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자 3

양도성예금증서 CD의 개념 및 발행이유, CP와의 차이점

금융상품을 보다보면 CD금리에 연동하여 이자지급을 한다는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언론에서도 CD금리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 기사를 종종 보게 됩니다. 그렇다면 CD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CP와는 어떤 점에서 다를까요? 이번 post에서는 CD(양도성예금증서)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니다. 어음상품에 대한 post도 재미있게 봐주세요. 단기간에 좋은 수익을 주는 으뜸 상품 "어음", 표지어음&발행어음 은행이나 증권사에 가면 단기 금융상품 중에서 표지어음이나 발행어음 등을 발견할 수 있지요. 어음이라 하면 대부분 상거래에서 물건값으로 현금 대신 지불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신 분들이 많 cky0214.tistory.com 양도성 예금증서 1. CD란? 금융에서 말하는 CD란 과연 무엇일까요? CD는 "Negotia..

경제이야기 2024.03.17

단기금융상품 MMDA, MMF, CMA 각각의 특징과 차이

단기 금융 상품 중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금융상품이 바로 MMF, CMA, MMDA입니다. 여러분들도 이 상품들 중 하나에 가입하고 투자하신 분도 있을 겁니다. 이 상품들의 공통점은 가입 시 금리가 확정되는 상품이 아니라 시장 실세 금리를 반영하는 상품이란 것과 여유 자금을 짧은 기간 운용할 때 적합하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 상품들은 각각 취급하는 금융기관이 다르며, 몇 가지 차이점도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점을 알아봅니다. 물가와 환율, 금리 관련성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미있게 봐주세요. 물가가 오르면 환율과 금리도 오른다, 물가와의 관계성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이자라는 녀석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물가라는 놈 때문에 이자를 절대 온전히 다 받을 수 없습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이외에는..

경제이야기 2024.03.14

물가가 오르면 환율과 금리도 오른다, 물가와의 관계성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이자라는 녀석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물가라는 놈 때문에 이자를 절대 온전히 다 받을 수 없습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이외에는 물가는 항상 오르기 때문이지요. 이런 물가상승 상황에서는 금리 및 환율도 같이 오르는 현상을 보이는데요. 이번 post에서는 물가와 환율/금리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인플레이션 사례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세요. 돈이 휴지조각? 역사 속 초인플레이션(하이퍼인플레이션)의 사례들 경제 정책 실패나 화폐유통량 M2의 유통실패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제는 그야말로 파탄에 이르지요. 그 외에도 전쟁, 혁명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에 의해서도 발생하는데요. 어느 나라 cky0214.tistory.com 물가와 금리, 물가와 환율 1. 물가가 오르면..

경제이야기 2024.03.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