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과 고난을 함께한 친구나 사람들과는 동질감과 유대감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도 끝까지 내 편이 되어주고 진정한 친구라 할 수 있지요.
이런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이번 page에서는 위 사자성어 포함, 총 4개의 사자성어 알아봅니다.
동고동락 / 동문수학 / 동문서답 / 동분서주
1. 동고동락
동고동락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同
|
苦
|
同
|
樂
|
한 가지 동
|
괴로울 고
|
한 가지 동
|
즐길 락
|
동고동락을 직역하면, 괴로움도 같이 하고, 즐거움도 같이 한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함께 괴로움을 겪고 함께 즐거움을 나눈다는 의미이며, 좋을 때나 나쁠 때나 함께 한다는 뜻이지요.
주로 친밀한 우정이나 공동체 정신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동고동락의 유래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했습니다.
특히 공자와 제자들, 혹은 의리와 우정을 중시하던 유교적 가치관과 관련이 깊습니다.
유교의 이상적 인간관계(군신, 친구, 형제간의 도리)에서 자주 강조된 표현입니다.
아래와 같은 고사와 관련하여 자주 인용됩니다.
"군자는 반드시 백성과 동고동락해야 한다"
-> 맹자에서 유래한 사상으로 군주는 백성과 함께 고락을 나누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백성과 함께 즐기지 않는 자는 나라를 다스릴 자역이 없다고 본 것이지요.
2. 동문수학
동문수학의 한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同 | 門 | 修 | 學 |
같을 동 | 문 문 | 닦을 수 | 배울 학 |
동문수학을 한자 그대로 보면, 같은 문하, 즉 같은 스승 밑에서 수학한다라는 뜻입니다.
같은 스승에게 배우며 함께 공부한 사이, 즉 학문적 동료 또는 동창을 의미합니다.
동창, 학우, 문우와 비슷한 뜻이라고 볼 수 있지요.
동문수학은 고대 중국의 유학 전통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유학자들이 스승밑에 제자처럼 모여 앉아 학문을 배우던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생긴 표현입니다.
특히 공자의 제자들이 같은 문하에서 함께 배웠다는 점에서 이런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처럼 문하생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같은 수업을 듣는 사람 이상으로 학문적 혈연이나 인연을 의미하는 중요한 개념이었고, 그래서 동문수학은 같은 학문적 전통이나 유파에 속한 사람이라는 의미로도 발전했습니다.
3. 동문서답
동문서답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東
|
問
|
西
|
答
|
동쪽 동
|
물을 문
|
서쪽 서
|
답할 답
|
동문서답을 직역하면, 동쪽을 물었는데 서쪽을 대답한다는 뜻입니다.
질문과 맞지 않는 전혀 엉뚱한 대답을 한다는 의미이지요.
문답이 어긋나거나 핵심을 빗나가거나 딴소리를 하는 경우 이 성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문서답은 특별한 고사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지만, 말이 서로 통하지 않거나 논리적 일관성이 없는 대화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옛 문헌에서도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이 사자성어는 고대 중국이나 조선시대의 문답 문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서로 뜻이 통하지 않는 어긋난 소통을 비판할 때 사용되었지요.
예를 들어, "오늘 날씨 어때요?라고 물었는데 "밥 먹었어요" 라고 대답하면 동문서답인 것이지요.
4. 동분서주
동분서주의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東
|
奔
|
西
|
走
|
동녘 동
|
달릴 분
|
서녘 서
|
달릴 주
|
동분서주의 한자를 직역하면, 동쪽으로 달리고 서쪽으로 달린다는 의미입니다.
몹시 바쁘게 이리저리 돌아다니거나, 여기저기 바쁘게 뛰어다닌다는 뜻이지요.
일이 너무 많아 정신없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하는 성어입니다.
분주하다, 안간힘을 쓰다, 이리 뛰고 저리 뛰다, 분주다사와 같은 의미가 되겠습니다.
동분서주는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에 생겨난 표현으로, 당시 유세객들이 각국의 왕을 설득하기 위해 이 나라, 저 나라를 바쁘게 돌아다니던 모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통해 풍부한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되었지요.
후대에는 관리, 장사꾼, 또는 고달픈 서민들이 생활에 치여 이리저리 뛰는 모습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며 지금까지 이어졌지요.
도원결의 / 독수공방 / 독야청청 / 돌파구의 한자뜻과 유래
평생을 함께할 반려자가 있다면 인생 부러울게 없지요. 그래서 사별하거나 이별하게 되면 큰 정신적인 힘듬을 느끼게 되지요(안그런 경우도 있지만...)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가 있는
cky0214.tistory.com
대역무도 / 대외비 / 대장부 / 도로아미타불의 유래와 한자어 뜻
역사를 보면 왕정국가에서는 반란과 혁명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절대적인 왕권에 도전하다 실패하면 반드시 무서운 보복이 이루어졌지요. 반란을 일으킨 자들에게는 이번 page에서 언급한 사자
cky0214.tistory.com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족상잔 / 두문불출 / 득의양양 / 등한시의 한자어 뜻과 유래 (4) | 2025.06.05 |
---|---|
동상이몽 / 동서고금 / 동성동본 / 동시다발의 유래와 한자어 뜻 (1) | 2025.06.01 |
도원결의 / 독수공방 / 독야청청 / 돌파구의 한자뜻과 유래 (1) | 2025.05.30 |
대역무도 / 대외비 / 대장부 / 도로아미타불의 유래와 한자어 뜻 (2) | 2025.05.28 |
대한민국, 대한제국에서 대한이란 단어의 유래, 어원, 의미 (1) | 2025.05.27 |