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사자성어] 순망치한, 보거상의, 가도멸괵의 뜻과 그 유래

cky0214 2024. 4. 15. 11:57
반응형

사자성어 시리즈.

 

이번 post에서는 서로 공생관계일 때 사용하는 순망치한, 보거상의, 병법에 나오는 가도멸괵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인데요.

 

순망치한

 

3가지 성어를 한꺼번에 알아보는 이유는 이 3개가 모두 한가지 사건에서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의 일화를 통해 탄생한 사자성어 알아봅시다.

 

유언비어의 유래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세요.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의 뜻과 유래 - 한나라 두영

정보화시대, 여러가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여기저기서 떠도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로인해 피해를 보거나 이득을 보는 사람이 분명 존재하지요. 물론 사실로 밝혀지는 내용도 있겠지만

cky0214.tistory.com

 

 

순망치한, 보거상의, 가도멸괵


1. 사자성어 뜻

각 사자성어의 한자와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순망치한

 

순망치한은 입술이 없으면 이 또한 시리다라는 사자성어로, 둘 중 하나가 망하면 나머지도 망함을 걱정하라는 비유로 쓰이지요.

입술 순 망할 망 이 치 찰 한

 

 

● 보거상의

 

보거상의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가 서로 의지하는 형세를 의미하는 뜻으로, 순망치한과 비슷하게 서로도와 의지하는 관계를 뜻할 때 씁니다.

도울 보 수레 거 서로 상 의지할 의

 

 

● 가도멸괵

 

가도멸괵은 한자 그대로 보자면 길을 빌려 괵나라를 멸한다는 뜻입니다. 군사계획의 의도를 숨기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전술이지요.

 

36계의 하나이며, 임진왜란 때 일본이 조선을 향해 했던 말 "정명가도"가 이 가도멸괵에 해당합니다.

거짓 가 길 도 멸할 멸 나라이름 괵

 

 

 

 

 


2. 사자성어 유래 

위에서 살펴본 3가지 사자성어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하나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춘추 5패 중 하나인 진(晉) 헌공이 작은 나라 서괵(西虢)의 공격을 준비하게 되는데, 이 때 중간 길목의 우()나라에게 길을 빌려달라고 부탁합니다.

 

우나라는 진과 서괵 사이에 있는 나라로서, 괵나라를 공격하려면 반드시 우나라를 거쳐가야 했습니다.

 

군사를 동원하여 강제로 요청한 것은 아니었고 사신과 보물을 준비하여 부탁하게 되는데, 우나라의 왕은 이를 보고 진나라의 요청을 수락하려합니다.

 

가도멸괵

 

이 소식을 들은 우나라 궁지기가 우나라왕에게,

 

"괵나라는 우리의 담장과 같습니다. 괵이 망하면 우리도 같이 망할 운명입니다. 남을 치는 군대를 돕는 것은 상서롭지 못한 것입니다.

 

바퀴와 덧방나무는 서로 의지하며(보거상의),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린 법(순망치한)이니, 괵과 우리는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말을 들은 왕은 보물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진의 요청을 수락하게 됩니다. 

 

궁지기는 가족을 데리고 결국 우나라를 떠나면서, "우나라는 올해 안으로 망할 것이다"라고 사람들에게 말합니다.

 

그의 걱정대로 진은 괵나라를 멸망시킨 후(가도멸괵), 회군하는 길에 우나라도 공격하여 멸망시켰으며 선물로 주었던 보물 역시 모두 되찾아 갑니다.

 

보거상의

 

당시에 진나라군을 통솔했던 이극 장군은 괵을 멸망시키고 우나라를 알아서 지나가겠다던 약속을 어기고 우나라에 군대를 주둔시키지요.

 

우나라가 항의해봤지만 이극은 병이 있어서 잠시 쉬는 거라고 무시하지요. 우나라는 힘이 없는 관계로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합니다.

 

결국 이극은 대대적으로 우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우왕을 사로잡습니다.

 

 

 

 

 

 

우나라의 궁지기 말고도 이를 결사반대했던 신하 백리해는 우나라가 멸망한 뒤에 진()나라에서 관직을 받아 진목공을 도와 진나라 발전에 기여합니다.

 

이후 진을 천하의 강국으로 발돋움시켰으며 오고대부에까지 오릅니다.

 

한편 보물에 눈이멀어 우나라를 멸망에 이르게 한 우나라왕은 모든 재산을 빼앗기고 외곽에 유배당한 뒤 죽게됩니다. 

 

순망치한

 

이 일련의 사건을 가도멸괵이라 하며, 멸망한 괵나라와 우나라를 일컬어 순망치한, 보거상의라 부릅니다. 


3. 역사속 사례

역사속에는 위와 같은 사례가 많지요.

 

임진왜란 시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을 침략하면서 가도정명, 명나라를 치기 위해 길을 빌려달라는 명분으로 전쟁을 시작합니다.

 

가도정명

 

그러나 조선과 명의 연합으로 이를 물리치지요.

 

춘추전국시대 1강이었던 진에 대항하기 위해 6국이 연합하는 합종연횡은 6국의 형세가 순망치한의 모습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6국의 이해관계가 다 달라 결국 합종, 연횡을 반복하다가 진왕 영정 즉위 이후 BC230년 한나라를 시작으로 BC221년 제나라까지 멸망하여 전국이 통일됩니다.

 

합종연횡

 

삼국지에서는 주유가 동맹관계였던 유비에게 촉을 정발할테니 형주를 통과해달라고 제안하지만 제갈량은 이를 가도멸괵의 책략임을 알고 간파하여 이를 격퇴합니다.

 

 

고구려는 위나라와 함께 동연(공손연)을 같이 공격하여 멸망시키지만, 동연은 고구려를 위나라로부터 지켜주는 방파제 역할이었지요.

 

동연이 멸망한 후 고구려는 강대국 위나라와 대치하게 되며, 후에 관구검에게 침공을 받고 수도도 털리는 치욕을 맛봅니다.

 

관구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북방민족을 통제하던 고구려가 없어지자 여러 북방민족에 고통을 당합니다.

 

거란, 선비, 말갈, 돌궐 등 수많은 북방민족을 관리하기 위해 지방 절도사의 힘을 키워줘야 했으며 결국 이는 당나라를 멸망시키는 원인을 제공합니다.

 

중국 북송에게 요나라는 원수의 나라였지만, 후에 등장하는 더 강한 나라 금나라는 생각하지 못했나봅니다.

 

금과 손을 잡고 요나라를 멸망시키지만 이후 금나라에게 화북이북지역을 빼앗기며 남쪽으로 쫓겨납니다.

 

남송역시 몽골과 손을 잡고 금나라를 멸망시켰지만, 몽골과 국경을 맞대는 순간 침공을 받아 멸망하게 됩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의 뜻과 유래 - 한나라 두영

정보화시대, 여러가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여기저기서 떠도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로인해 피해를 보거나 이득을 보는 사람이 분명 존재하지요. 물론 사실로 밝혀지는 내용도 있겠지만

cky0214.tistory.com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삼국지에 등장하는 중국 옛 지명 관중은 도대체 어디인가?

삼국지나 춘추전국시대의 이야기를 보다보면 관중이라는 지명이 나옵니다. 마초와 한수가 조조에게 반기를 들때 봉기했던 곳이 관중이며, 진시황의 진나라의 수도였던 장안도 관중에 속해있습

cky0214.tistory.com

 

중국 중원의 입구, 만리장성의 동쪽 관문 천하제일 산해관의 위치와 중요성

중국 고대 중원의 경계를 결정지었던 것은 만리장성이었습니다. 만리장성 외부의 민족은 오랑캐라 여기며 경계의 대상이었지요. 이 만리장성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최초의 관문이 바로 산해관

cky0214.tistory.com

 

대거란 전쟁 흥화진의 영웅, 처절한 고려 양규 장군 이야기

고려와 요나라(거란)의 30년에 걸친 전쟁에서 여러 영웅이 있었지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양규 장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서희의 담판으로 마무리되었던 고려,거란(이하 여요전쟁) 1차 전쟁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