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형제공회 / 호거용반 / 호구지책 / 호도경난의 뜻과 유래 - 천자문

cky0214 2025. 4. 27. 22:20
반응형

이번 page에서는 형제공회를 포함한 총 4가지의 사자성어 뜻과 의미, 유래까지 알아봅니다.

 

아래 4가지 성어 풀이 참고해주세요.

 

 

형제공회 / 호거용반 / 호구지책 / 호도경난


1. 형제공회

형제공회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형 형 아우 제 구멍 공 품을 회

 

형제공회 한자 뜻을 보면, 단어 그대로 해석해서 "형제 같은 사람들이 모여 공적으로 일을 의논하고 결정하는 모임"을 의미합니다.

 

형제처럼 평등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공개적이고 민주적으로 회의를 하고 함께 결정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뜻하지요.

 

즉 신분과 나이에 상관없이 서로를 동등하게 대해고, 함께 협력하여 일하는 조직이나 모임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형제공회는 시경 상체편에서 나온 말입니다.

 

시경

 

시경은 중국 고대의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공자가 편집했지요.

 

기원전 11세기부터 6세기 사이의 주나라 시대의 다양한 지역 노래와 시를 모은 책입니다.

 

총 305편의 시가 실려있고 자연, 사회, 정치, 사랑등의 주제를 다룹니다. 

 

 


2. 호거용반

호거용반의 한자는 아래와 같지요.

범 호 걸어앉을 거 용 룡 소반 반

 

호거용반의 한자 그대로 뜻을 보면 호랑이가 웅크리고 용이 서려있다라는 의미이죠.

 

즉 지형이나 어떤 곳이 매우 험하고 웅장하며, 천혜의 요새처럼 방어에 유리한 곳을 비유하는 성어입니다.

 

자연환경이 거칠고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을 묘사할 때 주로 쓰지요.

 

호거용반 사자성어는 삼국지연의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조조가 나오는 위서 무제기 일화에서 보입니다.

 

호거용반

 

조조는 허창을 근거지로 삼고 천하를 도모하려고 합니다. 동시에 낙양을 바라보며 아래와 같이 평가하지요.

 

"虎踞龍盤之地也"

-> 호랑이가 웅크리고, 용이 똬리를 튼 것 같은 지형이다.

 

이 말은 낙양의 지세가 산과 강으로 둘러싸여 매우 험하고 방어하기 좋다는 의미였고, 그래서 낙양은 천하를 다스릴 중심지로 삼을 만한 지역으로 여겨졌습니다.


3. 호구지책

호구지책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풀칠할 호 입 구 어조사 지 꾀 책

 

호구지책의 한자 그대로 뜻은 입을 풀칠하는 방법, 책략을 뜻합니다.

 

이는 겨우 생계를 이어가는 방책을 말하며, 먹고살기 위해 하는 최소한의 일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생존을 위해 최소한으로 일하며 먹고사는 방법이지요.

 

이 호구지책은 고대 중국의 한나라 쯤 이미 등장합니다.

 

호구지책

 

그 때에는 농경사회였고, 많은 사람들이 가난하면 밥은 커녕 풀죽이나 풀죽에 가까운 걸로 입에 겨우 풀칠하면서 연명했습니다.

 

여기에 입에 풀칠(호구)이라는 말이 생겼고, 호구는 표현이 생존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한서"나 "사기" 같은 데서 호구라는 표현이 가난한 백성이나 하층민들의 처지를 묘사할 때 종종 쓰였지요.

 

여기서 굳어져서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방편"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4. 호도경난

호도경난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풀칠할 호 칠할 도 고칠 경 어려울 난

 

호도경난의 의미는 일이 엉망진창이 되어 결국 수습하기 어려워진 상황을 뜻합니다. 

 

처음에 대충 넘겼던 일이 결국 심각하게 꼬여서 해결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호도"는 오래전부터 중국 고대에서 사용되었지요. 

 

원래는 밀가루 풀로 덮어 흐릿하게 만든다는 뜻이었지만 점점 의미가 확장되어서, 사람이 어리숙하거나 일이 분명치 않고 어지러운 상황을 뜻합니다.

 

특히 청나라때 많이 쓰였는데 그 중 유명한 책이 "호도경"입니다.

 

이 책은 적당히 모르는 척하며 세상을 사는 지혜를 가르치는 내용인데, 반대로 세상 일이 너무 호도되면 결국 큰 난관에 부딪힙니다. 

 

이런 생각이 호도경난이라는 말로 자연스럽게 이어졌습니다. 


 

 

형형색색 / 형설지공 / 호가호위 / 호각지세의 유래와 한자어 뜻 - 열자 천서편

스포츠에서는 두 상대가 서로 물러서지 않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어느 한 쪽도 상대를 압도하지 못할 경우 승부가 나지 않고 평행선이 이어 질 수 있지요. 이런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