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사자성어] 개원지치, 개성포공의 뜻과 유래 - 제갈량과 당나라

cky0214 2024. 4. 18. 11:33
반응형

개성포공은 진심을 다하고 공정한 도리를 배푼 관리를 일컬어 후대에 그를 칭찬하는 성어입니다.

 

역사에서는 제갈량을 비롯해 수 많은 인물이 있었지요.

 

제갈량

 

그리고 개원지치는 당나라의 치세시대를 표현하기 위해 나온 사자성어이자 고사성어입니다.

 

이번 post에서는 개원치지와 개성포공에 대해 알아봅니다.

 

제갈량의 전무후무 사자성어에 대한 글도 같이 재미있게 봐주세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개원치지 개성포공


1. 사자성어 뜻

두 사자성어의 한자와 그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1.1 개원지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열 개 으뜸 원 갈 지 다스릴 치

 

개원치지는 당나라 현종 시기(이융기,712년~756년)의 태평성대를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때의 당나라 연호가 개원(開元)이라 개원이란 단어가 붙었습니다.

 

직영하면 개원시대의 치세이며 개원성세라고도 하지요. 당현종은 당나라 6대 황제이자 당나라 역대 황제중 43년으로 최장기간 재위한 황제였습니다. 

 

앞선 시대에 고구려를 멸망시켰고 돌궐2제국이 무너지면서 국경이 안정되었고, 여러 소국가를 정복하며 영토가 확장되었음은 물론, 중앙아시아까지 영향력이 확대되었습니다. 

 

실크로드의 무역을 독점하면서 경제력도 크게 향상되었으며, 수도 장안은 아라비아 상인이 드나드는 등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하여 한 때 인구가 100만에 달하는 국제도시였습니다.

 

 

1.2 개성포공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열 개 정성 성 베 포 공평할 공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개성포공은 관리가 진심과 정성을 다하고, 공정한 도리를 베풀었다는 뜻입니다. 

 

정책을 세우고 적용함에 있어 백성을 생각하고 공정하게 법을 집행하는 훌륭한 관리를 뜻하는 말이며, 이는 정사 삼국지에서 저자인 진수가 제갈량 공명을 칭찬하며 남긴 말을 통해 유래되었습니다.

 

또한 사심이 없고, 평생 한 주군을 모시며 진정성 있게 임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자성어가 되겠습니다.

 

현대의 공무원이라면 마땅히 배워야 할 사자성어라 생각되네요.

 


2. 사자성어 유래

2.1 개원지치

위에서 언급했듯 당나라 6대 황제인 현종의 치세를 일컫는 성어인데, 현종은 즉위 후 잇따른 정변으로 인한 혼란을 빠르게 수습했고 유능한 인재들을 등용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측천무후때부터의 폐단을 정리하고 고쳐 태평성대를 열게 됩니다. 이 때의 당나라는 국경이 안정되고 인구가 증가했으며(5천만 이상)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풍요로움을 맞이합니다.

 

지방 절도사 직책을 신설하고 모병제를 실시하여 군사력의 질적강화, 이민족에 대한 지배력 상승이라는 효과를 보았지요.

 

양귀비

 

그러나 말년에 가서는 그도 역시 타락하게 되는데요. 742년 현종은 연호를 천보로 바꾸었고, 기존의 청렴한 이미지가 퇴색되는 행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사치스럽고 향락적인 생활을 하기 시작했으며(천보난치), 그 이름도 유명한 양귀비에게 빠져버립니다.

 

관리였던 재상 이임보는 전횡과 독단을 일삼았으며, 지방 절도사의 힘이 너무 쎄져 중앙정부의 힘이 미치지 못했으며, 이슬람세력과의 지속 충돌로 군사력이 약해져버립니다. 

 

결국 안사의 난이 발생하여 당나라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지요. 

 

 

안사의 난

 

비슷한 사자성어로 당태종 때의 태평성대를 뜻하는 성어 "정관지치"와 항상 같이 언급되는 용어입니다.

 

 

2.2 개성포공

개성포공은 정사 삼국지의 저자 진수가 촉서에서 제갈량을 평가하는 대목에서 유래했습니다. 진수는 제갈량을 평가하면서 "제갈량은 상국이 되어 진심을 다하고 공정한 도리를 베풀었다"라고 평가했지요(諸葛亮之相國也……開誠心, 布公).

 

촉한의 승상에 오른 제갈량 공명은 초대황제 유비의 굳건한 신임을 받았습니다. 유비는 죽기전에 유선을 그에게 부탁했고 나라를 잘 이끌어줄 것을 당부했지요.

 

또한 유선을 보좌하되 유선이 멍청하거나 국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대신하여 황제에 오를 것을 간청합니다.

 

제갈량

 

그러나 충신 제갈량은 전력을 다해 어린 군주인 유선을 도와 나라를 다스리게 됩니다. 이엄은 구석을 받고 왕위에 오를 것을 권유하기도 하지만, 제갈량은 선제의 부탁이 있었고, 이미 승상의 자리에 올랐으니 더 바랄것 없다며 거절하지요.

 

북벌에도 아직 성공하지 못했고, 이미 황실이 내려준 은혜에 보답하지 못했기 때문에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제갈량 공명은 일을 처리할 때 항상 공정하고 합리적이었으며 사사로운 정에 얽매이지 않았습니다.

 

아끼던 장군 마속을 결국 참하고, 승상에서 우장군으로 강등되기를 청하기도 했으며, 관리들을 시켜 자신의 결점과 잘못을 비판하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읍참마속

 

제갈량은 상국이 되어 백성을 어루만지고 예법의 본보기를 보였고, 성심을 열어 공도를 베풀었습니다. 모든 일에 명분과 실리가 서로 부합하게 했으며 헛된 것은 입에 담지도 않았습니다.

 

모든 백성과 관리가 그를 두려워하면서도 존경하고 경애하였으며, 벌을 내림에 있어서도 공평하여 원망하는 자가 없었습니다. 

 

234년 북벌을 진행하던 중 오장원의 군중에서 사망하였는데, 평생을 청빈하게 살아 후대에 아무것도 남겨주지 않았습니다.

 

후세 사람들은 진심을 다해 공정한 도리를 베푼다는 의미인 "開誠心, 布公道" 을 줄여 개성포공이라 하였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사자성어] 가인박명과 가정맹어호의 뜻과 그 유래는?

사자성어는 대부분 고전 일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옛날 옛적의 사건 혹은 시대 상황을 담고 있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 많지요. 이런 사자성어(고사성

cky0214.tistory.com

 

[사자성어] 가렴주구와 가도벽립의 뜻과 유래 일화

고대시대 험난한 백성의 삶을 표현한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가렴주구와 가도벽립인데요. 둘 모두 고달펐던 백성의 생활, 가혹한 수탈을 당했던 역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농민

cky0214.tistory.com

 

[사자성어] 순망치한, 보거상의, 가도멸괵의 뜻과 그 유래

사자성어 시리즈. 이번 post에서는 서로 공생관계일 때 사용하는 순망치한, 보거상의, 병법에 나오는 가도멸괵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인데요. 3가지 성어를 한꺼번에 알아보는 이유는 이 3개가 모

cky0214.tistory.com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의 뜻과 유래 - 한나라 두영

정보화시대, 여러가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여기저기서 떠도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로인해 피해를 보거나 이득을 보는 사람이 분명 존재하지요. 물론 사실로 밝혀지는 내용도 있겠지만

cky0214.tistory.com

 

중국 고대국가의 인구는 몇 명이었을까? 역대 중국 국가 왕조의 인구 통계

중국의 현재 인구는 2023년 기준 1,425,671,352명(14억2천만명)으로 인도에 이어 세계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인구의 17.5%를 차지하는 어마무시한 숫자이지요. 역사적으로도 세계인구의 40%를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