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58

복수불반분 / 부국강병 / 부저추신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 엎질러진 물

살다보면 이미 지나간 일을 후회하거나, 그때 이렇게 했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할 때가 많습니다. 이미 끝난 일은 절대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인간이라면 그런 후회를 하기 마련이지요.  이런 상황을 표현한 고사성어,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와 관련된 고사성어 3개 알압보기로 합니다.  복수불반분 / 부국강병 / 부저추신1. 복수불반분복수불반분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覆 水 不 返 盆 덮을 복물 수아닐 불돌이킬 반동이 분 복수불반분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덮어진(엎질러진) 물은 절대 다시 돌이길 수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비슷한 뜻의 사자성어로 복수난수(覆水難收)가 있으며, 현재 중죽에서는 복수난수가 더 자주 쓰인다고 하네요. 복배지수(이미 ..

역사이야기 2024.05.28

백전백승 / 복룡봉추 / 병자불상지기의 의미(뜻)와 유래 모음 - 손자병법

전투,전쟁 혹은 현대의 스포츠 경기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스스로의 능력을 알아야 승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지요.   상대방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의 현재 능력, 상황을 알고 계책과 방법을 세울 때 승리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 내용의 사자성어 및 추가로 2개의 성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전백승 / 복룡봉추 / 병자불상지기1. 백전백승백전백승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百 戰 百 勝 일백 백싸울 전일백 백이길 승 백전백승은 많이들 아시다시피 백번을 싸워 백번 모두 승리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비슷한 뜻으로 싸울때마다 항상 이긴다는 승승장구가 있으며, 백전백승이 좀 더 강한 뉘앙..

역사이야기 2024.05.27

백척간두 / 병입고황 / 백안시 고사성어의 의미(뜻)와 유래 - 죽림칠현 완적

고사성어, 사자성어는 고대의 역사에서 유래한 것이 많습니다. 선조들의 경험과 지혜가 묻어있으며,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적용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지요.  결국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사는 사회에서는 비슷한 갈등과 상황이 지속된다는 것이지요.  이번 page에서는 어려운 상황, 그리고 사람사이의 관계에 대한 사자성어, 고사성어 3가지 알아봅니다.  백척간두 / 병입고황 / 백안시1. 백척간두백척간두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百 尺 竿 頭 일백 백자 척낚시대 간머리 두 백척간두는 100척이나 되는 높은 장대위에 올라섰다는 뜻입니다. 그 모양새가 매우 위태롭기 때문에, 현재 상황이 몸시 힘들고 어렵고 위태위태 하다는 속 뜻을 가지고 있지요.  현대의 중국어에서는 한국과는 조금 다르게 ..

역사이야기 2024.05.27

백년하청 / 백미 / 백아절현 고사성어의 한자 뜻(의미)과 역사 유래 - 마량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을 소망하고 기다린다면 이보다 안타까운 일은 없습니다. 현재의 상황을 올바로 인식하고 현실적인 대책을 세우고 노력하는 것이 더 나을 때가 많지요.  일확천금이 어디 쉬운일인가요? 단숨에 얻을 수 있는 것은 단숨에 잃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위와 같은 상황을 나타내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고사성어와 추가로 2개의 성어 알아보기로 합니다.  백년하청 / 백미 / 백아절현1. 백년하청백년하청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百 年 河 淸 일백 백해 년물 하맑을 청 일백 백 한자는 여기서 수 많은 세월 혹은 무한한 오랜 세월을 뜻합니다. 여기서 유래에 따라 "물 하"는 중국 황하를 뜻하지요. 한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황하가 맑아지려면 100년이 넘게 걸릴 정..

역사이야기 2024.05.26

배수진 / 알묘조장 / 배난해분의 한자 의미(뜻)와 유래 일화 - 맹자

물러설수 없는 한판 승부, 여기서 지면 끝이다란 생각으로 싸우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다들 잘 아시는 배수진이라는 성어인데요. 이 성어는 어디서 유래했을까요?  그리고 급하게 일을 서두르다가 망친다는 뜻의 사자성어도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내용의 고사성어 3가지 알아봅니다.  배수진 / 알묘조장 / 배난해분1. 배수진배수진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背 水 陣 등 배물 수진칠 진 배수진은 원래 군대의 진형 중의 하나로 물을 등지는 형태의 군진입니다.  군대의 훈련과 경험치가 낮아서 전투에서 질 가능성이 높을 때 사용하는 도박과도 같은 전술입니다.   실제 병법에서는 배수진은 최악의 전술로써, 차라리 상대의 방심을 유도하여 다른 곳을 공격하기 위해 배수진을 사용하는 이른바 공..

역사이야기 2024.05.25

미망인 / 미봉책 / 반골 고사성어의 한자어 의미(뜻)와 유래 일화 - 삼국지 위연

모든 일에는 부족한 면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땜질하는 식의 처방일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존재하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내용의 고사성어를 비롯해 몇 가지 성어 더 알아봅니다.  미망인 / 미봉책 / 반골1. 미망인미망인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未 亡 人 아닐 미망할 망사람 인 미망인이란 남편이 사망하여 혼자가 된 여자를 말하며 과부라고도 하지요.  한자 그대로의 뜻을 보면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엄밀히 말하면 과부와는 조금 다른 뜻입니다. 그래서 한자 뜻 그대로 그 사용범위를 확대하여 남녀 모두에게 미망인으로 표현하자고 하는 의견이 있을 정도이지요.  명확히는 과부는 상태를 표현한 단어이고 미망인과 같이 ..

역사이야기 2024.05.24

문경지치 / 물극필반 / 물망재거의 유래 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측천무후

사람이 출세를 하고나면 변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어려웠을 적의 마음가짐이나 힘들때 도와주었던 분들을 잊기 마련이지요.   초심을 잃는다면 성취한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위 내용을 담은 사자성어와 더불어 태평성대를 일컫는 사자성어들 알아봅니다.  문경지치 물극필반 물망재거1. 문경지치문경지치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文 景 之 治 글월 문볕 경갈 지다스릴 치 문경지치는 중국 한나라 시절 황제인 문제와 경제의 치세를 말합니다. 이 시대의 태평성대를 뜻하지요. 문, 경은 두 황제의 칭호 앞글자를 딴 한자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진나라, 초-한 대전까지의 중국의 혼란했던 시기를 마무리하고 전한 초기의 대외원정과 내정에 힘쓴 결과 문제 및 경제 시절에는 평온한 시대를 맞이합니다. 1..

역사이야기 2024.05.23

무릉도원 / 문경지교 / 무용지용의 뜻(의미)과 유래일화 - 장자

일상을 뒤로하고 여행을 떠나 자연을 느끼다보면 자연스레 무릉도원이란 단어를 내뱉고는 하지요. 그곳에서 있으면 모든 근심과 걱정이 날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목숨을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친한 벗이 있다면 이것보다 훌륭한 삶은 없겠지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 살펴보기로 합니다.  무릉도원 문경지교 무용지용1. 무릉도원무릉도원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武 陵 桃 源 호반 무언덕 릉(능)복숭아 도근원 원 무릉도원은 중국에서 이상향을 이야기하며, 도원경 혹은 도원향이라고도 합니다. 사람들이 행복을 누리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이상향을 가리키며, 영어의 유토피아와 그 뜻이 일맥상통합니다. 여기서의 이상향이란 일을 하지 않아도 배부르게 살 수 있는 곳이 ..

역사이야기 2024.05.22

모순 / 묘서동처 / 묘항현령 고사성어의 의미(뜻)와 유래 일화 모음 - 한비자

서로 상반되는 논리를 일컬어 모순이라 하지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도 이 고사성어를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리고 현실적이지 않은 탁상공론을 비판하는 사자성어도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알아봅니다.  모순 묘서동처 묘항현령1. 모순모순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矛 盾 창 모방패 순 모순(contradiction,Discrepancy)은 한자 그대로의 뜻은 창과 방패입니다. 이 성어의 뜻은 유래 일화에서 알 수 있듯 2개 이상의 논리가 서로 이치상 동시에 공존할 수 없을 때,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뜻하는 성어입니다. 또한 현대에서는 행동과 말이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토론을 보다보면 이런 상황을 많이 보게 되지요.   ..

역사이야기 2024.05.22

명불허전 / 명주암투의 한자어 의미(뜻)와 유래 일화 - 사마천 사기

실력이 뛰어난 사람을 실제로 보면 역시 그 이름에 걸맞는 능력을 가지고 있구나라고 느끼게 됩니다. 연예인들을 보면 과연 연예인이구나 하는 감탄이 나오기도 하지요.   그리고 남을 도울 때 기쁜 마음으로 하지 않고 대충대충하면 오히려 안하느니만 못하고 욕먹기 쉽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들을 나타낸 사자성어들 알아봅니다.  명불허전 명주암투1. 명불허전명불허전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名 不 虛 傳 이름 명아닐 불빌 허전할 전 명불허전을 한자 그대로 뜻 풀이하면 이름이 헛되이, 공허이 전해지지 않았다는 뜻이며 즉, 이름값을 한다는 뜻입니다.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거나 퍼진 명성이 실제로 그러하다면, 그러한 것이 증명되면 사용하는 사자성어이자 고사성어입니다.   반대로 안좋은..

역사이야기 2024.05.21

맥수지탄 / 맹모단기지교 / 맹모삼천지교의 한자 뜻(의미)과 유래 일화 모음

사자성어 중에는 나라가 망했을 때 이를 탄식하는 성어가 있지요.  그리고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을 교육 시키기 위해 훈계하거나 행동한 것을 모티브로 한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교육은 모름지기 이래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말들이지요. 이번 page에서는 위 내용의 고사성어 3가지 알아봅니다.  맥수지탄 맹모단기지교 맹모삼천지교1. 맥수지탄맥수지탄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麥 秀 之 嘆 보리 맥빼어날 수갈 지탄식할 탄 맥수지탄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보리가 빼어난 것(잘 자란것)을 탄식한다"라는 뜻입니다. 속 뜻은 한 국가가 멸망한 것을 한탄한다 라는 뜻의 사자성어이지요. 나라가 망하고 그 자리에 보리가 무성하게 자란 것을 보며 탄식한다는 뜻입니다. 옛 수도가 황폐해진 것을 보고 자국이 멸망한 것을 슬퍼..

역사이야기 2024.05.21

망국지음 / 망양보뢰 / 매사마골의 한자어 뜻(의미)과 유래가 된 일화들

소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있지요. 일이 벌어지고 나면 이후의 대책은 소용없음을 의미합니다. 이와 비슷하지만 뉘앙스가 반대인 사자성어가 존재하지요. 위 속담은 부정적인 뜻을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귀한 것이나 사람을 얻기 위해서는 내 손해를 감소하고서라도 크게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뜻의 성어도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뜻들을 담은 사자성어인 망국지음/망양보뢰/매사마골에 대해 알아봅니다.  망국지음 망양보뢰 매사마골1. 망국지음망국지음의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亡 國 之 音 망할 망나라 국갈 지소리 음 망국지음의 뜻은 나라를 망하게 하는 음악 혹은 사치스러운 음악과 이미 망해버린 나라의 음악을 뜻합니다. 또 지나치게 애조, 슬픔을 띈 음악에도 붙히는 사자성어이지요. 이는 춘추시대 예기..

역사이야기 2024.05.20

만인지적 / 만천과해 유래일화 소개 및 한자어 의미(뜻) - 항우와 장비

고대 용맹하고 무력이 뛰어난 장수를 일컫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역사상에는 이러한 무시무시한 장수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요.  그리고 뛰어난 지략으로, 적이 생각하지 못하는 책략을 통해 적을 격파한다는 고사성어도 있지요. 이번 page에서는 만인지적과 만천과해에 대해 알아봅니다.  만인지적 만천과해1. 만인지적만인지적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萬 人 之 敵 만 만사람 인갈 지대적할 적 만인, 숫자는 만이지만 여기서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며, 따라서 모든 사람을 상대할 수 있을 정도로 용맹이 뛰어나고 지략도 갖추고 있는 장수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비슷하게는 만부부당(만명이 덤벼도 당할 수 없음) 사자성어도 있고, 일기당천, 관장지용도 비슷한 성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국 황제에게 ..

역사이야기 2024.05.20

마이동풍 / 마중지봉 / 만인지상의 유래 이야기 및 한자어 뜻(의미) - 이태백

뜬구름같은 소문이나 아무 의미없는 말, 혹은 남의 말을 무시하고 한 귀로 흘려보낸다는 뜻의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가짜뉴스가 난무하는 요즘에는 이런 마이동풍의 자세(?)가 필요할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환경에 중요성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와, 높은 권력의 자리를 뜻하는 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마이동풍/ 마중지봉 / 만인지상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알아보기로 합니다.  마이동풍 마중지봉 만인지상1. 마이동풍마이동풍의 한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馬 耳 東 風 말 마귀 이동녘 동바람 풍 마이동풍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말 귀에 동쪽에서 부는 바람"입니다.  이 성어의 속 뜻은 말 귀에 동풍이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처럼, 어떠한 의미도 없는 말같지도 않은 소리를 뜻하지요. 요즘에는 타인의 ..

역사이야기 2024.05.19

등용문 / 득롱망촉 / 낭자야심 고사성어의 한자 뜻(의미)과 역사 유래일화

어떤 스포츠대회나 국제대회를 일컬어 스타 탄생의 등용문이라는 문장을 쓰기도 합니다. 새로운 인재가 세상에 널리 알려질 기회의 장을 의미하지요.   이 단어는 어떻게 탄생되었을까요? 그리고 사람의 욕심을 나타낸 고사성어도 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위 상황들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등용문 득롱망촉 낭자야심1. 등용문등용문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登 龍 門 오를 등용 용문 문 한자 그대로의 뜻 풀이는, 용문에 오른다 혹은 용으로 올라가는 문입니다. 아래 유래에서 나오겠지만, 유래를 살펴보면 "용으로 올라가는 문"이 좀 더 원래 뜻에 가깝지요.  예전에는 입신양명의 관문정도로 혹은 성공을 위한 기회같은 상황을 등용문이라 불렀습니다. 각종 시험, 스포츠 대회 등 새로운 스타가 자주나..

역사이야기 2024.05.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