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규칙 4

적정금리 계산을 위한 2가지 이론, 피셔방정식과 테일러 준칙(규칙)

적정금리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형이지만 금융시장에서는 2가지의 이론이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잣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바로 피셔 방정식과 테일러 준칙(규칙)이 그것인데요. 이 2개의 이론은 금리를 매매하는 기관투자자들에게 주는 영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이번 post에서는 금리결정의 중요한 이론 2가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금리,물가,환율의 연관성 post도 재미있게 봐주세요. 물가가 오르면 환율과 금리도 오른다, 물가와의 관계성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이자라는 녀석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물가라는 놈 때문에 이자를 절대 온전히 다 받을 수 없습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이외에는 물가는 항상 오르기 때문이지요. 이런 cky0214.tistory.com 피셔 방정식과 테일러 준칙 1. 지표의 중요성 채..

경제이야기 2024.03.27

다양하고 재미있는 야구,축구,농구등 종목마다의 몰수게임,몰수패 조건들

몰수게임(Forfeiture)이란 한 팀이 반칙, 경기거부, 경기를 위한 최소 요건 부족등으로 정상적인 경기가 안될 때 심판의 재량으로 경기 종료 및 상대팀의 승리를 선언하는 경기를 뜻합니다. 종목에 따라 관행에 따른 점수가 부여되며, 스포츠 각 경기마다 규정이 다 다르지요. 이번 post에서는 주요 인기 종목에서의 몰수게임 조건 및 사례들을 살펴봅니다. 야구 통계에 대한 아래 post도 재미있게 봐주시구요. [야구통계] 야구에서 삼진아웃은 왜 K로 표현할까? 낫아웃이란? 투수에게 있어 짜릿한 순간은 바로 타자를 삼진아웃으로 마무리하는 것이지요. 응원하는 팀의 투수가 타자를 삼진으로 잡는것 만큼 짜릿한 순간은 없을 겁니다. 그런데 이 삼진아웃을 잡으면 cky0214.tistory.com 몰수게임 1. 축..

스포츠 2024.02.13

야구는 왜 9이닝까지 할까? 9이닝까지 하게된 이유

야구는 왜 9이닝까지 할까요? 왜 시간도 오래 걸리게 9이닝까지 하게 된 것일까요? 문득 이런 의문이 들어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많은 야구 선수들과 감독들도 잘 모르는, 야구가 9이닝까지 하는 이유를 알아봅니다. 투심과 포심 차이에 대한 post도 같이 재미있게 봐주세요. 포심/투심 패스트볼 뭐가 다른가? 차이점 야구 중계를 듣다보면 포심 패스트볼, 투심 패스트볼이란 용어를 심심치 않게 많이 듣게 되죠. 일단 패스트볼은 투수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직구를 뜻합니다. 이 직구를 그립(공 실밥 잡는 법)에 cky0214.tistory.com 야구가 9이닝을 하는 이유 1. 처음부터 9이닝이었을까? 지금의 야구규칙들의 기본은 1845년 미국 뉴욕의 알렉산더 카트라이트가 만든 "니커보커 규칙" 에서 근거하고 있습니..

스포츠 2024.01.16

판단하기 어려운 야구 보크 판정의 모든 것

야구를 보다보면 투수의 동작하나에 보크가 선언되고 상대팀에게 이득을 주는 상황이 가끔 발생합니다. 투수의 동작을 자세히 보지 않으면 이게 왜 보크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야구규칙을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의 경우 이게 무슨 반칙인지 전혀 모를때가 있습니다. 주심마다 판단이 다를 때도 있구요. 최근 기아 산체스 셋포지션에서의 이중키킥을 두고 이순철 해설위원이 문제제기를 하기도 했죠. 규직을 정확히 모른다면 그냥 지나칠 수밖에 없는 보크, 이에 대한 규정을 자세히 알아보는 post를 써보려고 합니다. 야구 포심/투심에 대한 post도 재미나게 봐주시구요. 포심/투심 패스트볼 뭐가 다른가? 차이점 야구 중계를 듣다보면 포심 패스트볼, 투심 패스트볼이란 용어를 심심치 않게 많이 듣게 되죠. 일단..

스포츠 2023.09.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