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야구 통계] 투수의 스탯 WHIP은 무엇인가? 계산하는 방법, 장단점

cky0214 2024. 1. 6. 23:11
반응형

야구에서 타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스탯인 OPS가 있다면 투수에게는 WHIP이 있습니다.

 

한국 KBO에서도 2000년대 후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고 야구 중계 및 기사에서도 이 수치를 언급하기 시작했지요.

 

WHIP

 

2010년 KBO홈페이지에서도 투수의 WHIP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post에서는 평균자책점(방어율)과 더불어 투수의 능력을 보여주는 WHIP 스탯의 계산 방법과 의미를 알아봅니다.

 

타자 OPS에 대한 글도 같이 재미있게 봐주세요.

 

 

[야구 통계] 야구에서 타자의 OPS란 무엇일까? 계산법/중요도/단점

요즘의 야구중계를 보다보면 타자 기록 중 OPS라는 단어를 많이 보게 됩니다. 타자의 주요 통계기록인 타율, 출루율 등은 알겠는데 어느 순간에서부터는 OPS란 용어도 언급되는 빈도수가 높아졌

cky0214.tistory.com

 

 

WHIP


1. WHIP의 계산법

WHIP(Walks plus Hits Divided by Innings Pitched, 이닝당 안타 및 볼넷 허용률)이란 투수의 스탯중 하나로 피안타 및 볼넷의 합을 이능으로 나눈 값입니다.

 

 

약자에서 알 수 있듯이 투수 WHIP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WHIP

 

이닝 당 출루를 허용하는 비율을 뜻하지요.

 

여기서 볼넷에는 고의사구는 포함되며 몸에 맞는 볼(사구, 死球)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WHIP는 MLB에서 공식 기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WHIP은 OPS와 마찬가지로 계산이 쉬운점이 부각되어 2000년대 후반부터 OPS와 더불어 한국내 중계방송과 각종 야구 관련 page에서 많이 쓰이는 스탯이 되었지요. 

 

KBO에서는 아직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지만 MLB에서는 공식 스탯입니다. 하지만 KBO홈페이지에서는 WHIP를 게재하긴 합니다.

 


2. WHIP의 활용 및 중요도

투수의 경우 주자를 적게 내보내면 실점할 가능성도 적어지므로 투수의 안정도를 측정하고자 주로 이용됩니다.

 

일반적으로 1.0 아래라면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라 여겨지며 1.20 미만이면 각 구단을 대표하는 선수, 1.4 정도를 초과하면 그리 높지 않은 선수로 취급됩니다.

 

투수 WHIP

 

각 구단별로 살펴보면 1선발의 경우 1.2 정도, 3~4선발급은 1.4 정도의 수치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볼펜투수의 경우 이닝이 짧기 때문에 기준이 더 빡빡한데, 1.5를 넘어가는 볼펜투수는 팀에 큰 도움이 되지 낳는 취급을 당하지요. 

 

 

일반적으로 1.3 이상의 WHIP를 기록하면 필승조라 부르기 어렵고 1.5 이상이면 불을 잘 지피는 선수지요. 

 

WHIP가 높지만 평균자책점(방어율)이 낮은 투수들은 출루를 당하지만 실점이 적어 위기관리 능력이 좋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3. KBO 및 MLB기록

KBO에서 단일시즌 역대 최고의 WHIP 기록은 1993년 시즌 선동열의 0.54(말도 안됨.)이며, 통산 WHIP도 역시 선동열의 0.80(총 11시즌 1647이닝)입니다. 

 

수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동열의 평균자책점(방어율)과 WHIP가히 범접할수가 없네요.

 

선동열

 

최근의 시즌 중에서는 2022년 시즌 안우진과 윌머 폰트가 0.95를 기록하였고, 2023년 NC의 페디가 0.95를 기록하여 1996년 이대진 이후로 오랜만에 0점대를 기록한 투수였네요.

 

26년만에 0점대를 기록한 선수가 나온 것을 생각하면 선동열의 통산 0점대 WHIP은 정말 말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KBO 역대 통산 WHIP의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언급한 선동열이 역대 1위이며 TOP10 모두 리그를 대표하는 선발투수들입니다.

 

KBO WHIP

 

MLB의 역대 통산 WHIP은 아래와 같은데 페드로 마르티네스의 경우 2000년 0.737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MLB WHIP

 

 

KBO 최근 2023년 시즌 전체 WHIP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 선수 이닝수 방어율 WHIP
1
 
페디
NC 180 1/3 2.00 0.95
2
 
안우진
키움 150 2/3 2.39 1.06
3
 
알칸타라
두산 192 2.67 1.07
4
 
후라도
키움 183 2/3 2.65 1.12
5
 
고영표
KT 174 2/3 2.78 1.15
6
 
뷰캐넌
삼성 188 2.54 1.15
7
 
페냐
한화 177 1/3 3.60 1.17
8
 
벤자민
KT 160 3.54 1.21
9
 
켈리
LG 178 2/3 3.83 1.24
10
 
원태인
삼성 150 3.24 1.27

 

 

NC의 페디가 0점대의 WHIP을 기록했으며 TOP10 모두 1.2 아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모두 팀의 간판스타들이지요.

 

특히 2위 안우진 선수는 몇 년 동안 1.00에 근접한 WHIP를 몇 년동안 보여주고 있습니다.

 

TOP10 중 7명이 용병으로 KBO에서 우승은 용병투수 놀음이라는 것이 증명되는 순위인 것 같습니다.


4. WHIP의 단점

이 WHIP는 계산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단 몸에 맞는 사구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희생타를 포함해서 계산하는 피출루율에 비해 피점수 관여도가 판단이 안되며, 결정적으로 피안타중 장타를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와 더불어 분모를 이닝으로 잡기 때문에 투수와 큰 관련이 없는 도루 저지, 병살타 같은 상관없는 지표들도 계산에 포함되지요.

 

경기중 어쩔 수 없이 만루작전을 하는 경우 투수의 WHIP은 올라가기도 하며, 내야안타 및 볼넷등이 전혀 구분되지 않기도 합니다.

 

그래서 소위 류현진처럼 맞춰잡는 선수, 즉 플라이볼, 땅볼 유도 투수등은 좀 묻히게 되는 지표입니다. 

 

류현진

 

위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실제 WHIP와 투수의 실점 억제력은 상관관계가 낮지요.

 

다만 볼펜투수의 경우 적은 이닝을 막는 경우가 많아서 선발투수에 비해 WHIP의 활용이 적절할 때가 많습니다.

 

아무튼 장타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는 현대야구에서는 장타를 구분하지 않고 출루만 중시하는 WHIP는 좀 쇠퇴한 지표로 취급받고 있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야구 통계] 야구에서 타자의 OPS란 무엇일까? 계산법/중요도/단점

요즘의 야구중계를 보다보면 타자 기록 중 OPS라는 단어를 많이 보게 됩니다. 타자의 주요 통계기록인 타율, 출루율 등은 알겠는데 어느 순간에서부터는 OPS란 용어도 언급되는 빈도수가 높아졌

cky0214.tistory.com

 

야구에서 우투좌타가 유리한 이유? 좌타자가 우타자보다 좋은 이유

야구에서 흔히 우타자보다 좌타자가 유리하다고들 합니다. 많은 어린 선수들이 오른손잡이임에도 연습을 통해 좌타자가 되는 경우가 흔하지요. 이러다 보니 오히려 우타자가 부족해 요즘은 우

cky0214.tistory.com

 

AFC 아시안컵 축구, 역대 한국 성적과 하이라이트 모음

2024년 1월 12일(금)부터 카타르에서 AFC 아시안컵 축구가 개막합니다. 4년마다 열리는 아시아 축구의 축제이자 아시아에서의 작은 월드컵이지요.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인지도나 인기가 없는 대회

cky0214.tistory.com

 

포심/투심 패스트볼 뭐가 다른가? 차이점

야구 중계를 듣다보면 포심 패스트볼, 투심 패스트볼이란 용어를 심심치 않게 많이 듣게 되죠. 일단 패스트볼은 투수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직구를 뜻합니다. 이 직구를 그립(공 실밥 잡는 법)에

cky0214.tistory.com

 

포크볼과 스플리터 구종의 차이점, 그립잡는 법

홈플레이트 앞에서 급격히 떨어지는 포크볼과 스플리터, 두 구종간의 차이는 뭘까요? 둘다 떨어지는 건 맞지만 분명 다른점이 있으니 이름이 다르겠죠? 두 구종 모두 급격한 하락각을 보이는 만

cky0214.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