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 고사성어의 의미(뜻)과 유래 일화 - 당나라 희종

cky0214 2024. 5. 14. 11:05
반응형

중국 고대역사를 뒤돌아보면 용맹한 장수가 많았지요.

 

그 중 하후돈과 같이 한쪽 눈을 잃었어도 용맹한 무력을 뽐내는 장수가 있었습니다.

 

독안룡

 

이외에도 당나라 시대 이극용같은 장수가 그러했지요. 

 

그리고 고사성어 중에서는 지나친 욕심을 비난하고 반성하고자 하는 뜻의 성어가 꽤 많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와 관련된 고사성어인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에 대해 알아봅니다.

 

 

독안룡 돈제일주 동가식서가숙


1. 독안룡

독안룡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홀로 독 눈 안 용 룡

 

독안룡을 한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애꾸눈의 용"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속뜻으로는 한 눈만 가지고 있으나 용맹한 무인을 뜻하지요. 

 

애꾸눈의 장수라하면 단연 하후돈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하후돈은 전투에 나서 눈에 화살을 맞았지만, 화살에 찔린 자신의 눈을 먹기까지하며 싸우는 모습에 적들은 이를 매우 두려워했다지요.

 

하후돈은 조조의 사촌으로서 죽을때까지 위나라와 조조를 위해 헌신하여 싸우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1.1 유래 일화

당나라 제 18대 황제였던 희종 때 황소의 난이 발생합니다.

 

산동지방 출신인 황소는 왕선지란 사람과 같이 반란을 일으키는데, 그 위세가 대단하여 5년만에 10만이 넘는 반란군을 이끌게 됩니다. 이를 이끌고 부패했던 당시 당나라를 점령해 나갔고 결국 수도인 장안까지 점령하기에 이릅니다. 점령한 후 황소는 황제를 칭하고 제국을 세우지요.

 

황소의 난

 

이를 피해 예전 촉나라 수도 성도로 몽진을 떠난 희종은 사타족 출신 맹장 이극용을 등용하여 황소 토벌을 명합니다. 그러나 군사는 겨우 4만에 불과했지요. 이극용은 군사들을 모두 검은 옷을 입게 하고 매섭게 군을 이끌어 반란군을 토벌합니다. 그래서 황소군은 이 이극용의 군을 두고 "갈가마귀의 군사"로 부르며 매우 두려워하게 됩니다.

 

희종 다음의 제 19대 황제 소종이 즉위한 이듬해에 결국 황소의 반란군은 토벌되었고 황소도 죽게됩니다. 이 공로로 이극용은 현재의 감숙성 왕에 책봉됩니다. 하지만 이극용은 라이벌 주전충과 정권다툼에서 패해 죽게되지요.

 

이극용

 

라이벌을 제거한 주전충은 당나라 실권을 장악하고 20대황제 애종을 폐위시킨 후 후량을 세워 스스로 황제에 오릅니다. 하지만 16년 후 숙적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에게 멸망당하고 맙니다.

 

맹장 이극용에 대하여 중국 오대사 당기에는 아래와 같이 적혀있지요.

 

"이극용은 젊고 사납고 날쌨는데 군중에서는 이아아(李鴉兒)라고 불렸는데 이는 이극용이 애꾸눈이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왕의 자리에 오르자 그를 독안룡이라고 불렀다"

 

이극용은 태어날 때부터 한쪽 눈이 매우 작아서 마치 눈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고 합니다.

 


2. 돈제일주

돈제일주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돼지 돈 발굽 제 한 일 술 주

 

돈제일주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돼지 발굽과 술 한잔이라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속 뜻은 "작은 물건으로 많은 물건을 구한다"라는 뜻인데, 이는 이러한 행위, 내 것은 손해보지 않고 큰 이득을 얻으려는 행동을 비난하는 뜻이 담겨있지요.

 

모든 일이라는게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큰 투자나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법입니다. 이런 노력없이 결과만을 얻고자 한다면 돈제일주라 할 수 있겠지요.

 

그냥 되는 것은 없습니다.

 

2.1 유래 일화

돈제일주의 유래는 사마천 사기 골계열전과 사마광의 순우곤전에서 나옵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위왕 시기 강남의 강국 초나라가 대군을 이끌고 공격해옵니다. 이에 당황한 제나라 위왕은 이웃 강대국 조나라에 구원을 요청하게 되고, 사신으로 순우곤을 보냅니다.

 

춘추전국시대

 

이와 더불어 조나라에게 바칠 예물을 준비했는데 황금 100근과 수레 10대에 진귀한 보물을 가득실어 보냅니다. 

 

그런데 이때 사신 순우곤이 이 물품,예물들을 보고 한심한 듯이 크게 웃습니다.

 

순우곤

 

의아한 제나라 위왕은 정색하여 왜 웃는지 묻게되는데, 순우군은 아래와 같이 대답합니다.

 

"그렇게 여쭤보시니 말씀드리겠습니다. 소신이 어제 길을 가다가 풍작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는 집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집의 사람들은 돼지 족 하나와 술 한잔을 겨우 들고는 가을에 수확한 곡식이 많기를 기원하고 있었지요. 제사를 지내는데 그렇게 작은 것을 올려두고 원하는 것은 너무나 많은 것을 보고 한심한 생각이 들어 웃었습니다. 용서해주소서"

 

라고 이야기합니다.

 

순우곤은 공손하게 말을 했지만 사실은 제나라 위왕에게 들으라고 한 소리지요. 만약 대군을 이끌고 온 초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다면 보물은 물론 나라 전체가 불에 탈텐데 구원병 요청의 재물을 아껴서 무엇하겠냐는 것이지요. 

 

위왕은 이를 바로 알아듣고 자신이 어리석은 생각을 했다고 반성합니다. 당장 조나라에 보낼 예물을 기존 준비했던 것에 10배를 늘려 준비합니다. 

 

순우곤은 이 예물을 가지고 조나라로 가서 간곡히 요청하게 되고 조나라 왕은 바로 정예병 10만명, 전차 1000대를 구원군으로 파견합니다.이 소식에 초나라군은 두려움을 느끼고 바로 군대를 철수하게 됩니다.

 


3. 동가식서가숙

동가식서가숙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西 宿
동녘 동 집 가 먹을 식 서녘 서 집 가 잘 숙

 

동가식서가숙의 한자 뜻 그대로 보자면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라는 고사성어입니다. 

 

일정한 집과 거처 없이 떠도는 사람을 뜻하기도 하고, 진짜 속뜻은 "욕심을 지나치게 부리는 사람"을 비판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지요.

 

또 추가적인 의미로는 "지조가 없는 사람"을 비꼴 때 쓰기도 한답니다.

 

3.1 유래 일화

이 고사성어는 중국야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중국 어느 마을에 한 처녀가 살았는데 2명에게 동시에 청혼을 받게 되는 상황이 됩니다. 한 사람은 동쪽 마을에 사는데 재산이 많지만 얼굴이 못생겼고, 다른 한사람은 서쪽마을 청년으로 잘생겼지만 찢어지게 가난했습니다.

 

처녀의 부모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자 처녀는 "밥은 동쪽 집에서 먹고 잠은 서쪽 집에서 자면 안되나요?"라고 대답합니다.

 

위 일화를 통해 지나친 욕심을 부리는 사람을 비난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조금 다른 뜻을 갖게되는 일화도 있는데요.

 

고려가 망하고 이성계에 의해 조선이 건국된지 얼마 안되 태조는 개국공신을 모아 연회를 열게됩니다. 이 때 어느 신하가 기생 설중매를 놀리며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너는 낮에는 동쪽 집에서 먹고 밤에는 서쪽 집에서 자는 기생이니 오늘 밤은 나와 보내지 않겠느냐?"라고 말이지요.

 

설중매

 

이 말에 설중매는,"아무렴요, 어제는 고려조정을 섬기고 오늘은 조선 조정을 섬기는 대감이니 저와 밤을 보내시기에 딱 맞죠"라고 당돌하게 이야기 하지요. 

 

이 일화에서 동가식서가숙은 "지조없는 사람"을 비꼬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대기만성 대도무문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노자 도덕경

젊은 시절에는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다가 나이가 들어 경험이 쌓이면서 특출난 재능을 보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 역사속에서 보자면 고려의 강감찬이 그러하겠지요.  강감찬은 60이

cky0214.tistory.com

 

담소자약, 견리망의 역사 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감녕과 장자

담대한 사람은 어떤 위기에 닥쳐도 항상 의연하고 여유로운 모습을 보입니다. 위급해도 항상 긍정적으로 상황을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요.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다양한 사람

cky0214.tistory.com

 

노우지독, 노익장, 논공행상의 한자어와 의미(뜻), 역사 유래 - 삼국지

부모님의 자식사랑은 그 어떤 말로도 온전히 표현할 수 없겠지요.  마치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듯 나이가 들어서도 자식을 애기와 같이 아껴주십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도 능력을 발휘

cky0214.tistory.com

 

내우외환, 노마식도의 한자어 의미(뜻)과 역사 유래일화 - 춘추시대

사람이 살다보면 여러가지 어려움을 직면할 수 있지요.  힘든일은 이따금 여러가지 복합적으로 오기도 합니다. 여기저기서의 어려움이 한꺼번에 닥치기도 하지요.  이럴때는 정말 골치가 아

cky0214.tistory.com

 

낭중지추, 남귤북지의 역사 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평원군

사람은 출신만으로 절대 판단할 수 없습니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났더라도 자라온 환경이 거칠거나 험하다면 그 사람의 앞길은 평탄치 않겠지요.  또한 아무리 어려운 환경이라도 좋은 환경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