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사회부연 / 산계무경 / 살신성인의 한자어 뜻(의미)과 유래 일화 - 공자 논어

cky0214 2024. 6. 6. 19:18
반응형

유행이 지난 옷이나 노래등이 역주행하여 다시 부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꺼진 불의 재가 다시 불이 붙어 다시 활활 타는 것처럼 다시 살아날수도 있지요.

 

사회부연

 

이런 뜻을 가진 사자성어,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의미를 포함한 사자성어와 더불어 총 3가지의 성어의 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사회부연 / 산계무경 / 살신성인


1. 사회부연

사회부연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죽을 사 재 회 다시 부 탈 연

 

사회부연 한자 그대로의 뜻은 죽은(꺼진) 재가 다시 불이 붙어 살아난다는 뜻입니다. 이미 전성기와 정점이 지난 것이 다시 기세를 얻어 부활한다는 속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부연

 

다른 성어인 권토중래와 뜻이 비슷한데, 권토중래가 유래를 보면 실패한 고사를 아쉬워하며 나온 성어인데 반해 사회부연은 정말 부활에 성공한 것을 비유하는 성어입니다.

 

 

고대에는 잃어버렸던 세력을 다시 회복하여 어려웠던 사람이 이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것을 비유하지요. 

 

1.1 유래 일화

사회부연의 유래는 중국 사마천의 사기의 "한장유열전"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출발합니다.

 

한장유열전

 

한나라의 어사대부 한안국이 법을 위반하여 몽현에 있는 감옥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를 본 옥지기 전갑이란 사람은 그가 실각했으니 다시 높은 자리에 오를일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며 그를 놀렸습니다. 그러나 한안국은 이런 모욕스런 상황에서도 화를 내지않았고 오히려 돌려서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꺼진 재라고 꼭 다시 불이 붙지 말라는 법이 있나?"라고 말합니다.

 

사회부연

 

언젠가는 자기가 감옥을 나가서 다시 재기할 수 있다는 말이었지요. 전갑도 한안국이 말한바가 무엇인지는 알았으나 설마 그럴일은 없을 거라 생각하고 다음과 같이 말하지요.

 

"그렇다면 제가 다시 오줌으로 꺼버리겠습니다"

 

형기를 모두 채우고 감옥을 나간 한안국은 고향인 양나라의 내사로 출사합니다. 그의 말대로 다시 재기하여 높은 벼슬을 하게 된 것이죠. 이 사실을 들은 전갑은 옥지기 일을 뒤로하고 도망쳤고, 한안국은 그를 수배하여 다시 돌아오지 않으면 가족을 죽이겠다 협박을 합니다. 이에 놀란 한안국에 나온 전갑은 옷을 벗고 사죄합니다.

 

 

한안국은 이 모습을 보고 아래와 같이 말하고 전갑을 풀어줍니다.

 

"자네 오줌이나 싸보시게나, 자네와 같은 소인배 벌 줄 가치도 없네"


2. 산계무경

산계무경의 한자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뫼 산 닭 계 춤출 무 거울 경

 

산계무경 한자 그대로 보자면 꿩이 거울 앞에서 춤을 춘다는 뜻의 성어입니다. 

 

산계무경

 

이는 자신의 그림자를 되돌아보고 춤을 춘다는 것으로, 가련함을 느낀다는 뜻도 있습니다. 

 

2.1 유래 일화

산계무경의 유래는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서의 일화에서 나옵니다.

 

당시 남방에 자신의 깃털을 매우 아끼고 아름다워하고 물에 비추면서 춤을 꿩이 있었습니다. 위나라 무제 조조가 살아있을 때 오나라 손권이 희한하고 특별한 이 꿩과 코끼리를 보내오지요. 

 

 

조조는 자신의 생일날 주연이 열리고 잔치가 무르익자 이 꿩 한마리를 가져오게 합니다. 조조는 손님들을 두고 꿩을 가리키며 자식들에게 물었습니다.

 

산계무경

 

 

"누가 이 꿩이 춤을추게 할 수 있느냐? 한 번 해보거라?"

 

이에 장자 조비가 먼저 도전했고, 차례로 다음 자식들이 능력을 발휘합니다. 꿩 앞에서 먼저 춤을 추는 아이도 있었고 거문고를 연주하며 꼬시는 하이도 있었습니다. 대나무로 툭툭 치며 억지로 춤을 추게 하려는 아이도 있었지요. 그러나 누구도 성공하지 못했지요.

 

마지막 주자로 조충이 나섭니다. 조충은 하인에게 큰 구리 거울을 가져다가 꿩 앞에 놓게 하고 지켜봅니다. 꿩은 구리거울에 비친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드디어 춤을 추기 시작합니다. 꿩은 점점 더 흥분하여 계속해서 춤을 추게 되고, 이에 지친 꿩은 서서히 힘이 다해 죽게 됩니다.


3. 살신성인

살신성인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죽일 살 몸 신 이룰 성 어질 인

 

살신성인은 많이들 아시다시피 한자 그대로의 뜻은 자신을 희생하여 인(인의)을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유교의 창시자 공자가 제일 강조했던 것으로, 자신이 죽더라도 인의를 이루려는 마음을 가지라는 뜻입니다. 자신이 죽더라도 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운 행위를 하라는 의미입니다.

 

살신성인

 

옳은 일을 위해 목숨을 바쳐라라는 뜻입니다. 각박하기 그지없는 요즘에도 타인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야말로 살신성인의 자세가 아닐 수 없습니다.

 

3.1 유래 일화

공자는 높은 뜻을 가진 선비와 어진 사람은 스스로의 목숨을 아까워하지 않고 여러사람에게 이득이 되는 일을 하라고 설파했습니다. 그의 제자들이 아래의 구절을 강조하여 만든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살신성인이지요.

 

논어 위령공편에는 아래와 같이 써있습니다.

 

논어 위령공편

 

"높은 뜻을 가진 선비,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여 인을 저버리지 않으며

 

스스로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

 

라고 되어 있지요.

 

그는 실제 이 살신성인이 정말 접근하기 어려운 이상으로 생각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위령공에서 또 아래와 같이 적고 있습니다.

 

"백성들의 인에 대한 필요는 물과 불보다 절실하다. 불과 물을 건드리고 죽는 사람은 많이 보았지만, 인을 실천하면서 죽는 사람은 보지 못했다"라고 하면서 이 살신성인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 것인가를 나타낸 말이지요.

 


같이보면 좋은 글

 

사면초가 / 사상누각 / 사족 고사성어의 뜻(의미)과 유래 - 마태복음

살다보면 갖가지 위험에 노출되고 위기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이런 위기들은 희안하게 한꺼번에 몰려올때가 많고, 심적으로나 물질적으로 벗어나기 힘들때가 꽤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cky0214.tistory.com

 

빈천지교 / 빙탄지간 / 사공명주생중달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사마의

어렸을 때 사귄 친한 친구는 나이가 들어서도 특별하지요. 어른이 된 이후에도 이런 친구는 만나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고 행복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사자성어 중 이러한 평생의 벗을 표

cky0214.tistory.com

 

비익연리 / 빈계지신 / 빈모여황의 한자 뜻(의미)와 역사 유래일화 - 양귀비

시간이 지나도 서로 사이가 좋은 연인과 부부들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이 하나인 것처럼 서로 죽이 맞고 존중해주는 모습을 보면 그보다 행복한 일은 없지요.  이런 사이를 나타내는

cky0214.tistory.com

 

비육지탄 / 비명횡사 / 불혹 고사성어의 유래와 한자어 의미(뜻) - 유비

일이 뜻대로 되지 않으면 지나간 세월을 후회하고 슬퍼지지요. 그동안 뭐했나 생각도 들고 덧없이 산 것 같아 마음이 아플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

cky0214.tistory.com

 

부화뇌동 / 부형청죄 / 불야성 고사성어의 역사속 유래와 의미(뜻) - 송나라 개봉

수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있는 우리는 각종 뉴스와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기 쉽상입니다. 내 생각이 아닌 타인의 의견에 의해 행동을 결정할 때가 많지요.  그러나 이렇게 했을 경우 후회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