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력 2

빨간휴지? 파란휴지? 구분이 어려운 색맹과 색약 차이점?

색약과 색맹은 색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증상이며 정상인에 비해 색 일부 혹은 색 전체를 식별하지 못하는 시각 이상증상입니다.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전재준이 앓고 있는 적녹색약의 경우, 초록색과 빨간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증상이었지요. 방송인 신동엽씨도 같은 적녹색약의 증상을 가지고 있음을 밝힌 적이 있습니다. 신호등 색을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심한 전색맹자는 10만명당 3명 정도로 소수이지만 색약환자는 20명중 1명일 정도로 흔합니다. 기본적으로 색약과 색맹 모두 시세포의 색소 결핍으로 색을 식별하지 못하는 시각 비정상 상태이며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정도에 따라 색약과 색맹으로 구분됩니다. 이번 post에서는 색맹과 색약에 대해서, 차이점 까지 알아보기로 합니다. 심봉사도 울고갈 눈에 좋은 음식(+나쁜음식..

건강정보 2023.11.14

심봉사도 울고갈 눈에 좋은 음식(+나쁜음식), 시력에 대한 오해

여러분의 눈 건강은 이상 없으신지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레 노안이 오고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지는 않나요? 눈 건강과 관련해서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시력입니다. 우리는 보통 TV나 스마트폰을 많이 보거나 또는 나이가 들어 시력이 나빠졌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실제로 현대인에게 발생하는 대부분의 눈 질환은 생활 습관보다는 환경오염에서 오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물론 전자기기에 의한 점도 없지는 않지만 환경에 의한 눈 건강 손상도 만만치 않죠. 특히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안구 표면 조직 손상을 유발하며, 황사는 중금속 오염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결막염,각막염 등 각종 염증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최근 노안 환자 중 30,40..

건강정보 2023.05.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