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많은 경험과 지혜로 앞을 내다볼 수 있는 분들이 있지요.
이런 분들의 말씀과 행동을 보고 있자면 배울 것도 많고, 인생의 롤 모델로 삼기에 충분합니다.
이런 혜안을 가지신분들이 많아질 수록 그 집단은 성공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 및 추가 2개의 사자성어의 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석고대죄 / 선견지명 / 선자불래내자불선
1. 석고대죄
석고대죄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席 | 藁 | 待 | 罪 |
자리 석 | 볏짚 고 | 기다릴 대 | 허물 죄 |
석고대죄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볏짚을 깔고 자리앉아 벌을 받기를 기다린다는 뜻입니다.
역대 고사 혹은 역사드라마에서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지위가 낮은자가 왕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스스로의 죄에 대해 벌을 내려주기를 청하면서 대문이나 궁 앞에서 짚으로 만든 깔개에 무릎꿇고 앉아 처분을 기다린다는 성어이지요.
이와 비슷한 성어로는 부형청죄가 있지요.
사극에서 많이 나왔지만 실제 역사에서 석고대죄를 했다는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고 하네요. 이 석고대죄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고 왕족이나 고위 관료만이 행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실제 사료에 적힌 석고대죄의 일화는 조선시대 선조가 광해군에게 선위하겠다고 하니 광해군이 석고대죄를 했다는 기록이 있고, 영조때 이광좌가 영의정으로 임명되었을 때 창덕궁 돈화문 밖에서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리고 유명한 사도세자가 여러번 석고 대죄를 했다는 것은 익히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요. 사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것은 실제 벌을 내려달라는 것보다는 스스로가 이처럼 볼품없는 차림으로 죄를 청하고 있으니 그만 뜻을 거두어 주십사 하는 의미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1.1 유래일화
중국 전국시대 강대국 진나라가 조나라와 대치중의 상황이었습니다. 진나라의 승상 범수는 일전에 자신이 죽을 위기에 있을 때 구해준 정안평을 천거하여 조나라를 공격하는 장수로 삼습니다.
그런데 정안평은 조나라 군대에 포위당해버려 위기에 빠지자 병사 2만을 포함하여 전군을 데리고 조나라에 투항을 해버리지요. 이 사건으로 범수는 멍석을 깔고 앉아 왕에게 벌받기를 기다리게 됩니다.
법가의 나라 진나라법에 따르면 사람을 추천했는데 그 사람이 죄를 범하면 추천한 사람도 같은 벌을 받게 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범수가 죄를 청하게 된 것이지요. 이 법에 따라 범수는 삼족이 죽는 벌을 받아야했으나 진나라 왕은 범수를 매우 신뢰하고 있었고, 이 사건을 함부러 발설하는 사람이 있다면 정안평과 같은 죄로 다스리겠다고 하고 범수를 용서하게 됩니다.
2. 선견지명
선견지명 사자성어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先 | 見 | 之 | 明 |
먼저 선 | 볼 견 | 갈 지 | 밝을 명 |
선견지명의 뜻은 앞날과 미래를 미리 내다볼 수 있는 안목, 지혜를 뜻합니다. 혜안이라고 하기도 하지요.
이 사자성어는 현재 중국에서도 그래도 사용되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모든 일의 순리를 파악하고, 다양한 경험을 익힌 분들은 앞으로 진행될 수 있는 여러 경우를 예측할 수 있지요.
보통 인생의 경험이 많으신 어르신들이 이러한 선견지명을 많이 보여주시고는 합니다.
2.1 유래 일화
선견지명은 중국 후한서에 적혀있는 일화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이자 사자성어입니다.
후한서 양진전에는 아래와 같이 적혀있습니다.
"김일제와 같이 앞날을 미리 내다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지지 못한 것이 부끄러우디 다만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마음을 품고 있습니다"
여기서 김일제는 한나라에 투항한 흉노의 왕족으로 한나라의 황제 한무제에게 매우 큰 신임을 얻게 됩니다. 김일제의 자식들도 큰 사랑을 받았고 첫째 아들이 어릴 때는 한무제의 목을 껴안고 장난을 칠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김일제는 항상 그런 자식들을 조심시킵니다.
첫째 아들이 커서 성인이 되었을 무렵 한무제의 후궁들을 희롱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김일제는 자신의 아들을 죽입니다. 한무제가 김일제를 불러내어 크게 화를 냅니다. 이에 김일제는 이 일에 사죄를 올리고 자신이 그러한 행동을 한 연유를 아뢰지요.
김일제의 말을 들은 한무제는 크게 슬퍼하지만 김일제에게 죄를 묻지는 않았습니다.
훗날 한무제의 병이 깊어져 위독해지자 곽광등과 함께 대신으로서 훗날 소제가 되는 세자를 보필하라는 명을 받게됩니다. 이렇듯 김일제는 매사에 조심했고 그리하여 후한말까지 김일제의 가문은 명맥을 이어갑니다.
3. 선자불래 내자불선
선자불래 내자불선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善 | 者 | 不 | 來 |
착할 선 | 사람 자 | 아니 불 | 올 래 |
來 | 者 | 不 | 善 |
올 래 | 사람 자 | 아니 불 | 착할 선 |
선자불래 내자불선 고사성어의 뜻은 선한 사람은 오지 않고, 오는 사람은 선하지 않다라는 뜻입니다.
이 성어의 속 뜻은 좋은 뜻을 가진 사람과 좋은 사람은 쉽게 찾아오지 않고, 스스로 찾아오는 사람은 좋은 의도로 온 것이 아니라는 뜻이지요. 사람이 사는데 있어 진실성을 가진, 선의를 가진 사람을 만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내가 먼저 베풀거나 하지 않았는데 나를 찾아와 나에게 도움이 될 사람은 없지요. 그리고 어느 사람이 제발로 찾아와 나와 친분 맺기를 원한다면 이는 그가 원하는 것이 있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찾아온 것이 대부분입니다.
물론 진정한 호의도 있겠지만, 대부분 모르는 사람, 거리가 있던 사람이 배푸는 호의는 그 행동에 어떤 목적이 담겨 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제일 많은 경우가 돈 빌려달라는 것이겠지요.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예외가 있다면 우리 부모님의 저희에 대한 사랑정도일까요. 이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겠지요.
3.1 유래 일화
이 성어를 알고 계시는 분은 불교에서 왔다고들 알고 계신데요, 문헌상으로는 청나라 때의 문인인 조익이 저술한 "해여충고"에 이 성어가 담겨있는것이 출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내용은 이미 춘추시대 노자에도 전해지고 있는데요, 노자 "도덕경" 제 81장에 아래와 같이 담겨있습니다.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못하고, 아름다운 말은 진실하지 못하며,
착한 사람은 말을 잘하지 못하고, 말을 잘하는 사람은 착하지 못하며,
진정으로 아는 사람은 박식하지 않고, 박식한 사람은 진정으로 알지 못한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선자불내 내자불사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지요.
같이보면 좋은 글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전속결 / 소리장도 / 소탐대실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36계 적전계 (4) | 2024.06.13 |
---|---|
섭공호룡 / 성동격서 / 세류영 고사성어의 뜻(의미)와 유래 일화 - 초나라 섭공 (4) | 2024.06.12 |
상전벽해 / 상하기수 / 새옹지마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모음 - 초나라 강왕 (3) | 2024.06.10 |
삼인성호 / 상저옥배 / 상궁지조의 유래일화와 한자어 뜻(의미) - 은나라 주왕 (14) | 2024.06.09 |
삼고초려 / 삼령오신 / 삼성가노의 유래 일화 및 한자 뜻(의미) - 여포 (2) |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