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처지와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도전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물론 세상을 바꾸거나 기적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세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성공하기란 쉽지 않지요.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위 상황 포함 총 4가지의 고사성어 알아보기로 합니다.
이란격석 / 이립 / 이순 / 이율배반
1. 이란격석
이란격석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以 | 卵 | 擊 | 石 |
써 이 | 알란 | 칠 격 | 돌 석 |
이란격석의 뜻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속담, "계란으로 바위치기"와 동일한 의미의 사자성어 입니다. 달걀로 바위를 친다라는 뜻입니다.
얻는 것이 없이 손해만 보는 어리숙한 행동과 말 혹은 말도 안되는 무모한 도전을 비유하는 성어이지요.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도전과 무모한 행동등이 세상을 바꾸는 발명을 이루어내거나 사람들의 인식을 바꿔놓을 수도 있지요.
1.1 유래 일화
이란격석의 유래는 춘추전국시대 사상가 묵자의 이야기에서 시작합니다.
묵자는 어느날 제나라로 가게 되는데, 가는 길에 점쟁이를 만나게 됩니다. 점쟁이는 묵자에게 북쪽 방향으로 가는 길이 불길하다고 만류했지만 묵자는 점쟁이의 말을 무시하고 가던 길 그대로 북쪽 방향으로 나아가지요.
그런데 지나가던 길의 강물의 흐름이 너무나도 쎄서 강을 건널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길을 돌아오다 아까 만난 점쟁이를 다시 만나게 됩니다. 점쟁이는 자신의 말이 맞지 않았냐며 묵자를 보고 우쭐해져서 도발하게 되지요. 이에 화가난 묵자는 아래와 같이 말하며 점쟁이 말에 답합니다.
"당신이 하는 말은 말도 안되는 근거없는 미신이다. 그것을 믿으면 세상에 길을 건널 수 있는 사람은 하나도 없을 것이오. 그런 말로 나를 비난하는 것은 혹여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것과 같다오"
라고 말하지요.
여기서 이란격석이 유래했으며, 이 일화는 명심보감 묵자 귀의편에 담겨있습니다.
2. 이립
이립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而 | 立 |
말이을 이 | 설 립 |
고사성어 이립은 사람 나이 30살을 달리 말하는 성어입니다. 마흔 살을 불혹이라 부르는 것처럼 이립은 30세가 되는 사람을 말하지요.
한자의 뜻은 "마음이 확고하게 도덕 위에 서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 이립은 공자 논어 위정편에서 유래했습니다. 위정편에는 아래와 같이 적혀있지요.
"본인은 나이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지우학),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으며(이립), 마흔에는 미혹되지 않았고(불혹), 50에는 하늘의 명을 깨닫고 알게 되었으며(지천명), 예순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해도 이치를 깨닫게 되는 경지에 이르렀으며(이순),70이 되어서는 하고싶은대로 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게 되었다(종심소욕불유구)"
여기에서 30의 나이는 이립이라는 용어가 탄생하였습니다.
3. 이순
이순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耳 | 順 |
귀 이 | 순할 순 |
이순은 환갑이 되기 1년 전에 오는 생일을 뜻하는 성어입니다.
앞서 살펴본 이립이 30살을 뜻하는 것이라면 이 이순은 60을 나타낸 용어이며, 이는 공자 논어 위정편에 담겨있는 문장에서 탄생하였지요.
공자 논어편의 이야기는 앞서 살펴본 이립의 유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위정편에는 60세에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하게 되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六十而耳順"
4. 이율배반
이율배반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二 | 律 | 背 | 反 |
두 이 | 법칙 률 | 등 배 | 돌이킬 반 |
이율배반의 뜻은 서로 양립하고 모순되어서 동시에 양립될 수 없는 2개의 명제를 가리킵니다.
어떤 규칙과 주장이 서로 모순되어서 동시간대에 존재할 수 없는 문장이나 명제를 말하지요. 이런 상태의 두 문장을 모두 참이라고 한다거나 모두 거짓이라고 하면 이율배반과 모순이라 합니다.
논리적, 사실적으로도 동등한 근거가 성립하지만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된 두 명제입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두 명제는 이율배반이자 모순입니다.
1. 세계는 시간적으로도 공간적으로도 무한하다
2. 세계는 시간적으로도 시초가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한정된 것이다.
위 두 명제는 유명한 철학자 칸트가 말한 대표적인 이율배반의 문장입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면 두 명제는 각각 한편으로는 옳은 경우이지만, 한편으로는 두 문장 모두 잘못된 경우도 있지요.
같이보면 좋은 글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화접목 / 인과응보 / 인수인계 / 인면수심의 유래와 의미(뜻) - 초나라 춘신군 (1) | 2024.07.17 |
---|---|
이이제이 / 이일대로 / 이전투구 / 이판사판의 의미(뜻)와 유래일화 - 삼십육계 (5) | 2024.07.15 |
은감불원 / 육출기산 / 읍참마속 / 의기양양의 뜻(의미)과 유래 - 공명과 마속 (2) | 2024.07.08 |
위호부익 / 위편삼절 / 유유상종 / 회귤유친의 뜻(의미)과 유래일화 - 범에게 날개 (4) | 2024.07.05 |
운칠기삼 / 원교근공 / 월명성희 / 위위구조의 유래와 한자 뜻(의미) - 손빈 (3) | 202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