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수지청즉무어 / 숙맥 / 숙흥야매 / 식소사번의 의미(뜻)와 유래 - 춘추좌씨전

cky0214 2024. 6. 16. 12:47
반응형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너무 완벽하려고만 하는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실수 한번으로 많은 것을 잃을 수도 있지만, 너무 완벽을 기하는 사람을 보면 인간미가 없어보이기도 하지요.

 

식소사번

 

이런 분들에게 다가가기도 힘들고 친해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을 포함한 성어외에 총 4개의 성어를 알아봅니다.

 

 

수지청즉무어 / 숙맥 / 숙흥야매 / 식소사번


1. 수지청즉무어

수지청즉무어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물 수 다할 지 맑을 청 곧 즉 없을 무 물고기 어

 

수지청즉무어 고사성어의 한자 그대로 뜻은 "물이 지극히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라는 뜻입니다.

 

 

속 뜻은 사람이 너무 완벽하려고 하고, 너무 살피면 주위에 사람이 없고 따르는 무리가 없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나치게 따지면 친구가 없다고 알고 있지요.

 

수지청즉무어

 

이 성어는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사람이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이 성어는 너무 빈틈없는 완벽한 사람보다는 어느정도 실수도 하는 등 인간적인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지, 융통성 있게 법이나 규칙을 무시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유래를 보면 그 어디에서도 융통성을 가지라는 내용은 없습니다.

 

1.1 유래 일화

이 고사성어는 한서 동방삭전과 공자가어 권5 입관 제 21편에 담겨 있습니다.

 

수지청즉무어

 

"물이 지나치게 맑으면 물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나치게 살피면 따르는 사람이 없다.

 

휜 것은 곧게 하되, 스스로 곧게 할 수 있도록 하라.

 

뛰어난 사람은 타인으로 하여금 복종하게 하되, 스스로 모이게 한다.

 

법도를 바로잡되, 스스로 찾도록 하라"

 

라고 되어 있습니다. 


2. 숙맥

숙맥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콩 숙 보리 맥

 

숙맥은 한자 그대로 보자면 콩과 보리라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원래의 성어는 숙맥불변의 줄임말이지요.

 

숙맥, 콩과 보리

 

속 뜻은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인데, 이는 지나치게 사람의 성정이 순수하여 숫기가 없는 사람을 가리켜서 사용합니다. 

 

 

숫기가 없어 사람을 만나기가 어렵거나 만나더라도 쉽게 친해질 수 없는 사람을 일컬어 사용할 수 있지요.

 

숙맥

 

또 사리분별을 하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킬 수도 있으며, 우리 속담에 낫놓고 기역자도 모른다와 어느정도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1 유래 일화

숙맥, 숙맥불변의 유래는 춘추좌씨전에 나오며 주자의 형의 주인공입니다.

 

중국 BC 573년 진나라의 신하 중항언과 난서는 왕이었던 여공을 죽이고 주나라에서 14살에 불과한 주자를 왕으로 세웁니다. 

 

춘추좌씨전

 

주자가 진나라 대신들을 처음 만난 자리에서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백성들이 왕을 찾는 것은 왕에게 명령을 내리게 하여 나라를 다스리라는 것이다. 왕을 세웠으나 왕의 명령에 따르지 않는다면 왜 왕이 필요한가?"라고 말하며 대신들의 충성을 약속받습니다.

 

이 주자가 왕이 될 때 주자의 형은 너무 순수하고,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무식하여 왕으로 추대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3. 숙흥야매

숙흥야매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찍 숙 일어날 흥 밤 야 잠잘 매

 

숙흥야매 한자 그대로의 뜻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밤에는 늦게 잔다는 뜻이며, 이 속뜻은 자신의 책무와 주어진 일을 완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숙흥야매

 

밤낮없이 일에 몰두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딱 이 숙흥야매라 볼 수 있지요.

 

3.1 유래 일화

이 내용은 여러 고전에서 언급하고 있는데요, 시경, 사기, 수서에 수문제, 명심보감등에 담겨 있습니다.

 

 

시경 위풍 맹 편에 아래와 같이 담겨 있습니다.

 

시경 위풍 맹 편

 

"3년 동안 그이의 부인이 되어 방에서 쉼없이 고생하였네,

 

새벽에 일어나 밤늦게 잠들며 아침이 있는 줄도 몰랐네,

 

혼인의 언약이 이러우지자마자 남편은 나를 난폭하게 대했지.

 

형제들도 이를 알지 못하고 나를 보면 그저 허허 웃기만 하네.

 

가만히 앉아 돌이켜 생각해보니 스스로가 가여워지는구나".

 

명심보감에 보면 또 아래와 같이 담겨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밤까지 충과 효를 다하는 사람은 타인이 알아주지 않아도 반드시 하늘이 알아줄 것이다" 라고 되어 있지요. 


 

4. 식소사번

식소사번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먹을 식 적을 소 일 사 번거로울 번

 

식소사번의 한자뜻은 "먹는 것은 적고 일은 번거롭고 많다"라는 뜻이며, 자신의 몸(건강)을 돌보지 않고 바쁘게 일한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일이 중요하다고 해도 다 먹고 살자고 하는 것이니 자신의 건강을 제 1순위로 두고 사는 것이 중요하지요. 건강이 나빠지면 돈이고 뭐고 무엇이 중요하겠습니까. 건강보다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4.1 유래 일화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최고의 라이벌인 사마의와 제갈량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유비가 죽고 제갈량이 촉의 승상이 되어 북벌을 진행하던 중일 때의 이야기입니다. 7차 북벌시기 제갈량은 오장원에서 사마의와 대치하지요.

 

오장원 위치

 

제갈량은 빨리 승부를 보려했으나 사마의는 이에 응하지 않고 수비에만 몰두합니다. 촉군이 제 풀에 꺾여 지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지요. 지루한 공방전이 지속되고 양측에서는 사자만이 바쁘게 오고가고 있었습니다.

 

 

사마의는 어느날 촉군의 사자를 보고 제갈량에게 하루 식사와 일처리를 어떻게 하느냐고 물었지요.

 

촉에서 온 사자는 제갈량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밤에는 늦게 잠자리에 들 정도로 일이 많다고 말합니다. 하루에 먹는 음식은 얼마 되지 않는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사자의 말에 사마의는 제갈량이 일이 많고 이에 비해 먹는 것은 부실하니 어찌 버티냐고 반문하지요.

 

식소사번 제갈량

 

촉 진영에 돌아온 사자의 말을 듣고 제갈량은 사마의의 말이 맞다며 자신은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 말합니다. 부하 장수들은 업무의 양을 좀 줄이는 것이 어떠냐고 충언하지만 제갈량은 듣지 않았지요. 결국 제갈량은 54세의 나이로 과로로 인해 오장원에서 죽게 되지요. 

 

이 일화에서 유래한 것이 식소사번 사자성어입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수석침류 / 수수방관 / 수어지교 / 수주대토의 유래와 의미(뜻) - 진나라 손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하지 않고 요행으로 성공하기를 바랍니다.  혹은 혼자만의 착각에 빠져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고집하고, 포기 못하곤 하지요.   위 상황에 빠진 사람에게

cky0214.tistory.com

 

송양지인 / 송도계원 / 수불석권의 뜻과 의미, 유래일화 모음 - 한명회

자신의 권력을 믿고 남을 업신여기는 사람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그 권력이라는 것은 결국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이지요.   이를 깨닫지 못하고 권세를 부리다가는 후에 크게 후회하는 날

cky0214.tistory.com

 

속전속결 / 소리장도 / 소탐대실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36계 적전계

작은 이익에 목숨걸다 큰 것을 잃는 경우를 우리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보다 큰 그림을 보고 멀리 내다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사자성어 중에는 위 상황을 비유한 것들이

cky0214.tistory.com

 

섭공호룡 / 성동격서 / 세류영 고사성어의 뜻(의미)와 유래 일화 - 초나라 섭공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자신이 좋아하지 않더라도 겉으로는 이를 표현하지 말아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좋던 싫던 해내야만 하는 일이 부지기수이지요. 돌아보면 학창시절도 마찬가지였네요.  

cky0214.tistory.com

 

석고대죄 / 선견지명 / 선자불래내자불선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김일제

수 많은 경험과 지혜로 앞을 내다볼 수 있는 분들이 있지요.  이런 분들의 말씀과 행동을 보고 있자면 배울 것도 많고, 인생의 롤 모델로 삼기에 충분합니다.  이런 혜안을 가지신분들이 많아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