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동성 2

다시 사줄 것을 믿습니다, RP 환매조건부채권의 개념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가끔 금융권들이 단기 유동성 부족에 시달려 한국은행이 RP를 매입하는 형태로 자금을 메웠다라는 기사를 보게 됩니다. RP라는 생소할 수 있는 용어 때문에 우리와는 거리가 멀어보일 수 있지요. 하지만 RP는 개인 재테크용 단기 금융상품으로 버젓이 팔리고 있는 상품입니다. 단기 유동성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이 RP는 무엇일까요? 이번 post에서는 이 RP의 개념에 대해 알아봅니다. MMDA,MMF,CMA 상품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밌게 봐주세요. 단기금융상품 MMDA, MMF, CMA 각각의 특징과 차이 단기 금융 상품 중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금융상품이 바로 MMF, CMA, MMDA입니다. 여러분들도 이 상품들 중 하나에 가입하고 투자하신 분도 있을 겁니다. 이 상품들의 공통..

경제이야기 2024.03.15

시장 유동성의 통화지표 M1, M2, M3의 개념의 변화

인터넷 검색창에 통화라는 단어를 치면 하루에도 수십개 이상의 기사가 뜹니다. TV경제 및 유투브에서도 통화정책이나 통화량이니 하는 말이 종종 등장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단골로 등장하는 통화라는 것은 대체 무엇일까요? 통화량은? 이를 대변하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이 통화와 지표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니다. 제태크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미있게 봐주세요. 과연 큰 돈을 벌 수 있을까? 재테크에는 대박 신화가 없다! 오늘도 증권 HTS나 증권 유투브에서는 "사자"와 "팔자"의 매물로 빨간불, 파란불을 깜빡거리면서 대박 신화를 만들어 보라여 우리를 유혹하고 있지요. 물론 대박 신화는 좀처럼 오지는 않지요. 대 cky0214.tistory.com 통화지표 1. 돈과 통화? 돈 하면 떠오르는 ..

경제이야기 2024.03.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