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곳에 있다가 야외로 나가 햇빛을 쐼과 동시에 재채기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는 질환이 아닌 일명 "광반사 재채기"라고 하는 것인데요, 줄여 ACHOO 증후군이라고 불리우는 증상입니다.
특별히 몸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닌 신경학적인 반사 증상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이 광반사 재채기(Achoo 증후군)에 대해 알아봅니다.
폐와 기관지에 좋은 음식도 같이 봐주세요.
광반사 재채기
1. 광반사 재채기란?
광반사 재채기, 빛 재채기 반사(Photic Sneeze Reflex)란 밝은 빛을 갑자기 보거나 눈 주위에 주사를 놓는다든지 하는 자극에 반응하여 재채기 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는 아추(ACHOO, 영어로 재채기의 의음어) 증후군이라 부르기도 하지요.
시각적으로 어두운 곳에 있다가 갑자기 밝은 빛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재채기가 나오는 증후군입니다. 갑자기 밝은 빛에 노출되었을 때 잠깐 발생하며 눈과 시각이 이 빛에 적응하면 없어집니다.
어두운 곳에 있다가 엄청 밝은 햇빛에 나오는 것과 같은 광도과 확 변하는 환경에서는 높은 확률로 발생하는 반면, 형광등 정도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제 ACHOO의 의학용어는 Autosomal Dominant Compelling Helio-Ophthalmic Outburst Syndrome이라 해서 "상염색체 우성유전자가 일으카는 돌발성 태양 시각 증후군"이지요.
이 증상은 조사에 따르면 미국 전체 인구 중 18~35%정도, 일본에서는 무려 4분의 1인 25%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아시아인에게 특히 더 많이 관찰된다고 합니다.
이 증상은 유전자 상염색채 우성으로 유전되는 유전장애이지만 증상이 매우 약하여 생활하는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이 증상은 보통 유전된다는 예기지요.
최근 도로 터널 출구부근에서의 사고 및 편대 비행중인 조종사의 사고의 원인이 이 빛 재채기 반사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일부 증상을 보이는 분들중에는 카메라 플래시에도 재채기를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2. 원인과 여러 가설들
발생원인과 관련하여 중뇌의 광반사 증추 자극과 관련된 것이 유력합니다.
에딩거-베스트팔 핵에서 나온 신경돌기가 홍채의 동공 괄약근과 코 분비를 조잘하는 신경세포 모두와 연결되어 있어서 이것이 강렬한 빛의 신호에 반응하기 때문이라 생각되고 있습니다.
눈부심을 느끼는 순간 광반사 중추는 홍채의 동공 괄약근을 수축시키는 동시에 코샘에서 콧물 분비를 일으킨다고 하는 예기지요.
콧물이 분비되면 코 점막에 자극을 주고 이 자극이 감각신경을 통해 중추에 전달돼 재채기 반사 중추가 작동한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빛이 재채기를 어떻게 유발하는지에 대한 이유는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추측은 과거 인류가 어두운 동굴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고 야외로 나왔을 때 이러한 반사 작용이 발생하여 코나 호흡기에 들러붙은 미생물 및 곰팡이를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인류의 조상에게 진화학적으로 필요했었던 반사작용이 현재 인류에게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측되는 것이지요.
또 다른 가설이 있는데요, 특정 부교감 신경 활성화가 다른 부교감 신경도 활성화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강한 빛을 받아 동공이 수축하는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면 코 점막 등 다른 신경계도 함께 활성화되어 재채기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지요.
3. 막는 방법?
이 광반사 재채기가 어떤 특별한 질병으로 인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재채기 자체가 다른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하지는 않지요.
하지만 운전할 때 터널을 통과하고 나면 갑자기 밝은 빛을 보게 되므로, 증상이 있으신 분들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구름 한 점 없는 밝은 날에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시신경의 자극에 의한 것이 유력하므로 선글라스가 광반사 재채기 증상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것이지요.
같이보면 좋은 글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찌릿한 어깨 통증의 원인, 목디스크 일수도 있어요. 올바른 자세와 운동은 어떻게? (7) | 2024.01.21 |
---|---|
몸에 붉은 반점이 퍼지고 붓는다면 봉와직염(연조직염) 증상 및 치료 (5) | 2024.01.16 |
가래는 왜 생길까? 가래의 성분은? 원인 및 가래색깔 주의할 점 (16) | 2024.01.03 |
배가 빵빵 더부룩해요, 복부팽만에 좋은 음식(+나쁜음식)과 식습관 (3) | 2024.01.01 |
책을 읽어도 이해가 안가요, 난독증의 증상과 자가진단 및 해결방법 (4) | 202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