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역대 한국인 MLB 메이저리거 선수들 모음 및 성적

cky0214 2024. 4. 9. 00:41
반응형

박찬호를 시작으로 빅리그 MLB에 도전하는 한국인 선수들이 늘어났지요.

 

현재는 김하성을 필두로 이정후등 여러 선수들이 활약하고 있습니다.

 

메이저리거

 

세계 최고의 리그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는 한국 선수들의 소식을 들으면 그 날 하루는 정말 행복합니다.

 

이번 post에서는 MLB에서 뛰었던 한국인 선수들 정리해봅니다.

 

MLB 리그구조 및 포스트시즌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세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의 양대리그(내셔널,아메리칸)구성과 소속팀, 차이점

모든 야구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세계최고의 야구리그인 메이저리그.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리그답게 수 많은 팀들이 월드 챔피언을 위해 경쟁하고 있습니다. 박찬호 선수를 필두로 하여 우

cky0214.tistory.com

 

 

한국인 메이저리거


1. 메이저리그 진출의 시작

박찬호 이전 1970~1980년대에 이미 박철순, 이원국 선수들이 MLB에 도전한 적이 있지만 결국 데뷔는 하지 못하고 리턴합니다.

 

KBO레전드 최동원 선수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계약금 1만달러 계약까지 갔지만 병역문제가 걸려 포기했었지요.

 

이원국의 복귀 이후 MLB 도전의 역사가 없었지만, 1994년 LA다저스에 한양대 2학년 재학중인 박찬호가 입단하면서 역사가 바뀝니다.

 

박찬호

 

이를 계기로 수 많은 한국 유망주, 고교생 선수들의 도전이 이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MLB는 만만치 않았습니다. 일부 선수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은 한국으로 리턴했고 오히려 일본으로의 진출이 많았습니다.

 

구대성이나 이상훈처럼 일본을 거쳐 MLB로 진출하는 case가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2012년 류현진의 빅리그 진출에 성공하면서 KBO 최초로 MLB로 직행하는 사례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류현진

 

류현진 이후 MLB스카우트들의 KBO관심이 늘어나면서 강정호, 박병호, 오승환 등 일본을 거치지 않고 빅리그 직행 선수들이 생겨났지요.

 

현재는 김하성 최지만, 이정후등 자신감 넘치고 주눅들지 않는 신세대 한국 선수들이 MLB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다음 항목에서는 역대 MLB 한국 선수들 알아봅니다.

 

 

 

 

 


2. 역대 한국 선수

역대 MLB 한국 선수와 성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박찬호

데뷔: 1994년 4월 8일, LA다저스

최종 성적 : 124승 98패

소속팀: LA다저스-텍사스레인저스-샌디에이고 파드리스-뉴욕메츠-LA다저스-필라델피아 필리스-뉴욕 양키즈-피츠버그 파이레츠

빅리그 활약기간: 1994~2010년

 

한국 최초의 메이저리거, 최초 MLB 올스타, 아시아 출신 최다승 투수(124승), 한국의 최초 MLB 규정이닝 충족선수,한국인 최초 FA자격취득(5년 6500만불).

 

박찬호

 

● 조진호

데뷔 : 1998년 7월4일, 보스턴 레드삭스

최종성적: 2승6패

소속팀 : 보스턴 레드삭스-보스턴 레드삭스 마이너팀

빅리그 활약기간 : 1998~1999년

 

조진호

 

● 김병현

데뷔 : 1999년 5월 29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최종성적 : 54승 60패 86세이브 20홀드

소속팀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보스턴 레드삭스-콜로라도 로키스-플로리다 마린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플로리다 마린스

빅리그 활약기간 : 1999년~2007년

 

한국인 최초 월드시리즈 우승경험, 최초 양대리그 우승 경험, 한국인 역대 2번째 MLB 올스타

 

김병현

 

● 이상훈

데뷔 : 2000년 6월 29일, 보스턴 레드삭스

최종성적 : 9경기 11이닝, 방어율 3.09

소속팀 : 보스턴 레드삭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00년

 

이상훈

 

 

 

 

 

 

● 김선우

데뷔 : 2001년 6월 15일, 보스턴 레드삭스

최종성적 : 13승 13패, 4홀드

소속팀 : 보스턴 레드삭스 - 워싱턴 내셔널스 - 콜로라도 로키스 - 신시내티 레즈

빅리그 활약기간 : 2001~2006년

 

한국인 유일의 쿠어스필드 완봉승.

 

김선우

 

● 봉중근

데뷔 : 2002년 4월 23일,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최종성적 : 7승 4패 1세이브 2홀드

소속팀 :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 신시내티 레즈

빅리그 활약기간 : 2002~2004년

 

봉중근

 

● 서재응

데뷔 : 2002년 6월 21일, 뉴욕 메츠

최종성적 : 28승 40패

소속팀 : 뉴욕 메츠  - LA다저스 - 템파베이 데블레이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02~2007년

 

한국인 2번째로 MLB 규정이닝 충족.

 

서재응

 

● 최희섭

데뷔 : 2002년 9월 3일, 시카고 컵스

최종성적 : 915타수 2할4푼

소속팀 : 시카고 컵스 - 플로리다 마린스 - LA 다저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02~2005년

 

한국인 최초 MLB 야수, 한국인 유일 MLB 올스타전 홈런 더비 참가

 

최희섭

 

● 백차승

데뷔 : 2004년 8월 8일, 시애틀 매리너스

최종성적 : 16승 18패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04~2008년

 

2005년 한국 국적 포기, 미국 시민권 취득

 

백차승

 

● 구대성

데뷔 : 2005년 4월 4일, 뉴욕 메츠

최종성적 : 6홀드, 방어율 3.91, 2타수 1안타 5할타자

소속팀 : 뉴욕 메츠

빅리그 활약기간: 2005년

 

구대성 5할타자

 

 

 

 

 

 

● 추신수

데뷔 : 2005년 4월 21일, 시애틀 매리너스

최종성적 : 1652경기 7157타수 2할7푼5리, 218홈런, 출루율 3할7푼7리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신시내티 레즈 - 텍사스 레인저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05년~2020년

 

한국인 메이저리거 최초 규정타석 충족, 한국인 MLB FA최고액(7년 1억3000만불), 역대 3번째 MLB올스타, 아시아인 최초 20-20클럽, 아시아인 최다 홈런기록, 아시아인 최초 사이클링히트, 텍사스 레인저스 연속경기 출루 기록자.

 

추신수

 

● 류제국

데뷔 : 2006년 5월 14일, 시카고 컵스

최종성적 : 1승 3패 1홀드 방어율7.49

소속팀 : 시카고 컵스 - 탬파베이 더블레이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06년~2008년

 

류제국

 

● 류현진

데뷔 : 2013년 4월 2일, LA다저스

최종성적 : 78승 48패 방어율 3.27 4완투승, 3완봉승

소속팀 : LA다저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13년~2023년

 

KBO 최초, 포스팅시스템으로 MLB진출, 한국인 최초 월드시리즈 선발등판, MLB로 직행한 KBO 최초선수, 3번째로 규정이닝을 충족, MLB최초 타이틀홀더(2019년 방어율 2.32), 한국인 최초 올스타전 선발등판, 아시아인 4번째 사이영상 득표 3위이상, 아시아인 최초 사이영상 1위표 획득, 워렌스판상 수상.

 

류현진

 

● 임창용

데뷔 : 2013년 9월 7일, 시카고 컵스

최종성적 : 5이닝 방어율 5.4

소속팀 : 시카고컵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13년

 

임창용

 

● 강정호

데뷔 : 2015년 4월 8일, 피츠버그 파이리츠

최종성적 : 297경기 1028타수 타율 2할 5푼 4리, 46홈런

소속팀 : 피츠버그 파이리츠

빅리그 활약기록 : 2015~2019년

 

KBO최초 리그 포스팅을 통해 MLB로 진출한 첫 야수.

 

강정호

 

● 오승환

데뷔 : 2016년 4월 3일, 세인트우리스 카디널스

최종성적 : 16승 13패 42세이브 45홀드, 방어율 3.31

소속팀 : 세인트우리스 카디널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콜로라도 로키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16~2019년

 

오승환

 

● 박병호

데뷔 : 2016년 4월 4일, 미네소타 트윈스

최종성적 : 62경기 215타수 1할9푼1리, 홈런 12개

소속팀 : 미네소타 트윈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16~2017

 

박병호

 

 

 

 

 

 

● 이대호

데뷔 : 2016년 4월 4일, 시애틀 매리너스

최종성적 : 104게임 317타수 2할5푼3리, 14홈런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16년

 

이대호

 

● 최지만

데뷔 : 2016년 4월 5일, LA 에인절스

최종성적 : 525경기 1841타수 타율 2할 3푼 8리 , 67홈런

소속팀 : LA 에인절스 - 뉴욕 양키스 - 밀워키 브루어스 - 탬파베이 레이스 - 피츠버그 파이리츠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16년 ~ 현재

 

한국인 야수 최초 월드시리즈 진출, 금지약물 적발(2014).

 

최지만

 

● 김현수

데뷔 : 2016년 4월 10일, 볼티모어 오리올스

최종성적 : 191경기 585타수 2할7푼3리 7홈런소속팀 : 볼티모어 오리올스 - 필라델피아 필리스빅리그 활약기간 : 2016~2017년

 

김현수

 

● 황재균

데뷔 : 2017년 6월28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최종성적 : 18게임 57타수 1할 5푼 4리, 데뷔전 홈런

소속팀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빅리그 활약기간 : 2017년

 

황재균

 

● 김광현

데뷔 : 2020년 7월 2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최종성적 : 35경기 10승 7패 2세이브, 방어율 2.97

소속팀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20~2021년

 

김광현

 

● 김하성

데뷔 : 2021년 4월 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최종성적 : 419경기 1506타수 2할4푼5리 36홈런

소속팀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21년~현재

 

한국인 메이저리거 2번째 규정타석 충족, 한국인/아시아인 내야수 최초 골든 글러브 수상

 

김하성

 

 

● 양현종

데뷔 : 2021년 4월 26일, 텍사스 레인저스

최종성적 : 12경기 3패 , 방어율 5.60 25K

소속팀 : 텍사스 레인저스

빅리그 활약기간 : 2021

 

한국인 메이저리거 데뷔 선발 최다 탈삼진(8k)

 

양현종

 

● 박효준

데뷔 : 2021년 7월 16일, 뉴욕양키스

최종성적 : 68경기 179타수 2할0푼1리 5홈런

소속팀 : 뉴욕양키스 - 피츠버그 파이리츠 - 이후 마이너

빅리그 활약기간 : 2021~2022년

 

박효준

 

● 배지환

데뷔 : 2022년 9월 23일, 피츠버그 파이리츠

최종성적 : 121경기 408타석 2할 4푼 2홈런

소속팀 : 피츠버그 파이리츠

빅리그 활약기간 : 2022년~현재

 

배지환

 

● 이정후

데뷔 : 2024년 3월 29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최종성적 : TBD

소속팀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빅리그 활약기간 : 2024년~현재

 

한국인 야구선수 사상 최초 부자 해외진출(이종범), 역대 아시아 야수 포스팅 최고액(6년 1억1300만달러, 1500억).

 

이정후

 


같이보면 좋은 글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의 양대리그(내셔널,아메리칸)구성과 소속팀, 차이점

모든 야구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세계최고의 야구리그인 메이저리그.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리그답게 수 많은 팀들이 월드 챔피언을 위해 경쟁하고 있습니다. 박찬호 선수를 필두로 하여 우

cky0214.tistory.com

 

한국 프로야구 KBO역사상 리버스스윕(역스윕) 사례들(+해외)

단기 시리즈 경기에서는 짜릿한 순간이 많죠. 포스트 시즌의 특성상 각 팀의 최상위권 선수들이 매일같이 최선을 다하게 되다보니, 시즌중에는 나오지 않았던 장면과 상황이 연출됩니다. 그 중

cky0214.tistory.com

 

KBO 프로야구팀 구단이름에 연고지(지역명)이 없는 이유들

KBO각 구단명을 보면 연고지를 표시한 팀은 한군데도 없습니다. 타 스포츠나 MLB를 보더라도 LA다저스, 뉴욕양키즈 처럼 팀이름엔 도시나 지역명이 명시되어 있지요. 우리는 왜 지역명이 안붙고

cky0214.tistory.com

 

미국 MLB에서 양대리그 간 인터리그(교류전) 역사 및 진행방식

인터리그란 프로스포츠에서 타 리그에 속한 팀들과 펼치는 경기를 뜻합니다. 대체로 양대리그(혹은 그 이상) 시스템의 프로스포츠에서 많이 볼 수 있지요. 이 인터리그는 주로 대부분 2개이상의

cky0214.tistory.com

 

MLB대표적인 저주 보스턴 레드삭스 밤비노의 저주, 86년동안의 악몽

MLB에는 대표적인 징크스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께진 징크스이지만 께지기까지 무려 86년이 걸릴 정도로 살벌하여 MLB에서는 저주라 불렀지요. 바로 보스턴 레드삭스의 밤비노의 저주입니다. 이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