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사자성어] 가인박명과 가정맹어호의 뜻과 그 유래는?

cky0214 2024. 4. 17. 12:15
반응형

사자성어는 대부분 고전 일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옛날 옛적의 사건 혹은 시대 상황을 담고 있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 많지요.

 

가인박명

 

이런 사자성어(고사성어)를 통해 현재의 우리를 바라보고 깨달음과 교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가정맹어호와 가인박명의 뜻과 그 유래를 통해 배울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촉나라 제갈량일화로부터 탄생한 전무후무에 대한 post도 재밌게 봐주시구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가인박명 가정맹어호


1. 사자성어의 뜻

가인 박명과 가정맹어호의 한자와 그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1.1 가인박명

가인박명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름다울 가 사람 인 엷을 박 목숨 명

 

이 성어의 명확한 출전은 송나라 시인 소식의 박명가인시(薄命佳人)에서 나왔습니다.

 

가인박명을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자면, 여인의 미모가 뛰어나고 아름다우면 단명하거나 인생이 불행하고 고생한다는 뜻이지요.

 

천하 절세의 여인의 인생이 어떤 이유로 인해 명이 짧거나 고생할 때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비슷한 용어로 미인박명(美人薄命)이 있는데, 가인박명보다는 이 미인박명이 더 잘 알려져 있고 쓰이고 있습니다.

 

가인박명

 

둘 다 같은 뜻이지요.

 

현재와 같은 평등한 시대가 아닌 과거의 신분제도가 있었을 때, 용모가 뛰어난 여성은 편안하게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지요.

 

신분이 높은 사람들의 노리개가 되거나, 질투의 대상이 되어 고생하는 것은 자주 있는 일이었습니다.

 

같은 신분이라도 많은 질투와 시기를 받으며 험난한 생활을 했으며, 가인박명은 이런 여인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1.2 가정맹어호

가정맹어호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혹할 가 정사 정 사나울 맹 어조사 어 범 호

 

가정맹어호는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입니다.

 

이는 예기, 단궁 하편에 속한 일화에 뿌리를 둔 사자성어로 예전 정치 세태를 비꼬는 말이지요.

 

비슷한 성어로 가렴주구가 있는데, 이는 예전 지방관리들이 세금을 가혹하게 걷거나 부역을 강요하고, 벼라별 명목으로 재물을 뜯어내는 등의 폭정을 저질러 백성이 힘들어 질 때를 표현한 사자성어이지요.

 

가정맹어호

 

근세 이전 시대의 백성들은 탐관오리에 의한 가혹한 삶을 겪는 경우가 많았지요.

 

이는 어떤 면에서는 현대시대의 국가에서도 들어맞는 경우일수도 있습니다.

 

비슷한 성어로 "무이이야"도 이런상황을 나타낸 말입니다.

 


2. 유래 일화

위에서 살펴본 두 사자성어의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2.1 가인박명 유래

가인박명의 박명이란 수명이 짧은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팔자가 사납거나 삶이 기구하다는 뜻입니다.

 

소동파(소식)가 지은 시에서, 출가해 속세를 벗어날 정도로 인생의 기구함을 박명이라 표현했지요.

 

소동파(소식)

 

소동파는 아름다운 비구니를 발견하고는 지은 시 박명가인시에서 이를 두고 "자고가인다박명(自古佳人多薄命)"이라 했는데, 이 성어는 여기서 유래한 것입니다.

 

예전 어르신들이 자녀들의 아명에 천한 단어를 붙여 지어주곤 했는데요, 이 이유는 이름까지 좋고 아름다우면 귀신이 심술을 부려 삶을 기구하고 어렵게 만들까봐 였다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천한 아명을 지어주면 귀신들이 천하다고 여겨 삶을 방해하지 않을거라는 믿음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풍습은 원 간섭기때 유입된 유목민의 풍습으로, 인종의 경우 아명이 백돌이, 고종은 개똥이었다고 합니다.

 

가인 박명

 

보통 이 가인박명의 대명사로 양귀비가 꼽히곤 하는데요, 고생스런 인생을 살다가 안록산의 난 때 죽고 말지요. 

 

또 다른 설이 있다면, 팔방미인 성어처럼 아름다움이 아니라 재주를 뜻한다는 설이 있습니다. 

 

천재는 요절한다는 의미로 역사속에서 이런 인물들이 꽤 있었지요. 

 

평생 쓸 재주를 미리 당겨서 다 썼기 때문에 일찍 죽는다는 의미에 의해 탄생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2.2 가정맹어호 유래

가정맹어호는 중국 춘추시대 말 공자의 고향나라 노나라의 실세였던 대부 계손자의 폭정을 비판하며 생긴 사자성어입니다.

 

공자가 어느날 제자들과 태산 기슭을 넘을 때, 어느 부인이 무덤 앞에서 울며 슬퍼하고 있었습니다.

 

공자

 

공자가 이 여인의 슬퍼하는 소리를 듣고 절을하고 제자인 자로(子路)에게 사연을 물어보라 시킵니다.

 

자로는 어떤 일이 있으셔서 그리 슬피 우냐고 물어보게 되지요.

 

슬퍼하던 여인은 깜짝 놀라 울음을 그치고, 너무 무섭고 슬픈 곳이라 울고 있었다 답합니다.

 

부인의 시아버님이 몇 해전 호환으로 돌아가시고 몇 달전에는 남편이 호환을 당해 죽었고, 이번엔 아들까지 호랑이에게 당하고 말았다고 말합니다.

 

자로

 

이 말을 들은 자로는 공자에게 이 사실을 전하고, 공자는 반문합니다. 

 

이렇게 무서운 일을 당했는데 왜 떠나지 않느냐고 물었지요.

 

이에 부인은 현재 살아가는 이곳에는 가혹한 정치가 없기 때문이라 말합니다.

 

가혹한 폭정에 시달리며 하루하루 어렵고 고통스럽게 살아가느니 차라리 호랑이에 시달리는 것이 낫다는 말이었지요.

 

이를 듣고는 공자는 너무 큰 슬픔에 빠져 제자들에게 말합니다.

 

"참으로 안타깝구나, 모두들 이것을 반드시 기억하거라, 이처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것이니라"

 

라는 말을 남겼으며, 가정맹어호의 유래가 됩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사자성어] 가렴주구와 가도벽립의 뜻과 유래 일화

고대시대 험난한 백성의 삶을 표현한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가렴주구와 가도벽립인데요. 둘 모두 고달펐던 백성의 생활, 가혹한 수탈을 당했던 역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농민

cky0214.tistory.com

 

[사자성어] 순망치한, 보거상의, 가도멸괵의 뜻과 그 유래

사자성어 시리즈. 이번 post에서는 서로 공생관계일 때 사용하는 순망치한, 보거상의, 병법에 나오는 가도멸괵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인데요. 3가지 성어를 한꺼번에 알아보는 이유는 이 3개가 모

cky0214.tistory.com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의 뜻과 유래 - 한나라 두영

정보화시대, 여러가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여기저기서 떠도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로인해 피해를 보거나 이득을 보는 사람이 분명 존재하지요. 물론 사실로 밝혀지는 내용도 있겠지만

cky0214.tistory.com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삼국지에 등장하는 중국 옛 지명 관중은 도대체 어디인가?

삼국지나 춘추전국시대의 이야기를 보다보면 관중이라는 지명이 나옵니다. 마초와 한수가 조조에게 반기를 들때 봉기했던 곳이 관중이며, 진시황의 진나라의 수도였던 장안도 관중에 속해있습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