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사자성어] 가렴주구와 가도벽립의 뜻과 유래 일화

cky0214 2024. 4. 16. 11:51
반응형

고대시대 험난한 백성의 삶을 표현한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가렴주구와 가도벽립인데요.

 

가렴주구

 

둘 모두 고달펐던 백성의 생활, 가혹한 수탈을 당했던 역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농민에 의한 반란의 원인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지요.

 

이번 post에서는 이 2가지 성어의 뜻과 유래 알아봅니다.

 

사자성어 전무후무(제갈량)에 대한 post도 재미있게 봐주세요.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가렴주구, 가도벽립


1. 사자성어 뜻

1.1 가렴주구

가렴주구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혹할 가 거둘 렴 벨 주 구할 구

 

한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고, 백성들을 베고(죽이고) 재물을 구해간다는 뜻입니다.

 

그야말로 악독한 정치가 펼쳐지는 곳을 표현하는 성어이지요. 

 

비슷한 고서성어로는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주구무이(誅求無已), 횡정가렴( 橫征苛斂)이 있습니다.

 

위 성어 모두 관리들이 혹독하게 세금을 징수하거나 부역을 강요하고, 갖가지 명목으로 재물을 뜯어내 백성들이 힘든 상황을 표현하고 있으며 "가렴" 과 "주구"가 붙어서 생긴 사자성어입니다.

 

 

1.2 가도벽립

가도벽립의 한자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집 가 무리 도 벽 벽 설 립

 

위 성어는 집 안에 세간살이 물건이 하나도 없고 벽만 쳐져 있다는 뜻의 성어입니다.

 

즉, 집이 매우 가난하고 궁핍한 때를 뜻하지요. 

 

비슷한 성어로 가도사벽(家徒四壁)이 있습니다.

 

가렴주구와 함께 가난한 백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이지요. 


2. 사자성어 유래

2.1 가렴주구

가렴주구는 말씀드렸다시피 "가렴"과 "주구"의 합성어입니다.

 

● 가렴

가렴의 유래는 구당서 <목종기>에서 나옵니다.

 

당나라 헌종은 나라 재정이 궁핍하여 황보박을 재상으로 발탁하여 정책을 만들라고 합니다.

 

그런데 황보박이 백성들로부터 조세를 "가혹하게 거두어" 백성들의 원성이 자자했고, 결국 재상에서 쫓겨나게 합니다.

 

여기서 "가렴"이 유래합니다.

 

● 주구

주구는 춘추좌씨전 <양공31년>에 출처를 두고 있습니다.

 

양공은 자신의 나라는 아주 작은 나라로 강대국사이에 끼어 있고, 따라서 이 강대국들에게 시도 때도 없이 가혹한 세폐를 "바쳐야 했기 때문에" 하루도 편할 날이 없었다라고 표현합니다.

 

여기서 "주구"가 유래합니다.

 

 

현대에서는 기득권층, 정치권의 부정부패나 정부가 가혹하게 세금을 메길 때 이를 비판하기 위해 가렴주구의 성어를 사용하지요.

 

구한말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전봉준이, 탐관오리 조병갑의 과중한 세금착취를 두고 가렴주구라 비판하며 봉기를 일으킵니다.

 

동학농민운동 가렴주구

 

2.2 가도벽립

가도벽립은 "사기", "사마상여열전"에 등장합니다.

 

전한시절 때의 문인인 사마상여( 司馬相如,기원전179~기원전 117년)가 벼슬에 나가기 전의 일화입니다.

 

사마상여는 글 쓰는 솜씨가 좋았고 특히 거문고를 잘 연주했으나 너무너무 가난하여 20살이 넘도록 결혼을 못하고 있었습ㅈ니다.

 

그는 사천성의 성도 출신이고, 오랜 고향 친구인 왕길이 불쌍하게 여겨 도와주려 하였지요.

 

이 도움에 사마상여는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도움은 고맙지만 내 처지가 가도벽립인데 무슨 수로 장가 갈 수 있겠는가"

 

라며 자포자기하지요.

 

그러자 왕길은 꾀를 내어 부자 탁왕손을 설득하여 사마상여를 자택으로 초대하도록 합니다. 

 

초대받은 사마상여는 탁왕손의 딸(남편과 사별) 탁문군( 卓文君, BC175~BC121)에게 첫 눈에 반했고, 그 자리에서 봉구황이라는 거문고 곡을 연주했습니다.

 

사마상여 가도벽립

 

그녀 역시 그에게 반했으나, 아버지 탁왕손은 그가 너무 가난하여 둘 사이를 반대하게 됩니다.

 

그러자 딸 탁문군은 그날 밤으로 사마상여를 따라 성도의 집으로 야반도주를 합니다.

 

그의 가난한 집을 본 탁문군이었으나 그와 결혼하여 술집을 차리고 생계를 꾸려가게 됩니다.

 

사마상여 가도벽립

 

후에 그가 지은 시부가 한무제에까지 알려지고, 크게 기뻐하여 그를 도성으로 불러 낭관으로 임명합니다.

 

이후 사마상여는 이름을 널리알려 일세의 문장가로 유명해졌고, 탁문군의 집안도 그를 더이상 깔보지 못했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사자성어] 순망치한, 보거상의, 가도멸괵의 뜻과 그 유래

사자성어 시리즈. 이번 post에서는 서로 공생관계일 때 사용하는 순망치한, 보거상의, 병법에 나오는 가도멸괵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인데요. 3가지 성어를 한꺼번에 알아보는 이유는 이 3개가 모

cky0214.tistory.com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의 뜻과 유래 - 한나라 두영

정보화시대, 여러가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여기저기서 떠도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로인해 피해를 보거나 이득을 보는 사람이 분명 존재하지요. 물론 사실로 밝혀지는 내용도 있겠지만

cky0214.tistory.com

 

 

사자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뜻과 유래, 제갈량 일화

사자성어 중 전무후무(前無後無)란 용어가 있습니다. 간단히 풀이하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독보적인 유일함을 뜻하지요. 뛰어난 사람에게 붙히는 대명사이기도 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cky0214.tistory.com

 

 

삼국지에 등장하는 중국 옛 지명 관중은 도대체 어디인가?

삼국지나 춘추전국시대의 이야기를 보다보면 관중이라는 지명이 나옵니다. 마초와 한수가 조조에게 반기를 들때 봉기했던 곳이 관중이며, 진시황의 진나라의 수도였던 장안도 관중에 속해있습

cky0214.tistory.com

 

 

중국 송나라 황제가 잡혀버린 희대의 치욕,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영가의 난, 토목의 변과 함께 중국 역사 3대 치욕으로 불립니다. 1126년 여진족의 금나라가 송나라의 수도 개봉(카이펑, 변경)을 점령하고, 황제 및 황족들을 모두 포로로 잡은 사건이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