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동병상련/두영심태/두각/동취 고사성어의 뜻(의미)과 역사 유래일화

cky0214 2024. 5. 15. 11:52
반응형

부정부패가 심한 사회에서는 돈으로 권력을 사는 행태가 만연하지요. 

 

백성들은 도탄에 빠지고 나라는 점점 기울어 갑니다. 

 

동병상련

 

멸망했던 고대국가의 말기를 보면 항상 이런 상황을 도처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힘든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돕는 모습을 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쓸 수 있는 고사성어들 알아보겠습니다.

 

 

동병상련/ 두영심태/ 두각/ 동취


1. 동병상련

동병상련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가지 동 병 병 서로 상 불쌍히 여길 련

 

동병상련의 한자 뜻은 "같은 한 가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불쌍히 여긴다"라는 뜻입니다. 

 

즉 같은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위로하고 어려운일을 돕는다는 뜻이지요.

 

이는 현대 중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성어입니다.

 

 

1.1 유래 일화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월춘추의 합려내전에 실린 일화에서 유래한 성어입니다. 

 

오자서가 합려를 오나라의 왕으로 옹립하여 정권을 차지하고 전국의 인재들을 등용하였는데, 이 중 내정과 정치에 능한 백비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오자서

 

사람들은 백비가 욕심이 많고 강직하지 않다고 욕을 했으나 오자서는 백비의 식솔들이 초나라왕에게 몰살당했음을 상기하며 "같은 질병을 앓는 사람들은 서로 동정하는 법이다", "백비와 나는 서로 같은 아픔을 앓고 있으니 나와 우리를 잘 이해할 것이다"라고 이야기하며 옹호했다고 합니다.

 

오자서와 백비

 

오자서라는 인물도 초평왕의 방관 속에 비무기의 농간에 의해 자기 집안이 멸족을 당해 오나라로 도망친 인사였고, 백비도 비무극의 차도살인으로 집안이 풍지박살이 나 오나라로 도망온 것이었죠.

 

그러나 세간의 평가대로 나중에 백비는 오자서의 은혜를 잊고 그와 정치적으로 대립했고, 오자서를 모함하여 그를 죽음에 이르게 합니다.

 

 


2. 두영심태

두영심태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머리 두 길 영 마음 심 클 태

 

두영심태의 겉 뜻은 "머리는 길고(독하고) 마음은 여리다"라는 뜻입니다.

 

2.1 유래 일화

두영심태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춘추전국시대 연나라에서 살고 있는 유명한 장사꾼 "태"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가게를 운영중이었는데 항상 문전성시에 손님이 많았지요. 하지만 사람들이 한번만 방문하고는 다시는 오지않는 가게였습니다.

 

이는 태라는 인물이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힘은 있었으나 욕심이 많았고 자신밖에 모르는 이기심이 있었기 때문이었지요. 사람들은 태를 보고 태는 머리는 좋으나 마음이 악한 사람이다 라고 손가락질하게 됩니다.

 

욕심

 

태가 사는 마을 옆에 "영"이라는 장사꾼이 살았는데, 태와 반대로 영은 마음씨는 참 착했으나 머리가 나빠 항상 사람들에게 이용만 당했고 장사도 잘 하지 못했지요. 그러나 마음씨가 착해 항상 사람들에게 베풀기만 했습니다. 

 

이 사람을 보고 사람들은 마음씨는 좋으나 머리가 나쁘다고 했고, 인간관계나 장사를 할 때는 마음과 머리가 둘 다 중요하고 이 2가지 중 어느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면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없는 것이지요.

 

이리하여 마음씨는 태, 머리는 영처럼 사람을 대하면 안된다는 뜻에서 두 사람의 이름인 "영"과 "태"를 따서 두영심태라는 성어가 완성됩니다.

 

 


3. 두각

두각을 나타내다라고 말할 때 두각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머리 두 뿔 각

 

두각의 한자어 뜻 그대로 풀이하면 머리의 뿔을 의미합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 중에 역량과 그 재능이 남들과 달리 뛰어남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이며, 보통 남보다 뛰어난 지능, 학식, 재능을 가진 사람을 지칭할 때 쓰이지요.

 

보통 누구누구가 어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라고 쓰입니다.

 

3.1 유래 일화

이는 당나라 사람 유종원의 묘지명에 나온 말입니다.

 

"두각을 나타내다"라는 뜻의 현두각(見頭角)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자후는 당나라 중기의 대표적인 문장가이사 시인 유종원의 자입니다. 위의 묘지명은 같은 시기 문장가 한유가 쓴 것이지요.

 

한유는 유종원과 같이 당나라 벼슬을 할 때 서로 친했는데, 한유가 유종원에 비해 5살이나 많았으나 이 둘은 둘도 없는 친구였습니다. 

 

유종원

 

한유

 

한유는 유종원이 죽자 묘지명에 유종원이 어릴때부터 재능이 뛰어났으며 이를 두고 현두각(見頭角)이라 표현하고 이를 새겨둔 것이지요. 

 

819년 유종원이 47세의 나이로 사망하고 이를 슬퍼하며 한유가 묘지명을 쓰게 됩니다. 

 

 


4. 동취

동취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리 동 냄새 취

 

동취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해보면 동전의 악취라는 뜻으로 돈에서 나는 독한 냄세, 부정부패를 뜻하며, 벼슬을 돈으로 산 사람을 빗대어 이야기하는 고사성어입니다.

 

매관매직을 하는 사람이나, 관직에 있는 사람이 부정부패를 일삼는다면 이 동취라는 성어를 사용할 수 있겠지요.

 

4.1 유래 일화

중국 후한 말, 전국 도처에서 태평도를 신봉하는 황건적에 의한 반란이 일어나고, 황실에서는 환관에 의한 부정부패가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국고는 텅텅 비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직을 돈 받고 파는 일까지 일어나게 되지요.

 

관직명에 따라 다 다르긴 했지만, 지방 태수의 경우 2천만이었고 그 아래 관직은 5백만이었다고 합니다. 

 

기주의 유명한 문장가 최열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명성은 높았으나 황태자의 유모인 정부인의 권력이 막강하다는 것을 알고 정부인에게 연줄을 대기 위해 5백만을 정부인에게 뇌물로 주고 사도라는 관직을 사게 됩니다. 최열이 임명될때 황제였던 영제는 잘만하면 1천만은 받을 수 있었다고 아쉬워하면서 정부인에게 불만을 토로했을 정도였다고 하지요.

 

매관매직

 

정부인은 돈은 받았으나, 최열은 관직을 돈으로 사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고 옹호했고 단지 자신을 통해 관직에 나서고 싶었을 뿐 뛰어난 사람이라 말합니다.

 

그러나 이는 소문이 쫙 퍼져 최열의 명성은 땅에 떨어지게 되고, 최열은 아들 최균에게 자신이 관직을 샀던 것을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습니다. 최균은 아버지 최열은 일찍이 재능이 뛰어나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으나 관직을 산 행동으로 사람들이 실망했고 돈냄세가 코를 찌른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동취가 유래했지요. 


같이보면 좋은 글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 고사성어의 의미(뜻)과 유래 일화 - 당나라 희종

중국 고대역사를 뒤돌아보면 용맹한 장수가 많았지요.  그 중 하후돈과 같이 한쪽 눈을 잃었어도 용맹한 무력을 뽐내는 장수가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당나라 시대 이극용같은 장수가 그러했

cky0214.tistory.com

 

대기만성 대도무문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노자 도덕경

젊은 시절에는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다가 나이가 들어 경험이 쌓이면서 특출난 재능을 보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 역사속에서 보자면 고려의 강감찬이 그러하겠지요.  강감찬은 60이

cky0214.tistory.com

 

담소자약, 견리망의 역사 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감녕과 장자

담대한 사람은 어떤 위기에 닥쳐도 항상 의연하고 여유로운 모습을 보입니다. 위급해도 항상 긍정적으로 상황을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요.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다양한 사람

cky0214.tistory.com

 

노우지독, 노익장, 논공행상의 한자어와 의미(뜻), 역사 유래 - 삼국지

부모님의 자식사랑은 그 어떤 말로도 온전히 표현할 수 없겠지요.  마치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듯 나이가 들어서도 자식을 애기와 같이 아껴주십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도 능력을 발휘

cky0214.tistory.com

 

내우외환, 노마식도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춘추시대

사람이 살다보면 여러가지 어려움을 직면할 수 있지요.  힘든일은 이따금 여러가지 복합적으로 오기도 합니다. 여기저기서의 어려움이 한꺼번에 닥치기도 하지요.  이럴때는 정말 골치가 아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