0214.tistory.com

 

근묵자흑, 근주자적, 금의야행의 한자 뜻(의미)와 유래 일화 - 환경의 중요성

사람이 성장하는데 있어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능력이라도 그 능력이 발휘될 수 없는 환경이라면 없으나마나한 것이 되겠지요.  환경이라 함은

cky0214.tistory.com

 

권토중래와 궁여지책의 한자와 뜻(의미), 역사 유래일화 - 초패왕 항우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이를 감내하고 훗날을 위해 노력하는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눈앞의 어려움보다는 이를 미래의 지랫대로 삼아 끊임없이 노력하는 분들이지요.  한편 손해가 있더라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