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백전백승 / 복룡봉추 / 병자불상지기의 의미(뜻)와 유래 모음 - 손자병법

cky0214 2024. 5. 27. 21:43
반응형

전투,전쟁 혹은 현대의 스포츠 경기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스스로의 능력을 알아야 승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지요. 

 

백전백승

 

상대방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의 현재 능력, 상황을 알고 계책과 방법을 세울 때 승리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 내용의 사자성어 및 추가로 2개의 성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백전백승 / 복룡봉추 / 병자불상지기


1. 백전백승

백전백승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백 백 싸울 전 일백 백 이길 승

 

백전백승은 많이들 아시다시피 백번을 싸워 백번 모두 승리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비슷한 뜻으로 싸울때마다 항상 이긴다는 승승장구가 있으며, 백전백승이 좀 더 강한 뉘앙스의 사자성어입니다. 

 

반대의 뜻을 가진 사자성는 백전백패이지요.

 

사실 유래 원문에 있는 것은 백전불태입니다. 아래 유래를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1.1 유래 일화

백전백승의 유래는 중국 춘추시대의 병법가 손자가 저술한 "손자"의 모공편에서 나옵니다. 

 

손자병법

 

보통 지피지기이면 백전백승으로 알고계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확히는 "지피지기면 백전불태(百戰不殆)"입니다. 나를 알고 적을 알면 100번을 싸워도 위험하지 않다라는 뜻이지요. 

 

손자 모공편에는 아래와 같이 담겨있습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 부지기, 매전필태.

 

손자 모공편

 

-> 적을 알고 나를 알면 100번을 싸워도 위험해지지 않는다. 적을 모르지만 나를 알면 한번은 이기고 한번은 진다. 적도, 나도 모르면 싸울때마다 위험하다.

 

사실 손자가 살던 춘추시대에는 전쟁이 잦았고, 철기가 많이 보급되지 않아 생산력이 약했습니다. 전쟁이 한 번 벌어지면 그야말로 국가의 총력전이기 때문에 이겼더라도 국가적으로 보면 손해가 날 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당시 손자는 100번을 모두 이기는 것보다는 100번을 싸워도 국가가 위태롭지 않은 상태를 최상이라 본 것이지요.

 


2. 복룡봉추

복룡봉추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엎드릴 복 용 룡 봉황 봉 새새끼 추

 

복룡봉추 한자 그대로의 뜻은 "엎드린 용과 봉황 새끼"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와룡봉추라고도 부르기도 했었는데, 여기서 와룡은 누운용이라는 뜻으로 복룡봉추와 의미가 같습니다.

 

복룡봉추

 

여기서 엎드린 용과 봉황은 중국 삼국지의 유명한 책략가, 제갈량 공명과 방통 사원을 의미합니다.

 

초야에 숨어있는 훌륭한 인재를 비유하여 사용되었던 사자성어입니다. 

 

2.1 유래 일화

복룡봉추는 중국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책략가 제갈량 공명과 방통 사원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 2명은 난세가 시작된 후 바로 출사하지 않고 형주 초야에서 때를 기다립니다. 그러나 숨어있어도 이들의 능력은 이미 널리 퍼져 세상사람들은 그 2명을 향해 복룡(제갈량 공명), 봉추(방통 사원)이라고 불렀지요.

 

와룡봉추

 

실제 정사에서는 복룡이라 이름 붙힌 사람은 사마휘, 봉추라 이름 붙힌자는 방덕공과 서서라고 합니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아직 세상에 나오지 않은, 알려져 있지 않은 사람이나 뛰어난 재능을 가진 숨어있는 인재를 말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이지요. 

 

 

이 2사람은 유비에게 등용되어 형주와 촉나라를 얻어 유비가 패권의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 인물이지요. 

 

중국인들은 여기에 사마의(큰 호랑이, 총호), 강유(어린 기린,유린)을 더해 복룡봉추총호유린 이라 하여 삼국시대 4대 책략가로 부르기도 합니다.

 

복룡봉추총호유린


3. 병자불상지기

병자불상지기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병사 병 사람 자 아닐 불 상서 상 어조사 지 그릇 기

 

병자불상지기의 뜻은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도구라는 뜻입니다. 

 

병자는 칼 또는 무기를 가리키며 혹은 전쟁 자체를 말하기도 하는 한자입니다. 본디 무기 및 군대는 사람을 죽이기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상기시켜주는 고사성어이며 무기의 본질을 알려주는 성어입니다.

 

병자불상지기

 

이와 반대되는 뜻의 성어는 지과위무(止戈爲武)입니다. 창을 혹은 전쟁을 멈춰주는 것은 무력(무기)라는 것이지요.

 

현대 핵무기가 핵 억제력을 가진다는 것이 이 지과위무의 뜻과 일치합니다.

 

3.1 유래 일화

이 고사성어는 중국 "노자" 제 31장의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31장에 아래와 같은 구문이 있습니다.

 

"무기라는 것은 상서롭지 못한 기구이다. 자연은 따라서 이를 미워한다. 그러므로 도를 깨달은 사람은 이를 쓰지 않는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런 말은 노자에서 처음 나온 말이며, "삼략"하락편에도 "무기란 본래 상서롭지 못한 기구이며, 하늘의 도는 이를 미워한다"라고 나옵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백척간두 / 병입고황 / 백안시 고사성어의 의미(뜻)와 유래 - 죽림칠현 완적

고사성어, 사자성어는 고대의 역사에서 유래한 것이 많습니다. 선조들의 경험과 지혜가 묻어있으며,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적용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지요.  결국 사람과 사람이 어울

cky0214.tistory.com

 

백년하청 / 백미 / 백아절현 고사성어의 한자 뜻(의미)과 역사 유래 - 마량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을 소망하고 기다린다면 이보다 안타까운 일은 없습니다. 현재의 상황을 올바로 인식하고 현실적인 대책을 세우고 노력하는 것이 더 나을 때가 많지요.  일확천

cky0214.tistory.com

 

배수진 / 알묘조장 / 배난해분의 한자 의미(뜻)와 유래 일화 - 맹자

물러설수 없는 한판 승부, 여기서 지면 끝이다란 생각으로 싸우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다들 잘 아시는 배수진이라는 성어인데요. 이 성어는 어디서 유래했을까요?  그리

cky0214.tistory.com

 

미망인 / 미봉책 / 반골 고사성어의 한자어 의미(뜻)와 유래 일화 - 삼국지 위연

모든 일에는 부족한 면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땜질하는 식의 처방일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존재하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cky0214.tistory.com

 

문경지치 / 물극필반 / 물망재거의 유래 일화 및 한자어 뜻(의미) - 측천무후

사람이 출세를 하고나면 변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어려웠을 적의 마음가짐이나 힘들때 도와주었던 분들을 잊기 마련이지요.   초심을 잃는다면 성취한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는 것은 순식간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