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63

권토중래와 궁여지책의 한자와 뜻(의미), 역사 유래일화 - 초패왕 항우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이를 감내하고 훗날을 위해 노력하는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눈앞의 어려움보다는 이를 미래의 지랫대로 삼아 끊임없이 노력하는 분들이지요.  한편 손해가 있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손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상황과 방법들이 있는데요. 이번 post는 이런 상황을 나타내는 권토중래와 궁여지책에 대해 알아봅니다.  권토중래 궁여지책1. 권토중래권토중래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捲 土 重 來 거둘/말 권흙 토거듭 중올 래 권토중래를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다시 돌아온다"라는 뜻입니다. 땅을 말아 다시오다라고도 풀이할 수 있지요. 전투에서 한 번 패했다고 하더라도 힘을 다시 길러 승리를 쟁취한다, 또는 어떤 일에 실패하더라도 다시 철저히 준비하여 성공을 ..

역사이야기 2024.05.05

군계일학, 구우일모, 구호탄랑의 뜻(의미)와 역사유래일화 - 유비와 여포

역사에서 보면 상대세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 또 다른 적을 끌어들이는 일이 많았습니다. 이이제이(오랑캐로 오랑캐를 잡는다)와도 일맥상통하는 계책이지요.   그리고 조직 안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이는 사람을 일컫는 용어가 있습니다.  한편 별거 아닌 사소한 일을 가리키는 단어도 존재하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위 3가지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고사성어) 구호탄랑, 군계일학, 구우일모에 대해 알아봅니다.  구호탄랑 군계일학 구우일모1. 구호탄랑구호탄랑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驅 虎 呑 狼 몰 구범 호삼킬 탄이리 랑 구호탄랑을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호랑이를 몰아 이리, 늑대를 잡는다는 뜻입니다. 나에게 위협이 되는 적을 내 손을 빌리지 않고 다른 세력을 이용하여 친다는 것이지요.  중국 역대 왕조..

역사이야기 2024.05.02

교주고슬과 구밀복검의 역사유래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장평대전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인간관계가 제일 힘들다고 합니다.  나와는 다른 생각, 생활방식을 가진 분들과 조직생활을 하다보면 정말 힘들때가 많지요.  그리고 상대방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어 곤혹스러울 때도 많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와 관련된 사자성어 2개에 대해 알아봅니다.  교주고슬 구밀복검1. 교주고슬교주고슬 사자성어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膠 柱 鼓 瑟 아교 교기둥 주북 고큰 거문고 슬 이 교주고슬은 춘추전국시대의 인물관련 일화에서 나온 성어입니다. 사마천의 "사기" 염파-인상여 열전에서 유래했지요. 줄여서 교슬이라고도 합니다. 한자어 그대로 뜻풀이하면 "기러기발을 아교로 붙이고 슬을 타다"입니다. 결론부터 예기하면 이 성어는 고지식하여 규칙에만 얽매이고 융통성이 전혀 없는 사람을..

역사이야기 2024.05.01

관포지교와 괄목상대의 역사 유래일화, 한자어 뜻과 의미 - 여몽

모든 것을 내어줄 수 있을 정도로 친한 친구가 있다면 그것만큼 행복한 일이 없겠지요.  이런 친구 하나만 있으면 삶이 외롭지 않고 풍족할 것입니다.  그리고 살다보면 못본 사이에 능력과 재능이 부쩍 향상된 사람들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 상황들을 나타내는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관포지교와 괄목상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포지교 괄목상대1. 관포지교관포지교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管 鮑 之 交 주관할 관절인물고기 포갈 지사귈교 관포지교는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사람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친구 사이의 깊고 좋은 우정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두 사람은 춘추시대 제나라의 정치가이며 제환공을 섬기던 신하였습니다.  한 평생 살아가면서 관포지교와..

역사이야기 2024.04.30

관장지용과 과하지욕의 유래 역사일화 및 뜻 - 관우와 장비

훗날의 영광을 위해 현재의 자신을 낮추거나 치욕을 감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나의 칼을 감추고 나중을 위해 힘을 숨겨 와신상담하는 인물들을 역사에서 많이 볼 수 있지요.  그리고 역사의 수 많은 용장,맹장이 있지만 우리에게 각인된 인물 둘이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 2개, 과하지욕과 관장지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과하지욕 관장지용1. 과하지욕과하지욕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胯 下 之 辱 사타구니 과아래 하어조사 지욕될 욕 사자성어 과하지욕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바지가랑이 밑을 기어들어가는 치욕을 뜻합니다.  자신만의 큰 뜻이 있는 인물은 쓸데없고 하찮은 일로 다른 사람들과 다투지 않는다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이지요.  그리고 사타구니 아래로 기어간 치..

역사이야기 2024.04.29

[고사성어] 공수래공수거, 과유불급의 유래 일화 및 의미(뜻) - 공자

인생은 무엇을 위해 살까요? 삶이 힘들때나 고민이 많을 때 드는 생각이지요. 그러나 생각을 하면 할수록 정답이 없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지요. 바로 공수래공수거입니다. 그리고 어떤일에 욕심을 내다 일을 망치게 되면 과유불급이라 이야기하며 욕심에 대한 경계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일화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수래공수거 유래일화1. 공수래공수거공수래공수거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空 手 來 空 手 去 빌 공손 수올 래빌 공손 수갈 거 고사성어 공수래공수거는 태어날 때 빈손으로 와서 죽을 때 빈손으로 간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많은 돈을 벌거나 재산이 많더라도 죽을 때는 아무것도 가져가지 못하고 모두 부질 없다는 뜻이며, 삶..

역사이야기 2024.04.28

[사자성어] 곡학아세와 고육지책의 유래 역사일화 및 뜻(의미)

현대와 같은 정보화 시대에는 넘치는 정보속에서 의미있는 것을 골라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가짜정보, 가짜뉴스가 판을 치니 정보를 통한 가치판단이 어려운 시대이지요.  지금은 무엇이 진실인지 가려내는 것이 진정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려운 상황에서 손해를 무릅쓰고 해결방법을 찾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이지요. 이번 post에서는 위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 곡학아세와 고육지책에 대해 알아봅니다.  곡학아세 고육지책1. 곡학아세곡학아세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曲 學 阿 世 굽을 곡배울 학언덕 아대 세 사자성어 곡학아세는 "사기"의 유림열전에서 나온 것으로,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면 정통적인 학문의 길에서 벗어나 온 세상을 어지럽히고 왜곡하여..

역사이야기 2024.04.27

[사자성어] 계명구도와 계포일낙의 유래일화 및 뜻(의미) - 춘추전국시대

내 능력이 쓸모가 있을까? 이런 재주를 어디다 써먹지? 사람들에게는 돈도 안되는것 같고 어디서 써먹지도 못할 것처럼 생각되는 재주가 하나씩 있지요. 이럴때 쓰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신뢰가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믿음을 주는 사람을 일컫는 사자성어도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계명구도와 계포일낙에 대해 알아봅니다. 계명구도 계포일낙 1. 계명구도 계명구도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鷄 鳴 狗 盜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 도 한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닭 울음소리를 내는 사람, 개 흉내를 잘 내는 도둑이라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보잘것 없느 재주, 그런 재주만 있는 사람도 어딘가에는 쓸모가 있다는 의미이지요. 아무리 쓰잘데기없는 재주와 능력이라도 반드시 어떤 것에는 쓸모가 있다는 말입니다. 특히 ..

역사이야기 2024.04.24

[고자성어] 계륵과 계란유골의 유래와 뜻, 역사일화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를 살펴보다보면 삶의 교훈뿐 아니라 역사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고대 인물들의 지혜와 지략, 삶을 대처하는 자세등도 본받을 수 있지요. 이번 post에서는 고사성어 2개, 계륵과 계란유골의 뜻, 유래등을 알아봅니다. 계륵과 계란유골 1. 계륵 계륵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鷄 肋 닭 계 갈빗대 를(늑)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닭갈비"가 되는데, 우리가 맛나게 먹는 그 닭갈비가 아니고 여기서 예기하는 것은 말 그대로 닭의 갈비를 뜻합니다. 닭의 갈비뼈 부분은 살은 다리처럼 쫄깃하고 부드러워 맛나지만, 갈비뼈 쪽 구조상 살을 발라서 먹으려면 상당히 귀찮지요. 손도 많이 가구요. 그러나 정작 발라내도 고기양은 얼마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고사성어의 뜻은 별로 이득이 되지 않지만 버리..

역사이야기 2024.04.23

[사자성어] 경국지색과 계구우후의 의미와 뜻, 유래가 된 일화

사자성어는 그 자체로 교훈 뿐만 아니라 유래를 통해 역사도 배울 수 있습니다. 글을 쓸때 내용을 좀 더 풍부하게 해주고,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좀 더 뜻을 이해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지요. 이번 post에서는 아름다움을 뜻하는 경국지색과 용의 꼬리보다는 뱀의 머리가 낫다는 뜻과 유사한 계구 우후에 대해 알아봅니다. 경국지색 계구우후 1. 경국지색 경국지색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傾 國 之 色 기울어질 경 나라 국 어조사 지 빛 색 경국지색을 한자 그래도 표현하자면 "나라를 기울게 하는 미녀"입니다. 비슷한 성어로 경성지미( 傾城之美)가 있지요(성을 기울게 하는 미인이라는 뜻). 이 경국 지색은 이연년(李延年)의 시에서 비롯된 사자성어로서, 국가의 운명을 위태롭게 할 만한 절세미인을 가리키는 사자..

경제이야기 2024.04.22

[사자성어] 견원지간, 결초보은의 한자 및 뜻과 출처는?

서로 으르렁거리며 원수같은 사이를 표현할 때 견원지간이란 사자성어를 씁니다. 서로 섞일수가 없는 물과 기름같은 사이를 나타내는 말이지요. 결초보은은 은혜를 갚는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 두 사자성어에 대해 한자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전무후무의 유래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시구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견원지간 결초보은 1. 견원지간 견원지간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犬 猿 之 間 개 견 원숭이 원 어조사 지 사이 간 한자..

역사이야기 2024.04.21

[사자성어] 격장지계, 격안관화의 뜻과 유래 - 삼국지 일화

삼국지를 읽다보면 수 많은 영웅호걸들의 활약을 볼 수 있습니다. 무력이 뛰어난 장수가 몇 만의 군사를 상대로 멋지게 싸우는 장면이나, 적군을 혼돈에 빠지게 하는 계책, 멋진 설득을 통해 아군으로 끌어들이는 책사의 모습들은 삼국지를 읽는 재미를 더해줍니다. 또한 현재를 살아가는 삶의 교훈도 많이 알려주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삼국지 일화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사자성어 격장지계, 격안관화에 대해 알아봅니다. 제갈량일화로부터 나온 전무후무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세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

역사이야기 2024.04.20

[사자성어] 거안제미, 거자일소, 검려지기의 뜻 및 유래 일화, 역사

사자성어 혹은 고사성어에는 인간관계, 집안의 가족간의 관계에 대한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과거의 언어라 치부해버리는 면이 없지 않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분명 교훈과 가르침이 있는 말들입니다. 시대가 변해도 인간은 삶의 형태만 변화할 뿐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예전과 별반 다른 것이 없기 때문이지요. 이번 post에서는 거안제미, 거자일소, 검려지기에 대한 뜻과 유래 알아봅니다. 전무후무의 유래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세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

역사이야기 2024.04.19

[사자성어] 개원지치, 개성포공의 뜻과 유래 - 제갈량과 당나라

개성포공은 진심을 다하고 공정한 도리를 배푼 관리를 일컬어 후대에 그를 칭찬하는 성어입니다. 역사에서는 제갈량을 비롯해 수 많은 인물이 있었지요. 그리고 개원지치는 당나라의 치세시대를 표현하기 위해 나온 사자성어이자 고사성어입니다. 이번 post에서는 개원치지와 개성포공에 대해 알아봅니다. 제갈량의 전무후무 사자성어에 대한 글도 같이 재미있게 봐주세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개원치지 개성포공 1. 사자성어 뜻 두 사자성어의 한자와 그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역사이야기 2024.04.18

[사자성어] 가인박명과 가정맹어호의 뜻과 그 유래는?

사자성어는 대부분 고전 일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옛날 옛적의 사건 혹은 시대 상황을 담고 있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 많지요. 이런 사자성어(고사성어)를 통해 현재의 우리를 바라보고 깨달음과 교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가정맹어호와 가인박명의 뜻과 그 유래를 통해 배울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촉나라 제갈량일화로부터 탄생한 전무후무에 대한 post도 재밌게 봐주시구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가인박명 가정..

역사이야기 2024.04.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