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58

수지청즉무어 / 숙맥 / 숙흥야매 / 식소사번의 의미(뜻)와 유래 - 춘추좌씨전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너무 완벽하려고만 하는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실수 한번으로 많은 것을 잃을 수도 있지만, 너무 완벽을 기하는 사람을 보면 인간미가 없어보이기도 하지요.  이런 분들에게 다가가기도 힘들고 친해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을 포함한 성어외에 총 4개의 성어를 알아봅니다.  수지청즉무어 / 숙맥 / 숙흥야매 / 식소사번1. 수지청즉무어수지청즉무어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水 至 淸 則 無 魚 물 수다할 지맑을 청곧 즉없을 무물고기 어 수지청즉무어 고사성어의 한자 그대로 뜻은 "물이 지극히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라는 뜻입니다.  속 뜻은 사람이 너무 완벽하려고 하고, 너무 살피면 주위에 사람이 없고 따르는..

역사이야기 12:47:52

수석침류 / 수수방관 / 수어지교 / 수주대토의 유래와 의미(뜻) - 진나라 손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하지 않고 요행으로 성공하기를 바랍니다.  혹은 혼자만의 착각에 빠져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고집하고, 포기 못하곤 하지요.   위 상황에 빠진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입번 page에서는 위 내용에 추가하여 총 4가지의 사자성어의 뜻과 유래 알아봅니다.  수석침류 / 수수방관 / 수어지교 / 수주대토1. 수석침류수석침류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漱 石 枕 流 양치질할 수돌 석베개 침흐를 류 수석침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돌로 양치질을 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 삼는다는 뜻이며 앞뒤 단어를 바꾸어 침류수석이라고도 합니다. 돌로 양치질이나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는 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것이죠.  속 뜻은 2개가 있는데요. 첫째는, 남..

역사이야기 2024.06.15

송양지인 / 송도계원 / 수불석권의 뜻과 의미, 유래일화 모음 - 한명회

자신의 권력을 믿고 남을 업신여기는 사람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그 권력이라는 것은 결국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이지요.   이를 깨닫지 못하고 권세를 부리다가는 후에 크게 후회하는 날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의 사자성어와 추가적으로 2개의 사자성어 알아봅니다.  송양지인 / 송도계원 / 수불석권1. 송양지인송양지인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宋 襄 之 仁 나라이름 송도울 양어조사 지어질 인 송양지인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송나라 양공은 어질다 라는 뜻입니다. 중국 고대 송나라에 살던 양공의 어짊을 이야기하는 사자성어이지요.  하지만 속 뜻은 아무런 의미없는 명분, 대의명분 또는 쓸모없는 인정을 베풀다가 큰 피해를 받는다는 뜻입니다. 쓸데없는 호의를 베풀다 크게 당한다는 뜻입니..

역사이야기 2024.06.14

속전속결 / 소리장도 / 소탐대실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36계 적전계

작은 이익에 목숨걸다 큰 것을 잃는 경우를 우리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보다 큰 그림을 보고 멀리 내다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사자성어 중에는 위 상황을 비유한 것들이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사자성어 3개의 뜻과 유래 알아봅니다.  속전속결 / 소리장도 / 소탐대실1. 속전속결속전속결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速 戰 速 決 빠를 속싸움 전빠를 속결단할 결 속전속결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빠른, 짧은 싸움으로 빠르게 결판낸다는 의미입니다. 길어지는 싸움을 피하고 재빨리 결과를 내어 끝내는 것을 뜻하는 사자성어이자 고사성어이지요.    유래에 따른 이 사자성어는 보통 전쟁에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요, 현재는 전쟁이 아닌 모든 곳에서 빠른 진행이 필요할..

역사이야기 2024.06.13

섭공호룡 / 성동격서 / 세류영 고사성어의 뜻(의미)와 유래 일화 - 초나라 섭공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자신이 좋아하지 않더라도 겉으로는 이를 표현하지 말아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좋던 싫던 해내야만 하는 일이 부지기수이지요. 돌아보면 학창시절도 마찬가지였네요.   꿈을 위해 잠을 이겨내고, 하기 싫은 공부도 해야하고 참 쉽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얻는 것들도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내용의 사자성어, 고사성어들 알아보기로 합니다.  섭공호룡 / 성동격서 / 세류영1. 섭공호룡섭공호룡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葉 公 好 龍 잎 엽(섭)공평할 공좋을 호용 룡 섭공호룡은 섭공이 용을 좋아한다는 한자 그대로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성어의 속뜻은 겉으로는 좋아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흔히들 ..

역사이야기 2024.06.12

석고대죄 / 선견지명 / 선자불래내자불선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김일제

수 많은 경험과 지혜로 앞을 내다볼 수 있는 분들이 있지요.  이런 분들의 말씀과 행동을 보고 있자면 배울 것도 많고, 인생의 롤 모델로 삼기에 충분합니다.  이런 혜안을 가지신분들이 많아질 수록 그 집단은 성공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 및 추가 2개의 사자성어의 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석고대죄 / 선견지명 / 선자불래내자불선1. 석고대죄석고대죄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席 藁 待 罪 자리 석볏짚 고기다릴 대허물 죄 석고대죄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볏짚을 깔고 자리앉아 벌을 받기를 기다린다는 뜻입니다. 역대 고사 혹은 역사드라마에서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지위가 낮은자가 왕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스스로의 죄에 대해 벌을 내려주..

역사이야기 2024.06.11

상전벽해 / 상하기수 / 새옹지마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모음 - 초나라 강왕

우리나라는 광복과 전쟁 후 70년간 급속도로 성장했습니다. 그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었던 속도로 산업화가 진행되어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기도 했지요. 이에 따라 우리의 생활 모습, 패턴 등도 기존의 모습을 거의 잊어버릴 정도로 변화가 빨랐습니다. 이런 환경의 변화는 역사에 유례가 없을 정도이지요.  이렇게 세상 일이나 모습이 몰랍보게 확 달라졌다고 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에서 사용하는 사자성어와 추가로 2개의 성어도 알아봅니다.  상전벽해 / 상하기수 / 새옹지마1. 상전벽해상전벽해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桑 田 碧 海 뽕나무 상밭 전푸를 벽바다 해 상전벽해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뽕 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으로, 속 뜻은 세상일이 몰..

역사이야기 2024.06.10

삼인성호 / 상저옥배 / 상궁지조의 유래일화와 한자어 뜻(의미) - 은나라 주왕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사회, 그만큼 접하는 정보도 많고 그 중 가짜인 정보도 많습니다. 사실이 아닌 것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다 보면 사실처럼 여겨지는 정보도 있지요. 가짜뉴스가 판치는 시대, 이는 고대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사람이 모여있다면 의례 그런 상황이 만들어지고는 했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을 표현한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 포함하여 총 3개의 사자성어 알아봅니다.  삼인성호 / 상저옥배 / 상궁지조1. 삼인성호삼인성호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三 人 成 虎 석 삼사람 인이룰 성범 호 삼인성호 사자성어 한자 그대로의 뜻은 3만 모이면(혹은 우기면) 호랑이도 만든다는 뜻입니다.  속 뜻은 3명만 모여 우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라는 뜻이며, 3명이 모여 서로 짜고 거짓..

역사이야기 2024.06.09

삼고초려 / 삼령오신 / 삼성가노의 유래 일화 및 한자 뜻(의미) - 여포

사람 하나하나가 자원이었던 고대 시대, 인재 한 사람을 얻기 위한 노력은 정말 대단했습니다. 아무도 생각하지 못하는 전략을 쓰는 책략가, 만부부당의 용맹한 장수 한 사람은 그야말로 천군만마와 같은 존재였지요.  그래서 그들을 모셔오기 위한 다양한 이야기가 예전부터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이와 관련한 사자성어들을 살펴봅니다.  삼고초려 / 삼령오신 / 삼성가노1. 삼고초려 삼고초려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三 顧 草 廬 석 삼돌아볼 고풀 초오두막집 려 삼고초려는 삼국지에서 유비가 제갈량을 초빙하기 위해 몸소 제갈량의 초가집으로 3번이나 찾아갔던 일화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입니다.  당시 유비는 여남에서 조조에게 패해 형주 유표에게 몸을 의탁한 상태였으며, 여러 명사들의 추천에 따라 ..

역사이야기 2024.06.08

사회부연 / 산계무경 / 살신성인의 한자어 뜻(의미)과 유래 일화 - 공자 논어

유행이 지난 옷이나 노래등이 역주행하여 다시 부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꺼진 불의 재가 다시 불이 붙어 다시 활활 타는 것처럼 다시 살아날수도 있지요.  이런 뜻을 가진 사자성어,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의미를 포함한 사자성어와 더불어 총 3가지의 성어의 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사회부연 / 산계무경 / 살신성인1. 사회부연사회부연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死 灰 復 燃 죽을 사재 회다시 부탈 연 사회부연 한자 그대로의 뜻은 죽은(꺼진) 재가 다시 불이 붙어 살아난다는 뜻입니다. 이미 전성기와 정점이 지난 것이 다시 기세를 얻어 부활한다는 속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성어인 권토중래와 뜻이 비슷한데, 권토중래가 유래를 보면 실패한 고사를 아쉬워하며 나온..

역사이야기 2024.06.06

사면초가 / 사상누각 / 사족 고사성어의 뜻(의미)과 유래 - 마태복음

살다보면 갖가지 위험에 노출되고 위기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이런 위기들은 희안하게 한꺼번에 몰려올때가 많고, 심적으로나 물질적으로 벗어나기 힘들때가 꽤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사자성어,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들을 표현하는 성어와 기타 2개의 성어도 알아봅니다.  사면초가 / 사상누각 / 사족1. 사면초가사면초가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四 面 楚 歌 넉 사얼굴 면초나라 초노래 가 사면초가 한자 그대로의 뜻은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들려온다라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르면 적에게 포위당해 전혀 희망이 없는 위험한 상황을 표현한 것입니다.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진퇴양난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이는 현대 우리나라, 중국에서도 여전히 자주 사용되는 성어이지요...

역사이야기 2024.06.06

빈천지교 / 빙탄지간 / 사공명주생중달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사마의

어렸을 때 사귄 친한 친구는 나이가 들어서도 특별하지요. 어른이 된 이후에도 이런 친구는 만나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고 행복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사자성어 중 이러한 평생의 벗을 표현한 것이 있는데요. 이외에도 총 3가지의 사자성어, 고사성어 알아봅니다.  빈천지교 / 빙탄지간 / 사공명주생중달1. 반천지교빈천지교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貧 賤 之 交 가난할 빈천할 천어조사 지사귈 교 빈천지교 한자 그대로의 뜻은 가난하고 천할 때의 사귐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가난하고 보잘것 없이 어려울 때 사귀었던 친구(혹은 부인)는, 나중에 부자가되거나 높은 지위에 올라도 잊지 않는다 혹은 잊어서는 안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지요.  어려울 때 사귄 친구라면 어느정도 도움이나 조언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지..

역사이야기 2024.06.06

비익연리 / 빈계지신 / 빈모여황의 한자 뜻(의미)와 역사 유래일화 - 양귀비

시간이 지나도 서로 사이가 좋은 연인과 부부들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이 하나인 것처럼 서로 죽이 맞고 존중해주는 모습을 보면 그보다 행복한 일은 없지요.  이런 사이를 나타내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와 관련한 성어외에 총 3개의 사자성어 알아보기로 합니다.  비익연리 / 빈계지신 / 빈모여황1. 비익연리비익연리 사자성어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比 翼 連 理 견줄 비날개 익잇닿을 연다스릴 리 비익연리에서 비익은 비익조(比翼鳥)라는 상상의 새를 표현한 단어입니다. 비익조는 수컷/암컷이 서로 날개 하나, 눈 하나씩만 가지고 있어 둘이 무조건 함께 있어야 날 수 있는 상상속에만 있는 전설의 새입니다.   더불어 비익연리에서 연리란 연리지(連理枝)라고 하는 ..

역사이야기 2024.06.03

비육지탄 / 비명횡사 / 불혹 고사성어의 유래와 한자어 의미(뜻) - 유비

일이 뜻대로 되지 않으면 지나간 세월을 후회하고 슬퍼지지요. 그동안 뭐했나 생각도 들고 덧없이 산 것 같아 마음이 아플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총 3가지의 고사성어를 알아보기로 합니다.  불혹 / 비명횡사 / 비육지탄1. 불혹불혹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不 惑 아닐 불미혹할 혹 불혹은 아시는바와 같이 사람 나이 40세를 일컫는 말입니다.  왜인지 모르겠지만 불혹이라 하면 남의 말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긍정적인 뜻과 남의 충고나 조언에도 바뀌지 않는 부정적인 의미로 동시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1.1 유래 일화공자의 논어 위정편에서 나이 40은 미혹되지 않는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습니다. 여기서부터 40세를 불혹이라 말하는 것으로 굳혀졌지요.  예전에..

역사이야기 2024.06.02

부화뇌동 / 부형청죄 / 불야성 고사성어의 역사속 유래와 의미(뜻) - 송나라 개봉

수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있는 우리는 각종 뉴스와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기 쉽상입니다. 내 생각이 아닌 타인의 의견에 의해 행동을 결정할 때가 많지요.  그러나 이렇게 했을 경우 후회가 남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내 주관과 생각대로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이 고사성어 및 총 3개의 성어를 알아보기로 합니다.  부화뇌동 / 부형청죄 / 불야성1. 부화뇌동부화뇌동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附 和 雷 同 붙을 부화할 화우뢰 뇌같을 동 부화뇌동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화에 뇌동을 붙힌다는 것과 천둥소리에 다른 소리가 묻힌다는 뜻입니다.  속 뜻은 주변 사람의 큰 목소리에 묻혀 나 자신의 목소리가 안들린다는, 내 목소리를 내지 ..

역사이야기 2024.05.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