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만사가 귀찮아지는 노년기 우울증 증상의 원인 및 치료

cky0214 2023. 8. 14. 11:15
반응형

나이가 들면 은퇴,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 자식과의 불화, 대인관계 단절, 빈곤 등 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우울증을 느끼는 노인이 많습니다. 하지만 제때 치료받지 못하면 고의적 자해, 자살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족들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지요. 노년기 우울증에 걸리면 초기에는 특별한 감정 변화 없이 잠이 오지 않고 입맛이 없어 밥도 먹기 싫고 특히 만사가 귀찮아집니다. 여기저기가 아픈데 병원에 가서 검사하면 이상이 없지요. 집중력 감퇴와 함께 기억도 흐릿해지면서 치매인가 의심하기도 합니다.

 

노년기 우울증

 

또한 두통, 복통, 소화불량 등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내과 질환으로 오해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주의의 이목을 끌기 위해 꾀병을 부린다는 오해를 사기도 하지요. 이런 경우 마치 가면을 쓰고 있는 것처럼 우울함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면성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노년기 걸리기 쉬운 노년기 우울증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니다. 조울증에 대한 post도 참고해서 봐주세요.

 

두 얼굴을 가진 조울증(양극성 장애) 증상과 원인 및 치료

조울증(양극성 장애)은 기분이 처진 우울한 상태(우울증)와 기분이 들뜬 상태(조증)가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기분 장애를 뜻합니다. 물론 정상 일반인도 하루에도 몇번이나 다양한 기분을 느끼

cky0214.tistory.com

 

반응형

● 목차

1. 노년기 우울증의 증상

2. 원인은 무엇일까?

3. 치료와 예방은 어떻게?


 

 

노년기 우울증


1. 노년기 우울증의 증상

우울증은 노년기에 가장 흔한 정신과 질환의 하나이며, 환자에게 심한 고통을 초래할 뿐 아니라 삶의 질 또한 저하시키는 질병입니다. 최근의 연구 결과는 우울증이 심장 질환, 치매 등 다른 신체 질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노인에서의 우울증은 숨겨진 질병이 되기 쉽습니다. 즉, 타 연령군에서의 우울증과는 달리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울감을 적게 호소하고 신체증상과 인지기능저하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진단이 힘들고, 다른 질병으로 오인되어 부적절한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년기 우울증 증상

 

● 증상

 

우울증의 증상은

a. 우울한 기분

b. 흥미 또는 즐거움의 상실

c. 식욕저하

d. 수면장애

e.  정신운동지체(생각과 행동이 느려짐) 또는 초조

f. 피로와 죄책감

g. 사고력 또는 집중력 감소

h. 자살 사고

이들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중에서 하나는 a,b의 증상이어야 함) 증상들이 2주이상 지속될 경우 주요 우울증의 진단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노인 우울증의 경우는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다소 비 전형적이어서 발견이 어렵습니다. 즉, 전형적인 우울감의 호소가 적고 수면장애, 불안 증상, 초조감이 더 흔하고, 신체증상의 호소가 표면에 드러나는 경우도 많으며, 인지 기능장애도 일반 성인보다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처럼 수면장애, 불안이 두드러지다 보니 단순히 수면제나 진정제만을 처방 받으면서 우울증의 치료가 방치되어 우울증이 갈수록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체적으로는 소화불량, 복통 같은 증상을 호소하거나 두통이나 각종 관절의 통증을 주된 증상으로 호소하는 경우가 있고, 이런 경우 소화기 약물이나 각종 진통제를 장기 복용하면서 치료가 늦춰지기도 하지요.

 

 

노인 우울증

노년기 우울증에서 동반되는 인지기능 저하가 심할 경우에는 치매와 유사한 상태로 나타나 이런 상태를 '우울성 가성 치매' 라고 하는데 극단적인 경우 치매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우울증으로 인한 인지 장애는 치매에 비해 기억력 장애가 비교적 급성으로 발생하였고 기억력 장애의 유병기간이 짧으며, 기억력 문제에 비해 정서적 문제가 먼저 나타났으며, 기억력 장애의 증상이 일정치 않고 동요를 보인다는 점에서 구별이 가능하지요.  따라서 원인을 알수 없는 신체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활동 수준이 저하될 경우 혹시 노인 우울증은 아닌지 의심해보고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2. 원인은 무엇일까?

노인 우울증의 원인은 크게 사회심리학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사회 심리학적 요인으로는 무엇보다도 노년기에 겪게 되는 각종 상실을 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노년기에 찾아오는 질병과 장애로 인한 건강의 상실이 있고, 두번째로 퇴직 이후 재정적 대비의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상실이 있으며, 셋쨰로 배우자나 친지와의 사별, 가족과의 분리 등으로 인핸 대인관계 상실이 있습니다. 

 

노년기 우울증 원인

 

노인 우울증의 생물학적 요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신경생화학적 요인과 신경해부학적 요인을 들 수 있습니다. 신경 생화학적 요인으로는 세로토닌과 같이 감정 조절에 작용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저하가 있습니다. 

 

신경 해부학적 요인으로는 감정을 조절하는 뇌 회로 부위의 모세혈관 이상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 뇌의 뇌피질(전두엽)과 피 질하 영역사이에는 감정을 조절하는 뇌회로가 존재하는데 이 회로 부위에 혈액과 영양소를 공급하는 모세혈관이 막히면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상에서 기술된 사회 심라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노인 우울증이 발병하는 것이죠. 때로는 갑상선 질환이나 부신 질환과 같은 신체 질환이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며 뇌종양의 증상이 우울증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치료와 예방은 어떻게?

노인 우울증이 대부분 사회심리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므로 이 2가지 요인에 대한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개입은 주로 정신 치료,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개입은 주로 약물치료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만약 신체질환이 원인이라면 이 치료또한 이루어져야 합니다. 

 

정신치료는 역동정신의학적 정신 치료, 대인 관계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치료의 초점은 노인 우울증의 사회심리적 요인인 실제적이거나 가상적인 상실(대인관계의 상실, 건강의 상실, 경제능력의 상실 등), 그리고 이와 관련한 자존감의 저하에 맞춰집니다.

 

노년기 우울증 치료

 

약물치료는 감정과 관련된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의 농도를 정상화시켜주는 항 우울제를 주로 투여하게 됩니다. 환자분들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처방하는 약물들이 부작용이 심한 것으로 오해하고 약물 복용을 주저하는 경우를 보는데요, 그러나 요즘 약물들에 대해서는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고 항우울제는 매우 안전합니다. 

 

 

노년기 우울증 예방

 

보다 신속한 치료가 필요할 경우 전기 충격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 충격치료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가 빠른 치료인데요, a. 자살 가능성이 높은 경우, b. 식사를 거부하는 심한 우울증, c. 항우울제의 위험성이 크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 d. 빠른 임상적 호전이 필요한 경우등에 적용하게 됩니다. 우울증 치료 시작후 1~2 주가 지나면 잠을 잘 자게 되고 식욕이 호전되기 시작하여 한 달을 전후해서는 우울한 기분도 해소되는 등 주요 증상들이 호전되어 값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두 얼굴을 가진 조울증(양극성 장애) 증상과 원인 및 치료

조울증(양극성 장애)은 기분이 처진 우울한 상태(우울증)와 기분이 들뜬 상태(조증)가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기분 장애를 뜻합니다. 물론 정상 일반인도 하루에도 몇번이나 다양한 기분을 느끼

cky0214.tistory.com

 

내가 내 인생의 주인이 아닐때, 조현병(정신분열) 증상 및 원인

최근 성남 서현역 인근 흉기 난동사건을 일으킨 20대 피의자 사건이 큰 이슈가 되었었죠. 이 피의자는 조현병 진단 이력이 있었다고 합니다. 2015~2020년까지 2곳의 병원에서 정신과 진료를 받으며

cky0214.tistory.com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지내는 분들이 많지요?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 기기의 대중화로 인해 현대인들은 숙이는 자세에 익숙합니다. 이에 따라 허리, 목 통증은 매우 흔한 질병이 되어 버

cky0214.tistory.com

 

다 큰 내가 주의력결핍? 성인ADHD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해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질환을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라고 합니다. 주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성인기가 돼서도 나타나는 경우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