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투수 3대 마구 중 하나 자이로볼, 진짜 존재하나? 던지는 법은?

cky0214 2024. 3. 10. 14:36
반응형

자이로볼은 투수의 구종 중 가장 구사하기 어렵다고 알려진 볼입니다.

 

일본의 마쓰자카가 이 볼을 던진다고 하여 큰 이슈가 되었던 볼이지요.

 

자이로볼

 

스크류볼, 너클볼과 함께 야구 투수의 3대 마구로 불리고 있지만 이론상으로 완벽한 자이로볼을 던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자이로볼에 대해 알아봅니다.

 

마구중 하나인 너클볼에 대한 post도 같이 봐주시구요.

 

 

마구의 끝판왕 너클볼 던지는 법, 그립

여러분은 야구의 마구하면 어떤 구종을 떠올리시나요? 만화에나 나오는 마구말고 실제 야구에서의 마구하면 뭘 가장 최고봉으로 뽑으시나요? 최근 슬라이더의 횡적 변화를 더한 스위퍼(sweeper)

cky0214.tistory.com

 

 

자이로볼


1. 자이로볼이란?

1990년 중반 일본의 테즈카 카즈시의 책 "피칭의 정체" 에 의해 존재가 드러난 구종입니다.

 

마치 총알처럼 공이 진행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며 날아가는 구종입니다. 볼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던져지는 볼이지요.

 

 

볼의 회전축은 투수의 시선에서,

 

X축 - 진행방향에 좌우로 수직, 패스트볼, 스크류볼, 커브

 

Y축 - 진행방향 -> 자이로볼

 

Z축 - 진행방향에 상하로 수직, 횡변화구

 

으로 나눌 수 있으며, Y축의 방향을 가진 공이 자이로볼입니다.

 

자이로볼 회전축

 

이런 식의 Y축 회전은 공 위,아래의 회전이 없어 마그너스 효과에 의한 움직임이 없어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집니다.

 

기존의 구종과 가장 비슷한 것을 고르라면 언더쓰루 투수가 던지는 체인지업 정도가 투심 자이로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테즈카가 처음에 설명하고자 했던 자이로볼은 엉덩이 회전을 중심으로 엉덩이에서 어깨 그리고 팔꿈치까지 회전이 이어지는 키네틱 체인을 강조한 것입니다. 

 

자이로볼

 

이런 핵심개념이 독특하고 효율적인 힘의 전달경로로 주목을 받아 연구한 것인데 이것이 점점 살이 붙어가며 와전되었다고 하네요. 

 

마쓰자카가 일본시절 투구폼이 테즈카가 중요시한 골반의 회전을 통한 힘의 전달의 이상적인 움직임이었고 이러한 투구폼으로 던진다고 하는 것이 자이로볼이라는 마구를 던진다라는 식으로 왜곡된 것이 큽니다. 

 

 

또한 일본 야구만화(메이져)등에서 주인공인 시게노가 이 자이로볼을 던진다고 하여 이 공이 마치 궁극의 필살기처럼 그려지지만 사실상 그냥 볼끝이 나쁜 패스트볼 정도입니다.

 

만화 메이저

 

그러나 자이로볼에 대한 인식이 잘못된 것이지 자이로볼 자체가 아예 없다고 취급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실제 회전축과 진행방향이 평행한 구종을 자이로볼로 정의한다면 이러한 공을 던지는 투수는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테즈카가 키워낸 제자들 중에서도 150km/h에 가까운 자이로볼을 던지는 사람이 있었다고 합니다.

 

즉 회전축이 Y축인 구종을 통칭하여 자이로 볼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지요. 


2. 마구 자이로볼은 없다.

물리 이론학적으로 볼때 만화에서와 같은 마구 자이로볼은 없습니다.

 

마구로 표현되는 자이로볼은, 직구와 비슷한 속도의 빠른 패스트볼이 타자의 앞에서 갑자기 떠오르거나 가라앉아 타자 입장에서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역회전성의 공을 던져야 하는데 물리학에서 볼 때 위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려면 최소한 총알수준의 rpm 회전력을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

 

 

던지는 이론은 공을 3루쪽으로 채면서 1루쪽으로 손이 꺾여야 하며, 회전은 드릴 회전을 주면서 160km/h이상을 내야 합니다. 

 

자이로볼 그립

 

만화 메이저에서는 직구로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변화구로 보이며, 아직까지 이것이 변화구인지 직구인지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부 분석에서는 자이로볼이 구속이 빠른 스플리터성 변화구라고 하기도 했답니다. 

 

만화에서나 나올법한 변화구 무브번트와 직구의 속도를 가지고 있는 마구 자이로볼은 던지기 힘드며, 위에서 언급한 회전축이 수평인 옆으로 회전하는 볼을 자이로볼로 불러야 됩니다. 


3. 자이로볼은 통칭명이다

위에서 예기한바와 같이 마구같은 자이로볼은 없습니다. 

 

자이로 회전을 지는 구질의 구종만이 존재할 뿐이지요.

 

마치 오프스피드볼(저속), 브레이킹볼(변화구) 처럼 어떤 구종들의 통칭명이라고 보는 편이 더 맞을 것 같습니다.

 

즉, Y축, 공의 진행방향과 수평인 회전을 지닌 구질의 대표명사로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자이로 회전을 지닌 공을 구사하는 몇 선수가 있는데, 포심 자이로를 사용하는 마쓰자카 다이스케, 투심 자이로의 시오자키 테츠야를 꼽을 수 있습니다. 

 

마쓰자카의 경우 사실 그저 특이한 회전축을 가진 슬라이더를 던졌을 뿐인데 그걸 언론에서 만능 마구라는 잘못된 인식을 붙힌 것이지요. 

 

마쓰자카 자이로볼?

 

마쓰자카, 시오자키는 반 자이로성 싱커도 던졌는데요, 단순히 싱커를 의도한 투구가 자이로 볼성의 회전축을 가지게 된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편하겠습니다. 

 

MLB에서는 브래드 릿지가 자이로성 회전의 슬라이더를 자주 던지지요. 

 

자이로볼 설명 동영상

 

다르빗슈는 자이로볼에 대해 아래와 같이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자이로볼은 슬라이더가 빠진 것에 불과하다. 의도적으로 자이로볼을 던질 수 있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마쓰자카도 이에 대해,

 

"컷 패스트볼이 슈트회전한 우연의 산물일뿐"이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야구 투수가 던지는 슈트는 어떠한 구종인가? 무심 패스트볼?

야구 중계를 보다보면 해설위원들이 투수의 공을 보고 슈트라고 말하는 것을 듣게 됩니다. 투심, 포심, 커브 등 여러 구종이 있지만 슈트라는 볼은 좀 생소한데요. 도대체 슈트는 무엇을 말하는

cky0214.tistory.com

 

야구 팜볼(palmball) 구종의 궤적, 그립 및 던지는 법

팜볼은 야구 구종 중 하나로 체인지업에 비해 상하 종변화가 심하고 속칭 아리랑볼(이퓨스볼)보다는 구속이 빠른 공입니다. 팜볼로 유명한 MLB 트래비 호프먼은 팜볼을 체인지업 대용으로 사용

cky0214.tistory.com

 

역회전 변화구 스크류볼의 궤적, 던지는 법 그립잡는 법

스크류볼(screwball)은 너클볼과 함께 야구 마구로 불리는 구종으로서, 몇 안되는 역회전 변화구입니다. 공이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떨어지며 투수의 팔 방향, 즉 슬라이더의 반대방향으로 꺾이는

cky0214.tistory.com

 

마구의 끝판왕 너클볼 던지는 법, 그립

여러분은 야구의 마구하면 어떤 구종을 떠올리시나요? 만화에나 나오는 마구말고 실제 야구에서의 마구하면 뭘 가장 최고봉으로 뽑으시나요? 최근 슬라이더의 횡적 변화를 더한 스위퍼(sweeper)

cky0214.tistory.com

 

포심/투심 패스트볼 뭐가 다른가? 차이점

야구 중계를 듣다보면 포심 패스트볼, 투심 패스트볼이란 용어를 심심치 않게 많이 듣게 되죠. 일단 패스트볼은 투수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직구를 뜻합니다. 이 직구를 그립(공 실밥 잡는 법)에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