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살면서 가까운 친구,지인 하나만 사귀어도 성공한 삶이라 할 수 있지요.
실제 형제가 아니어도 형, 아우라 부를 수 있는 사이가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요?
위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이번 page에서는 총 4개의 사자성어 뜻과 유래 알아봅니다.
호질기의 / 호천통곡 / 호화찬란 / 호형호제
1. 호질기의
호질기의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護
|
疾
|
忌
|
醫
|
보호할 호
|
병 질
|
꺼릴 기
|
의원 의
|
호질기의의 한자어 그대로 직역하면, "병을 숨겨 의사에게 보이기를 꺼려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속뜻은, 잘못이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듣지 않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이지요.
유래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명의인 편작과 채나라의 환후의 고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한비자 "유로편"에 실려있습니다.
편작이 환후를 보고 피부에 병이 들었으니 지금 치료하지 않으면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으나 환후는 자신은 병이 없어 치료가 필요없다 합니다.
열흘 뒤 편작은 다시 환후를 만나 이번에는 병이 살 속까지 퍼져서 서둘러 치료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이야기했으나 환후는 오히려 화를 내며 무시했지요.
또다시 열흘 뒤 환후를 찾아온 편작은 멀리서 보기만 하다가 다시 돌아갑니다. 환후가 사람을 보내 그 이유를 묻자, 편작은 이미 병이 골수에까지 침투하여 고칠 수가 없기 때문에 돌아갔다고 말하지요.
그로부터 5일 수 환후는 온몸에 고통을 느끼기 시작했고 그제서야 편작을 데려오라 했으나 이미 그는 진나라로 도망간 뒤였고, 결국 환후는 죽게 됩니다.
2. 호천통곡
호천통곡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呼 | 天 | 痛 | 哭 |
부를 호 | 하늘 천 | 아플 통 | 울 곡 |
호천통곡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하늘을 향해 울부짖으며 몹시 슬퍼 울다" 라는 의미입니다.
극심한 고통과 슬픔이나 비통함을 억누르지 못하고, 하늘을 향해 소리 높여 통곡하는 모습을 가리킵니다.
이 사자성어는 특정한 고전 작품이나 이야기에서 유래된 것은 아니지만, 한자 문화권에서는 오래전부터 사람이 감당할 수 없는 깊은 슬픔을 하늘을 향해 통곡한다라는 비유를 써왔습니다.
고대 중국 역사서 "사기", "한서"같은 기록에도 사람들이 부모나 임금을 잃거나, 큰 재난을 당했을 때 호천통곡했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현대에는 비유적으로 말할 수 없이 슬프고 억울한 심정을 표현할 때 널리 사용되지요.
3. 호화찬란
호화찬란의 한자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豪 | 華 | 燦 | 爛 |
호걸 호 | 빛날 화 | 빛날 찬 | 빛날 란 |
호화찬란의 한자 뜻을 보면 매우 화려하고 찬란하여 눈부시다라는 의미입니다.
겉모습이 매우 화려하고, 빛나는 듯 아름답고 눈부신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고전 중국 한자어 조합인데요, 특정 고전 문헌에서 직접 유래한 것은 아니고, 호화+찬란이라는 2가지 표현을 결합해서 만들어진 관용적 사자성어입니다.
호화는 이미 한나라 시대 문헌에 등장합니다. 왕족이나 귀족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을 묘사할때 쓰는 단어입니다.
찬란은 고대 시부터 "햇빛처럼 빛나는", "보석처럼 빛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호화찬란은 고대부터 주로 왕실, 귀족, 부유층의 생활이나 화려한 건물, 장식, 행사를 묘사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4. 호형호제
호형호제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呼
|
兄
|
呼
|
弟
|
|||
부를 호
|
형 형
|
부를 호
|
아우 제
|
호형호제는 한자 그대로 보면, "서로 형이라 부르고, 아우라 부른다"는 뜻입니다.
서로 형제처럼 매우 친하게 지낸다는 의미이지요. 오늘날에도 많이 쓰이는데요, 형제처럼 돈독한 관계를 나타낸 때 쓰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고대 중국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중국 고전 삼국지연의에서도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결의로 의형제를 맺고 서로 형님, 아우라 불렀지요.
남남이었지만 마음으로 맺은 형제 같은 사이를 표현하며, 진심으로 서로를 신뢰하고 가족처럼 여기는 친밀한 관계를 의미합니다.
의기투합, 수어지교와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고, 칭형도제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형제공회 / 호거용반 / 호구지책 / 호도경난의 뜻과 유래 - 천자문
이번 page에서는 형제공회를 포함한 총 4가지의 사자성어 뜻과 의미, 유래까지 알아봅니다. 아래 4가지 성어 풀이 참고해주세요. 형제공회 / 호거용반 / 호구지책 / 호도경난1. 형제공회형제공회의
cky0214.tistory.com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혹세무민 / 혼비백산 / 혼수탁어 / 혼연일체의 유래와 한자어 뜻 - 병법 (1) | 2025.04.29 |
---|---|
노동절(근로자의 날)의 역사, 법정 공휴일? 쉬는 사람은? 다른 나라의 노동절 (2) | 2025.04.29 |
호왈백만 / 호연지기 / 호의호식 / 호접지몽의 유래와 한자어 뜻 - 백만대군 (1) | 2025.04.28 |
호사다마 / 호사유피 / 호시탐탐 / 호언장담의 한자 뜻과 유래 - 동해원 (2) | 2025.04.27 |
형제공회 / 호거용반 / 호구지책 / 호도경난의 뜻과 유래 - 천자문 (2)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