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전파력 최강 코로나 새 변이 출현, 결막염이 아니라구?

cky0214 2023. 4. 21. 18:24
반응형

코로나 신종 변이

 

이제 코로나라고 하면 별로 걱정되거나 두려움은 많이 사라진 듯 합니다. 많이들 감기와 동일 시 하시고 계시구요. 그러나 최근 전파력 중 최강이었던 XBB.1.5(오미크론 하위변위, 일명 크라켄)보다 2배 강한 새 변이(XBB.1.16,아르크투르스)가 등장해 긴장을 고조 시키고 있습니다. 

 

 

이 변이는 현재 인도에서 급속한 속도로 전파 중이라고 합니다. 인도에서는 2월 한때 확진자 수가 100명대였지만 최근 1만명대로 100배나 증가했다고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다시 마스크가 의무화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한국에도 이 변이에 감염된 환자가 52명으로 전파력을 감안하면 급속도로 증가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에도 빠르게 늘고 있어 전체 확진자중 7.2%(지난주 3.9%)로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XBB .1.16

 

변이 명칭 및 증상

 

이 변이는 오미크론 하위 변위로서 "XBB.1.16" 으로 이름 붙혀졌으며 1월 처음 발견됬고 별자리에서 따온 "아르크투르스"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현재까지 미국,인도,중국,싱가폴,호주,홍콩,한국 등 29개국 이상에서 발견되었으며 빠르게 확산중입니다. 

 

 

외신에 따르면 이 변이는 기존 코로나 증상 뿐 아니라 눈병증상, 특히 결막염 및 충혈, 눈 가려움 증상이 추가로 나타났으며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청소년들에게서 주로 두드러지게 발현 된다고 합니다.

 

눈병 코로나

 

반응형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프로웰 교수는 " 만약 충혈되고 끈적이거나 가려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코로나 새 변이 XBB.1.16 일 수 있으니 눈병으로 오해해 넘기지 말고 반드시 코로나 검사를 받으라"라고 글을 올렸으며, 도쿄대 연구진은 "새 변이의 전염성이 기존 최강의 오미크론 변이인 XBB.1.5보다 1.2배 강하다" 라며 확산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홍콩대 소아 청소년과 마이크 콴 얏와 교수는 "XBB.1.16 감염자에게선 눈병 증상이 나타나는 만큼 이들과 접촉할 땐 눈병이 옮지 않도록 반드시 보안경을 등을 착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코로나

 

 

그러나 아직까지 이 변이가 중증도를 높인다는 증거는 없다고 하네요. 그러나 아직 확산 초기인 만큼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