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것을 극복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고쳐야 할 때가 있습니다.
사무실 정리, 집안 정리 등을 하고 나면 새로운 느낌으로 일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표현한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사자성어 알아보기로 합니다.
헌헌장부 / 혁고정신 / 현금인간 / 현묘
1. 헌헌장부
헌헌장부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軒
|
軒
|
丈
|
夫
|
집 헌
|
집 헌
|
어른 장
|
지아비 부
|
헌헌장부의 한자 그대로 뜻은 당당하고 큰 사내, 혹은 당당하고 기개있는 훌륭한 남자라는 뜻입니다.
풍채가 당당하고 씩씩하며 기개 있는 남자를 이르는 말이며, 보통 당당하고 위풍당당한 기상과 인품을 지닌 훌륭한 사내를 가리킬 때 사용하지요.
외모뿐 아니라 기개, 의지, 당당함등을 아우르는 표현입니다. 대장부를 의미합니다.
헌헌장부는 한시나 중국 문학에서 이상적인 남성상을 묘사할 때 쓰이던 표현으로, 풍채가 좋고 인격과 기상이 뛰어난 사람을 칭찬할 때 등장합니다.
특정 고사에서 유래했다기보다는, 문학적 미사어로 자주 쓰이면서 굳어진 사자성어입니다.
2. 혁고정신
혁고정신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革 | 故 | 鼎 | 新 |
가죽 혁 | 연고 고 | 솥 정 | 새로울 신 |
혁고정신의 한자 뜻은 옛 것을 없애고 솥을 바꿔 새롭게 한다라는 의미이며,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정치,제도,체제)을 새롭게 고친다는 깊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즉, 낡은 제도나 사상등을 개혁하고 새로운 것을 세운다는 의미로 사용되지요.
개혁, 쇄신, 혁신을 말할 때, 새로운 시작과 관련된, 딱 어울리는 표현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고전인 "주역" 정괘에서 유래했습니다.
정(鼎)은 고대 중국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던 세 발 솥을 말하는데 이 솥은 국가의 통치, 권력, 제도, 문명의 중심 상징이었습니다.
"주역"에서,
혁고정신이라 하여 옛것을 바꾸고 새것으로 정립해야 세상이 새로워진다는 가르침이 나오게 되는 것이지요.
정치 개혁, 시대적 변혁, 조직 쇄신 등에서 자주 인용되었지요.
3. 현금인간
현금인간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現 | 金 | 人 | 間 |
나타날 현 | 쇠 금 | 사람 인 | 사이 간 |
현금인간은 한마디로 말해서 "돈이 전부인 사람"을 뜻합니다.
돈에 의해 움직이고, 돈이 기준인 인간이라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금(돈)밖에 모르는 사람, 무엇이든 돈 중심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을 비판적으로 일컫는 표현입니다.
감정, 신념, 인간관계보다 이익과 실리, 현금 가치만을 추구하는 현실적인 사람을 말합니다.
이 표현은 전통적인 사자성어는 아니고, 근대 이후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겨난 신조어적인 표현입니다.
특히 돈이 곧 가치의 전부가 되어버린 현대 사회의 인간상을 비판적으로 풍자하기 위해 쓰였습니다.
주로 문학, 비평, 언론 등에서 물질주의에 빠진 인간상을 표현할 때 등장합니다.
4. 현묘
현모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玄 | 妙 |
검을 현 | 묘할 묘 |
현묘의 한자를 보면 깊고 오묘하다라는 뜻이며 신비로우며 뛰어난 경지라는 의미입니다.
검을 현자는 검고 깊으며 신비롭다라는 뜻의 한자어입니다.
아주 오묘하고 깊어서 귑게 알 수 없는 상태나 이치를 뜻합니다. 보통 신비롭고 깊은 철학적 진리나 예술적인 경지를 묘사할 때 쓰지요.
심오하고 신비하고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는 오묘함이라는 뉘앙스입니다.
이 현묘의 유래는 도교 및 노자의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예들들어 "도덕경" 1장에서 아래와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玄之又玄, 衆妙之門”
-> 현하고 또 현하여, 모든 오묘함의 문이 된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여기서 현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주의 근본 원리를 품은 신비함을 뜻하고, 현묘는 바로 그 불가사의하고 싶은 진리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요.
한단지몽 / 할계우도 / 할고료친 / 함흥차사의 한자뜻과 유래 - 태종 이방원
살다보면 인생이 덧 없음을 느낄때가 많습니다. 내가 여기서 무얼하는지, 왜 있는지 삶에 대한 회한이 들때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표현한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이 page에서는 위 내용 포함 4
cky0214.tistory.com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형색색 / 형설지공 / 호가호위 / 호각지세의 유래와 한자어 뜻 - 열자 천서편 (0) | 2025.04.26 |
---|---|
혈기왕성 / 혈류낙지수고 / 혈혈단신 / 형우제공의 유래와 한자어 뜻 - 격암유록 (0) | 2025.04.26 |
허장성세 / 허심탄회 / 허무맹랑 / 해현경장의 뜻과 유래일화 - 이계원 (1) | 2025.04.25 |
합종연횡 / 해괴망측 / 허례허식 / 허송세월의 한자뜻과 유래 - 춘추전국시대 (1) | 2025.04.25 |
한단지몽 / 할계우도 / 할고료친 / 함흥차사의 한자뜻과 유래 - 태종 이방원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