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무엇을 위해 살까요? 삶이 힘들때나 고민이 많을 때 드는 생각이지요.
그러나 생각을 하면 할수록 정답이 없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고사성어가 있지요. 바로 공수래공수거입니다.
그리고 어떤일에 욕심을 내다 일을 망치게 되면 과유불급이라 이야기하며 욕심에 대한 경계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번 post에서는 위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 일화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수래공수거 유래일화
1. 공수래공수거
공수래공수거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空 | 手 | 來 | 空 | 手 | 去 |
빌 공 | 손 수 | 올 래 | 빌 공 | 손 수 | 갈 거 |
고사성어 공수래공수거는 태어날 때 빈손으로 와서 죽을 때 빈손으로 간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많은 돈을 벌거나 재산이 많더라도 죽을 때는 아무것도 가져가지 못하고 모두 부질 없다는 뜻이며, 삶의 덧없음을 표현하는 고사성어이지요.
아무리 권력을 쫓고 재물을 탐한다고 해도 결국 모두 부질 없기 때문에, 살아감에 있어 너무 욕심부리며 살 필요가 전혀 없다는 뜻입니다. 너무 아둥바둥 살 필요도 없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습니다.
현대의 중국어에서도 사용되기는 하지만 공수래공수거보다는 생불대래사불대거(生不带来死不带去)라는 성어를 더 자주 사용하지요.
가수 나훈아씨의 노래 중에 공이라는 노래가 있고, 태진아씨 곡 중에서도 공수래공수거라는 노래가 있으며,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초반 가사 중에 "산다는게 다 그런거지, 누구나 빈손으로 와"도 이 공수래공수거와 일맥상통하는 가사입니다.
1.1 역사 일화
이 공수래공수거 고사성어는 특별한 일화나 유래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여러 고대 시와 일화에서 이와 비슷한 것이 상당히 많습니다.
한 일화를 소개하자면,
옛적 어느 유명한 갑부가 죽었다는 소식에 친지들이 찾아오게 됩니다. 그런데 죽은 이의 관 모양이 좀 이상했는데요, 크기도 작고 관 양쪽에 구멍이 뚫려 있어 고인의 손이 관 밖으로 튀어나와 있었습니다.
이에 장례식에 찾아온 사람들이 상주인 아들에게 그 이유를 묻자 아들은 아래와 같이 답하게 됩니다.
"아버지께서 살아생전에 많은 재산을 모으로 불려서 평생 부자로 살았지만 인생이란 태어날 때도 빈손으로, 죽어서 갈 때도 빈손으로 간다는 것을 보여주시기 위해 관을 이렇게 준비하셨습니다."
보통 아무리 가진것이 많은 부자라도 무덤까지 그것을 가져가지 못한다고 하지요. 이것이 공수래공수거이지요.
부자들 중에서는 일부이기 하지만 공수래공수거를 깨닫고 죽기전 모든 재산을 사회와 어려운 이들에게 기부하고 떠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2. 과유불급
과유불급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過 | 猶 | 不 | 及 |
지나칠 과 | 같을 유/오히려 유 | 아닐 불 | 미칠 급 |
과유불급을 한자 그대로 뜻 풀이 하자면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라는 뜻입니다.
같을 유 한자를 "오히려"로 해석해서 지나침은 오히려 모자란 것에 미치지 못한다라고 알고 계시는 분이 계신데요, 뭐 결국 속뜻은 지나친 것은 좋지 않다라고 같지만 오히려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정확한 해석은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가 정확한 것이며, 이 뜻이 모자란 것이 지나친 것보다 낫다라는 해석을 하는 것은 오류이지요. 이런 오역은 공자가 주장한 중용정신에도 맞지를 않습니다.
미치지 못한 것 역시 지나친 것과 동일하게 정도에 맞지 않는 잘못된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지요.
현대에 와서 특히 엄청 인용되는 사자성어로서, 사람이나 조직이 무리한 욕심으로 안좋은 결과를 초래할 때 사용되는 성어로 보시면 됩니다.
과유불급이라는 것은 대부분 정신적인 측면에서 많이 쓰입니다. 다다익선이 물질적인 측면에서 많이 쓰이는 것과는 다르지요. 아무래도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자제하는 경우가 더 중요한 상황이 많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2.2 역사 유래
이 과유불급은 논어에서 유래한 사자성입니다.
공자의 제자인 자공이 공자에게 묻습니다.
"자장과 자하중에 누가 더 낫습니까"
공자는,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
자공은, "자장이 낫다는 말씀이십니까?"
공자는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것과 같다" 라고 대답합니다.
자공이 공자에게 질문한 것은 제자 중 자장과 자하 중 누가 현명합니까라고 물은 내용입니다.
자공이 위 질문을 공자에게 묻기 전 제자 자장이 선비로서 어떻게 하면 통달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물은 적이 있습니다.
이에 공자는 자장에게 통달이란 무엇인가라고 되 묻게 됩니다.
자장은 "제후를 섬겨도 반드시 그 이름이 높아지고, 경대부의 신하가 되어도 또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지는 것을 말합니다"라고 합니다.
공자는 "그것은 통달이 아닌 듣는 것이다. 본성이 올곧아서 의를 좋아하고 얼굴빛과 말로 상대방의 마음을 알며, 신중히 생각하고 남에게 겸손하며, 이렇게 하여 제후를 섬기거나 경대부의 신하가 되었어도 도에 그릇되는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야 통달이라 할 것이다"라고 답하지요.
자장의 마음속에 있는 허영심과 공명심을 비꼬으며 나무라는 말이었습니다.
한편 또다른 제자 자하에게는 아래와 같이 말한바가 있습니다.
"군자유가 되고 소인유가 되지말라", 여기서 군자유는 자신의 수양을 본의로 하는 구도자이며 소인유란 지식을 얻는 일에만 급급한 학자라는 말입니다.
이 문답을 마치고, 자공은 자장과 자하를 비교해달란 말에 맨 위쪽의 문답처럼 "자장은 지나쳤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라고 답한 것이지요.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라고 이야기 한 것입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포지교와 괄목상대의 역사 유래일화, 한자어 뜻과 의미 - 여몽 (3) | 2024.04.30 |
---|---|
관장지용과 과하지욕의 유래 역사일화 및 뜻 - 관우와 장비 (3) | 2024.04.29 |
[사자성어] 곡학아세와 고육지책의 유래 역사일화 및 뜻(의미) (4) | 2024.04.27 |
[사자성어] 계명구도와 계포일낙의 유래일화 및 뜻(의미) - 춘추전국시대 (3) | 2024.04.24 |
[고자성어] 계륵과 계란유골의 유래와 뜻, 역사일화 (3)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