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성공이다라고 안심하다 여러 어려움을 만나면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는 사람이 많습니다.
좋은일에는 항상 그런 일이 꼬이기 마련이지요.
그래서 항상 겸손하고 마음을 놓지 말아야 합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내용을 가리키는 고사성어와 총 4개의 성어 알아봅니다.
호사다마 / 호사유피 / 호시탐탐 / 호언장담
1. 호사다마
호사다마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好
|
事
|
多
|
魔
|
좋을 호
|
일 사
|
많을 다
|
마귀 마
|
호사다마는 한자로 보면, "좋은 일에는 마귀가 많이 붙는다"라는 의미지요.
즉 좋은 일에는 방해하는 마귀가 많다는 뜻이며, 좋은 일이 생기려 하면 이상하게 방해나 탈이 많이 생긴다는 것이지요.
호사다마는 중국 고대에서 비롯된 말이지만 특정한 하나의 고사나 이야기에서 딱 정립된 것은 아닙니다.
"후한서"나 "태평광기" 같은 고대 문헌에는 "좋은 일이 있을 때일수록 방심하지 말라"는 취지의 말들이 여러번 등장합니다.
그런 맥락속에서 호사다마라는 말이 생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불교의 영향이 컸는데요, 불교에서는 "마"를 선한 일을 방해하려는 나쁜 힘으로 자주 설명했는데요.
선업을 쌓으려고 하면 마장이 끼어든다, 깨달음을 얻으려 하면 마귀가 시기한다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뜻의 사자성어는 새옹지마, 전화위복, 양광천리가 있습니다.
2. 호사유피
호사유피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虎
|
死
|
留
|
皮
|
|||
범 호
|
죽을 사
|
머무를 유
|
가죽 피
|
호사유피 한자그대로의 뜻은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라는 의미입니다.
속 뜻은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입니다.
호사유피 하나로 쓰이기 보다는 아래처럼 같이 쓰이지요.
" 虎死留皮 人死留名"
->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호사유피는 중국 고대 문헌인 "사기", "후한서"등에 비슷한 표현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후한서" 광속열전에 보면 유래가 나옵니다.
광속이라는 인물이 목숨을 걸고 의로운 일을 하면서, 호랑이는 죽으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으면 명예를 남긴다고 말한 기록이 있습니다.
그리고 삼국지연의에도 유사한 표현이 나오는데, 장료라는 장수가 위급한 상황에서 병사들을 독려하면서 이 성어를 썼다고 합니다.
3. 호시탐탐
호시탐탐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虎
|
視
|
眈
|
眈
|
|||
범 호
|
볼 시
|
노려볼 탐
|
노려볼 탐
|
호시탐탐은 한자 그대로의 뜻은, 호랑이가 먹잇감을 노리듯 예리하고 무섭게 기회를 엿본다는 뜻입니다.
매섭고 날카로운 눈빛으로 기회를 노리며 주시하는 것이지요.
기회를 노리며, 조용히, 치밀하게, 때를 기다리는 상황을 표현할 때 씁니다.
호시탐탐은 고대 중국 전쟁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특히, "좌전", "사기"같은 고전 속 전투 이야기에서 강한 나라가 약한 나라를 먹으려할때나, 장수나 전장을 주시하며 적의 약점을 노릴 때 호시탐탐이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비슷한 성어로, 음으로양으로, 기회주의, 야심만만과 비슷한 뉘앙스의 성어라 보시면 됩니다.
4. 호언장담
호언장담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豪
|
言
|
壯
|
談
|
호걸 호
|
말씀 언
|
씩씩할 장
|
말씀 담
|
호언장담의 한자 그대로 뜻은 씩씩하고 힘차게 말하거나 자신만만하게 과장되게 말한다는 의미입니다.
호기롭게 자신있게 큰소리로 말하거나 주장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긍정적인 뉘앙스 혹은 부정적인 뉘앙스로도 쓰일 수가 있습니다.
이 호언장담은 특정 고전 이야기나 사건에서 딱 나온 것은 아닙니다.
한나라 시대 이후 중국문학과 사서에서 자연스럽게 생긴 표현입니다.
특히 장군이나, 군웅들이 연설을 할 때 반드시 이기겠다고 호언장담이란 표현을 많이 썼지요.
이와 비슷한 뜻으로 장담대언, 대언장담, 과대망상등이 있지요.
형형색색 / 형설지공 / 호가호위 / 호각지세의 유래와 한자어 뜻 - 열자 천서편
스포츠에서는 두 상대가 서로 물러서지 않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어느 한 쪽도 상대를 압도하지 못할 경우 승부가 나지 않고 평행선이 이어 질 수 있지요. 이런
cky0214.tistory.com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질기의 / 호천통곡 / 호화찬란 / 호형호제의 한자 뜻과 유래 - 채나라 환후 (1) | 2025.04.29 |
---|---|
호왈백만 / 호연지기 / 호의호식 / 호접지몽의 유래와 한자어 뜻 - 백만대군 (1) | 2025.04.28 |
형제공회 / 호거용반 / 호구지책 / 호도경난의 뜻과 유래 - 천자문 (2) | 2025.04.27 |
청년주택의 신청 및 자격 조건, 신청 방법과 절차(서류 준비) (0) | 2025.04.27 |
형형색색 / 형설지공 / 호가호위 / 호각지세의 유래와 한자어 뜻 - 열자 천서편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